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영전략] NHN 네이버(Naver)를 대상으로 한 VRIO 모형 분석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경영전략] NHN 네이버(Naver)를 대상으로 한 VRIO 모형 분석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왜 네이버 선택했을까?

VRIO 모형에 대해 알아보자.

네이버의 내부자원 6가지

네이버 VRIO 분석

<참고자료>

본문내용

털사이트로 진화하고 있기 때문이다. 내 생각엔 네이버가 큰 실수를 하지 않는 한 포털사이트 시장에서는 1위에 왕좌를 차지하고 있을 것 같다.
O. 마지막 조직에 대한 질문이다. 과연 네이버의 조직들은 자신의 잠재력을 터트릴 준비가 되어 있을까? 네이버의 조직은 지금까지 살아남은 명성자원을 이용하기 위해 다양한 방면으로 움직이고 있는 것 같다. 네이버는 직원들의 창의적인 아이디어와 그를 이용한 새로운 기술을 위한 투자를 아끼지 않고 있고 이를 지원하기 위해 좋은 근무 환경과 거대한 시설설비를 갖추고 있다. 이렇게 만들어진 새로운 아이디어와 기술들은 이용자들을 끌어들이는 유인요소가 되며 결국엔 네이버를 살찌우는 영양소가 된다.
우리들은 어쭙잖은 실력으로 네이버를 VRIO 모형에 적용해 보았다. 우리들은 이 분석을 통해 네이버의 다양한 자원 중에서도 명성자원이 기업의 지속적 경쟁우위로 자리 잡아서 기업의 핵심역량이 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하지만 이 분석이 100% 다 맞는 것은 아닐 것이다. 분명 다른 자원 중에서도 기업의 핵심역량으로 자리 잡고 있는 것이 있겠지만 그저 제 3자 입장에서 보는 나의 눈에는 명성자원이 제일 큰 핵심 경쟁역량이라고 생각한다.
우리는 아주 얕게 VRIO 모형을 이용하여 네이버의 경쟁우위 원천에 대해 알아보았다. 우리들의 분석을 통해 보면 네이버의 명성자원이 네이버를 지탱하는 지속적 경쟁우위로 자리 잡고 있다. 하지만 내 생각엔 이 외에도 기술자원과 인적자원 그리고 조직자원 역시 중요하다고 생각한다. 기술자원이 받쳐주어야 포털사이트 이용자들의 욕구를 계속해서 맞춰 나갈 수 있으며, 그런 기술자원을 개발하고 만드는 주체인 인적자원 역시 핵심일 것이 분명하고 이런 인적자원이 발휘될 수 있도록 보조하는 조직자원도 빠지면 안 될 것이다. 나는 솔직히 이런 생각을 해본다. 기업이 하나의 지속적 경쟁우위를 갖기 위해서는 한 가지 자원만이 가치 있고, 희소하고, 모방불가능하며, 조직구조가 이를 이용할 수 있게 짜여 있는 것이 아니라 모든 자원들이 서로 연결되어 있어 한 가지만 맞다 아니다 가 아닌 기업 내부자원 전체가 어울러져야 지속적인 경쟁우위를 가질 수 있지 않을까?. 비록 핵심 경쟁우위 자원은 명성자원이 선정되었지만 그 공은 나머지 자원들 모두의 것이라고 생각된다. 기업은 한 가지 핵심역량을 갖기 위해서 애를 쓸 것이 아니라 기업 내부 자원들이 잘 어울러 질수 있도록 짜나가는 것이 중요한 것 같다.
지금까지 부족한 VRIO 모형 분석이었다. 끝까지 읽어주셨다면 감사합니다.
<참고자료>
네이버 본사 홈페이지 : http://www.navercorp.com/ko/index.nhn <네이버 세부 상황>
네이버 개인 블로그 : http://blog.naver.com/dok5464/20205082465 <네이버 역사>
네이버 개인 블로그 : http://blog.naver.com/dok5464/20203327548 <네이버 수익구조>
구글 VS 네이버 : 검색대전쟁 - 강병준, 류현정
네이버, 성공 신화의 비밀 - 임원기
  • 가격1,5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15.04.03
  • 저작시기2015.4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96298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