목차
Ⅰ. 개요
Ⅱ. 기독교 기도의 형태
Ⅲ. 기독교 기도와 침묵
Ⅳ. 기독교 기도와 기도요소
Ⅴ. 기독교 기도와 목회
Ⅵ. 기독교 기도와 기도회
Ⅶ. 기독교 기도와 누가복음
참고문헌
Ⅱ. 기독교 기도의 형태
Ⅲ. 기독교 기도와 침묵
Ⅳ. 기독교 기도와 기도요소
Ⅴ. 기독교 기도와 목회
Ⅵ. 기독교 기도와 기도회
Ⅶ. 기독교 기도와 누가복음
참고문헌
본문내용
심판날에 우리에게 재앙이 있을 것이라고 경고했다. 목회자의 믿음은 교회의 믿음이요 목회자의 기도는 교회의 기도이다. 기도회를 마련하고 목회자가 선행하라.
Ⅶ. 기독교 기도와 누가복음
눅 11:5-8과 18:2-8의 기도에 관한 두 가지 비유의 요점은 “하나님께서 당신의 자녀의 기도와 부르짖음을 반드시 들으시고 응답하신다”는 것이다. 두 비유는 모두 먼저 사람들 사이의 경우를 예시한 후 나중에 이를 하나님과 신자들 사이의 경우와 비교하여 적용시키는 논증방식을 사용하고 있다. 이 논증방식(a minori ad maiusa peiore ad melius)에 유의한다면 밤중에 친구의 온 가족을 깨우면서 떡을 빌려 달라는 사람의 “무례하고 몰염치한” 행동이나 불의한 재판관을 “번거롭고 괴롭게” 졸라대어 자신의 소원을 성취한 과부의 태도를 크리스챤이 하나님께 기도할 때 모범으로 삼아야 할 자세로 받아들일 수 없다. “주기도”의 서두가 암시하듯 크리스챤의 참된 기도는 하나님의 “아버지”되심을 확신할 때에야 비로소 열린다. 이런 확신에 의해 문이 열린 기도에서는 “나”의 “소원”을 이루어 달라고 하나님께 “끈질기게” 졸라대야 한다는 강박의식도 사라진다. 마음의 소원을 다 아뢰고 그저 쉴 뿐이다.
목회자는 모든 교인이 개인적으로 그리고 공동체적으로 열심 있는 기도생활을 하도록 적극 면려해야 한다. 그러나 교인들에게 기도의 동기를 부여하고 실천을 촉구할 때 그저 인간의 보편적 종교심에 호소해서는 안된다. 왜냐하면 인간의 종교행위로서의 기도는 기독교만의 고유한 것이 아니라 원시종교를 포함한 다른 모든 종교에서도 필수적인 요소이기 때문이다. 더욱이 우리 나라의 기독교는 전래 초기부터 지금까지 항상 기존의 무속신앙 및 유불선(儒佛仙) 사상과 혼합될 위험에 놓여 왔다. 그러므로 설교자들은 기독교의 독특한 신관과 인간관에 비추어 기도의 본질을 제시하고 오직 복음의 원리 안에서 기도하도록 권면하는 것이 마땅하다.
참고문헌
고문영, 한국교회의 기도의 문제점과 그 개선 방안, 목원대학교, 2007
박은혁, 성격이론과 기독교 영성교육 : 기도교육을 중심으로, 연세대학교, 2004
임낙형, 기도와 기독교 윤리, 성결대학교 정보산업기술연구소, 2005
윤상호, 마음의 기도 : 기독교 전통의 회복과 적용에 관하여, 감리교신학대학교, 2003
주신도, 기독교의 기도에 관한 연구, 목원대학교, 2010
토니 레인, 기독교 사상사, 나침반, 1987
Ⅶ. 기독교 기도와 누가복음
눅 11:5-8과 18:2-8의 기도에 관한 두 가지 비유의 요점은 “하나님께서 당신의 자녀의 기도와 부르짖음을 반드시 들으시고 응답하신다”는 것이다. 두 비유는 모두 먼저 사람들 사이의 경우를 예시한 후 나중에 이를 하나님과 신자들 사이의 경우와 비교하여 적용시키는 논증방식을 사용하고 있다. 이 논증방식(a minori ad maiusa peiore ad melius)에 유의한다면 밤중에 친구의 온 가족을 깨우면서 떡을 빌려 달라는 사람의 “무례하고 몰염치한” 행동이나 불의한 재판관을 “번거롭고 괴롭게” 졸라대어 자신의 소원을 성취한 과부의 태도를 크리스챤이 하나님께 기도할 때 모범으로 삼아야 할 자세로 받아들일 수 없다. “주기도”의 서두가 암시하듯 크리스챤의 참된 기도는 하나님의 “아버지”되심을 확신할 때에야 비로소 열린다. 이런 확신에 의해 문이 열린 기도에서는 “나”의 “소원”을 이루어 달라고 하나님께 “끈질기게” 졸라대야 한다는 강박의식도 사라진다. 마음의 소원을 다 아뢰고 그저 쉴 뿐이다.
목회자는 모든 교인이 개인적으로 그리고 공동체적으로 열심 있는 기도생활을 하도록 적극 면려해야 한다. 그러나 교인들에게 기도의 동기를 부여하고 실천을 촉구할 때 그저 인간의 보편적 종교심에 호소해서는 안된다. 왜냐하면 인간의 종교행위로서의 기도는 기독교만의 고유한 것이 아니라 원시종교를 포함한 다른 모든 종교에서도 필수적인 요소이기 때문이다. 더욱이 우리 나라의 기독교는 전래 초기부터 지금까지 항상 기존의 무속신앙 및 유불선(儒佛仙) 사상과 혼합될 위험에 놓여 왔다. 그러므로 설교자들은 기독교의 독특한 신관과 인간관에 비추어 기도의 본질을 제시하고 오직 복음의 원리 안에서 기도하도록 권면하는 것이 마땅하다.
참고문헌
고문영, 한국교회의 기도의 문제점과 그 개선 방안, 목원대학교, 2007
박은혁, 성격이론과 기독교 영성교육 : 기도교육을 중심으로, 연세대학교, 2004
임낙형, 기도와 기독교 윤리, 성결대학교 정보산업기술연구소, 2005
윤상호, 마음의 기도 : 기독교 전통의 회복과 적용에 관하여, 감리교신학대학교, 2003
주신도, 기독교의 기도에 관한 연구, 목원대학교, 2010
토니 레인, 기독교 사상사, 나침반, 1987
추천자료
주기도문 비교 분석
누가 신학의 제자도와 청지기도
[기독교와 현대사회] 기독교와 현대사회 강의노트
[예배][교회예배][한국교회][기독교]예배(교회예배)의 정의, 예배(교회예배)의 역사, 예배(교...
권사님 기도문입니다.
하나님 나라(하나님의 나라)의 정의와 물질성, 하나님 나라(하나님의 나라)의 건설과 구성원,...
[예수그리스도]예수그리스도의 신분, 예수그리스도의 부활, 예수그리스도의 신성, 예수그리스...
기독교 윤리 자살
기독교강요 요약하기
[동성애]동성연애(동성애)의 역사, 발생요인, 동성연애(동성애)의 정체성, 동성연애(동성애)...
[목회학] 설교 신학 - 설교와 하나님의 말씀으로서 성경, 예배에서 설교, 새 창조의 비전을 ...
[기독교 성경말씀 (설교예화포함)] 훌륭한 종 엘리에셀 _ 창세기 24:10-27 (기독교,성서,성경...
[독후감] 기도로 돌파하라 (하용조 저)
기독교 세계관과 현대사상 서평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