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실험 목적
- 실험 방법
- 실험 결과
- 토의
- 감상
- 실험 방법
- 실험 결과
- 토의
- 감상
본문내용
트산이온
의 pH기여도는 작다.
[OH-] ≒ NaOH의 농도 =
= 0.0192 M
pOH = -log0.0192 = 1.72
pH = 14.00 - 1.72 = 12.28
▷ 염기를 30mL 첨가한 후의 pH
이때는 NaOH가 과량으로 존재하게 되고 NaOH는 강염기이므로 약염기인 아세트산이온
의 pH기여도는 작다.
[OH-] ≒ NaOH의 농도 =
= 0.0455 M
pOH = -log0.0455 = 1.34
pH = 14.00 - 1.34 = 12.66
이번 실험에서는 산과 염기의 반응을 통해서 모르는 산과 염기의 농도를 알 수 있었고 실생활에 쓰이는 식초, 아스피린, 제산제의 순도를 알 수 있었다. 식초의 순도는 7.92%, 아스피린의 순도는 30.4%, 제산제의 순도는 54%로 나왔다. 실험할 때 제품의 순도를 보지 못해서 비교를 할 수가 없다. 하지만 가장 일반적인 식초 제품을 조사해본 결과 순도가 6~7 %로 실험값과 차이가 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①~③까지 실험에서 모두 실제 순도와 차이가 날 것이다. 실험에는 여러 가지 오차가 발생할 수 있기 때문이다. 무게나 부피를 측정할 때 기기 자체의 불확실도도 있고 측정자의 잘못도 있을 수 있다. 적정이 끝나는 종말점을 정할 때 p.p의 분홍색이 나타나기 시작하고 색이 30초 이상 지속된 후 없어지면 NaOH 용액을 한 방울 더 넣어주고 이 때를 종말점이라 정한다. 이 종말점은 실험결과가 정확하기 위해서는 당량점(산과 염기가 완전히 중화반응하는 점)과 같아야 한다. 하지만 지시약 변화를 관찰하면서 알아내는 것만으로는 실제로 정확히 중화반응을 했는 지 알기 어려움으로 적정에 들어간 용액의 양이 이론적 양과는 다르기 때문에 오차가 났을 것이다. ③실험에서는 다른 실험보다 오차가 많이 났을 것으로 예상된다. 역적정이었기 때문에 해당하는 또 다른 오차 원인으로는 실제, 이론 반응에서의 차이를 들 수 있다. 이론 반응식에 나오는 데로 몰수비가 정확히 실험에서 지켜지기는 어렵다. 실험①에서의 산(아세트산)의 농도는 1.3(M)이었다. 실험② 산(아스피린)의 농도는 0.045(M), 실험③에서의 농도는 염기(제산제)의 농도로 0.25(M)로 나왔다. 이 농도도 불확실도를 포함한다. 부피, 무게 측정에서의 오차가 있을 수 있고 특히 아스피린과 제산제는 용매에 제대로 녹지 않아서 정확한 실험값을 얻을 수 없었다. 따라서 모르는 산, 염기의 부피도 정확하지 않게 된다. 용매에 완전 녹았을 때 부피를 대입해서 풀었기 때문이다. 이 농도의 계산에 앞에서 말한 오차의 원인을 일으키는 요인들이 들어가기 때문에 같은 오차 원인이 발생했을 수 있다. 그리고 온도에 의해 결과가 틀려졌을 수 있다. 온도에 따라 이온화 되는 정도라던지 반응성이 틀려지기 때문에 교반기에 올려놓고 녹인 후 식은 뒤 적정을 하는 데서 오차가 발생했을 가능성이 있다.
감상
이번 실험에서는 생활 속에서 찾아볼 수 있는 산과 염기를 통해서 화학이 우리 생활에 밀접해 있다는 것을 새삼 깨달을 수 있었다. 이 실험도 역시 오차가 나왔지만 실험을 하면 할수록 오차가 줄어드는 느낌이다. 이런 실험을 열심히 신중하게 하면서 실력을 쌓아야 나중에 중요한 실험을 할 때 실수를 하지 않을 것 같다. 그런데 화학 실험을 할수록 점점 어려워지는 것 같은 기분이 든다. 실험 자체는 그렇지 않아도 보고서 쓸 때 이론적으로 풀어나가야 할 것이 많아져서 그런 것 같다. 이번 실험 보고서를 쓰면서 고등학교때 보던 책을 다시 뒤져서 보며 머리를 쓰고 하는 데 얼마나 골치를 먹었는 지 모른다. 하지만 적고 보니 내 스스로에게도 뿌듯하고 전공 공부에도 도움이 많이 된 것 같다.
의 pH기여도는 작다.
[OH-] ≒ NaOH의 농도 =
= 0.0192 M
pOH = -log0.0192 = 1.72
pH = 14.00 - 1.72 = 12.28
▷ 염기를 30mL 첨가한 후의 pH
이때는 NaOH가 과량으로 존재하게 되고 NaOH는 강염기이므로 약염기인 아세트산이온
의 pH기여도는 작다.
[OH-] ≒ NaOH의 농도 =
= 0.0455 M
pOH = -log0.0455 = 1.34
pH = 14.00 - 1.34 = 12.66
이번 실험에서는 산과 염기의 반응을 통해서 모르는 산과 염기의 농도를 알 수 있었고 실생활에 쓰이는 식초, 아스피린, 제산제의 순도를 알 수 있었다. 식초의 순도는 7.92%, 아스피린의 순도는 30.4%, 제산제의 순도는 54%로 나왔다. 실험할 때 제품의 순도를 보지 못해서 비교를 할 수가 없다. 하지만 가장 일반적인 식초 제품을 조사해본 결과 순도가 6~7 %로 실험값과 차이가 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①~③까지 실험에서 모두 실제 순도와 차이가 날 것이다. 실험에는 여러 가지 오차가 발생할 수 있기 때문이다. 무게나 부피를 측정할 때 기기 자체의 불확실도도 있고 측정자의 잘못도 있을 수 있다. 적정이 끝나는 종말점을 정할 때 p.p의 분홍색이 나타나기 시작하고 색이 30초 이상 지속된 후 없어지면 NaOH 용액을 한 방울 더 넣어주고 이 때를 종말점이라 정한다. 이 종말점은 실험결과가 정확하기 위해서는 당량점(산과 염기가 완전히 중화반응하는 점)과 같아야 한다. 하지만 지시약 변화를 관찰하면서 알아내는 것만으로는 실제로 정확히 중화반응을 했는 지 알기 어려움으로 적정에 들어간 용액의 양이 이론적 양과는 다르기 때문에 오차가 났을 것이다. ③실험에서는 다른 실험보다 오차가 많이 났을 것으로 예상된다. 역적정이었기 때문에 해당하는 또 다른 오차 원인으로는 실제, 이론 반응에서의 차이를 들 수 있다. 이론 반응식에 나오는 데로 몰수비가 정확히 실험에서 지켜지기는 어렵다. 실험①에서의 산(아세트산)의 농도는 1.3(M)이었다. 실험② 산(아스피린)의 농도는 0.045(M), 실험③에서의 농도는 염기(제산제)의 농도로 0.25(M)로 나왔다. 이 농도도 불확실도를 포함한다. 부피, 무게 측정에서의 오차가 있을 수 있고 특히 아스피린과 제산제는 용매에 제대로 녹지 않아서 정확한 실험값을 얻을 수 없었다. 따라서 모르는 산, 염기의 부피도 정확하지 않게 된다. 용매에 완전 녹았을 때 부피를 대입해서 풀었기 때문이다. 이 농도의 계산에 앞에서 말한 오차의 원인을 일으키는 요인들이 들어가기 때문에 같은 오차 원인이 발생했을 수 있다. 그리고 온도에 의해 결과가 틀려졌을 수 있다. 온도에 따라 이온화 되는 정도라던지 반응성이 틀려지기 때문에 교반기에 올려놓고 녹인 후 식은 뒤 적정을 하는 데서 오차가 발생했을 가능성이 있다.
감상
이번 실험에서는 생활 속에서 찾아볼 수 있는 산과 염기를 통해서 화학이 우리 생활에 밀접해 있다는 것을 새삼 깨달을 수 있었다. 이 실험도 역시 오차가 나왔지만 실험을 하면 할수록 오차가 줄어드는 느낌이다. 이런 실험을 열심히 신중하게 하면서 실력을 쌓아야 나중에 중요한 실험을 할 때 실수를 하지 않을 것 같다. 그런데 화학 실험을 할수록 점점 어려워지는 것 같은 기분이 든다. 실험 자체는 그렇지 않아도 보고서 쓸 때 이론적으로 풀어나가야 할 것이 많아져서 그런 것 같다. 이번 실험 보고서를 쓰면서 고등학교때 보던 책을 다시 뒤져서 보며 머리를 쓰고 하는 데 얼마나 골치를 먹었는 지 모른다. 하지만 적고 보니 내 스스로에게도 뿌듯하고 전공 공부에도 도움이 많이 된 것 같다.
키워드
추천자료
산 염기 적정 실험
침팬지 염기서열 분석 및 인간 지놈과의 비교
산과 염기의 반응
한경희생활과학 기업분석 보고서
[화학공학] 완충용액 - 산, 염기 반응의 ph적정원리, 완충용약을 사용하는 목적
웃음치료의 방법과 생활 속의 웃음치료 - 웃음치료의 개념, 분석, 효과, 방법
[산, 산처리, 산화, 산도, 유기산, 질산, 핵산, DNA, 젖산균, 아황산가스]산과 산처리, 산과 ...
[산도, 산도 적정법, 산도 실험, 산도와 물, 산도와 알칼리도, 물, 알칼리도]산도의 적정법, ...
[화학, 중화적정 반응속도, Kjeldhl질소정량법(켈달법, 킬달법), 암모니아]화학의 역사, 화학...
[재생산][문화재생산][확대재생산][단순재생산][성별재생산][경제재생산][생산][문화][성별][...
[생산][지식생산][문화재생산][문학생산][텍스트생산][지식][문화][문학][텍스트]지식생산, ...
[생산][텍스트생산][문화재생산][문학생산][지식생산][텍스트][문화][문학][지식]텍스트생산,...
[무기화학 및 분석화학 실험] 02[결과]. H3PO4와 H2SO4 혼합물 중의 각 성분의 정량, Mohr법...
생물정보학 - 염기서열을 이용한 유전자 분석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