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0. 서론
1. 문헌고찰
2. 간호사정
3. 진단적 검사
4. 약물요법
5. 대상자의 간호진단
6. 대상자의 건강문제 해결을 위한 간호계획, 수행 및 평가
7. 결론 및 제언
8. 참고문헌
1. 문헌고찰
2. 간호사정
3. 진단적 검사
4. 약물요법
5. 대상자의 간호진단
6. 대상자의 건강문제 해결을 위한 간호계획, 수행 및 평가
7. 결론 및 제언
8. 참고문헌
본문내용
다.7. 환자의 호흡양상을 관찰한다.
간호진단
간호계획
수행
이론적 근거
평가
염증과 관련된 고체온(3)
목표
계획
1. 2시간마다 활력징후를 측정하고 관찰/기록 하였다.
2. 감염증상을 관찰한다.
- Lap 결과를 수시로 관찰한다.
3. 처방된 약물을 투약하고 대상자의 변화를 관찰하였다.
5. Tepid massage를 시행 하였다.
6. 커텐을 치고 아늑한 실내환경을 만들어 주었다.
1. 고 체온시 시에 활력징후에 변화가 생긴다.
2. Lap결과를 확인하여 대상자의 감염상태를 알 수 있다.
3. 처방된 약물을 투약하여 대상자의 증세를 완화시킬 수 있다.
4. 아이스팩은 체온을 낮추고 Tepid massage는염증감소와 부종생성을 억제하고 열을 떨어드려 준다
5. 편안한 실내환경은 대상자의 불안을 완화시켜 준다.
1. 대상자는 정상체온을 유지하였다.
(37.5 -> 36.8)
2. 활력징후가 정상 범위 내를 유지 했다
(BP:130/70, T:37.5, P:88 R:20)
-> (BP:120/70, T:36.8, P:80, R:20)
<장기목표>
한달 이내에 대상자의 체온이 정상범위 내를 유지할 것이다.
<단기목표>
- 8시간 이내 정상 체온을 유지할 것이다.
- 혈압 맥박이 정상 범위 내를 유지한다.
1. 2시간마다 활력징후를 측정하고 관찰/기록 한다.
2. 감염증상을 관찰한다.
3. 처방된 약물을 투약한다.
4. 아이스팩, Tepid massage를 시행한다.
5. 실내환경를 편안하게 만들어 준다
간호진단
간호계획
수행
이론적 근거
평가
통증과 관련된 수면장애(4)
목표
계획
1. 오후에 산책 등으로 가벼운 운동을 하였다.
2. 잠자기 직전에 물 섭취를 제한하고 자기 전 2시간 전에 간단한 운동을 하는 것과 미온수로 샤워하는 것, 그리고 따뜻한 우유한잔을 마시는게 숙면을 취하는데 좋다고 설명하였다.
3. 불규칙한 생활습관, 낮잠 자는 것이 밤에 취침하는데 좋지 않음을 설명하였다.
4. 밤에 통증으로 인해 수면이 방해되어 진통제를 투여하였다.
1. 가벼운 운동이 체온 변화에 탄력을 줘서 보다 나은 수면을 취하게 도와준다.
2. 수면 도중에 소변으로 인해 잠을 깨지 않도록 하고 따뜻한 우유로 공복감을 해소하고 칼로리가 있을 뿐 아니라 수면물질의 원료가 되는 저급지방산이 함유되어 있으니깐 잠이 안 올때 가볍게 마시면 효과적이다.
3. 낮 수면을 제한함으로써 밤에 수면을 유도할 수 있다.
4. 진통제 투약으로 통증을 감소시킨다.
- 보호자께서 왠만하면 낮잠을 자지 않으려고 노력하고 있다고 하셨으며 규칙적인 취침시간을 정해 주무시려고 노력하신다고 하였다.
- 통증을 호소하는 횟수가 줄어들었다.
- 밤에 수면시간이 증가하였고, 중간에 깨는 횟수가 감소하였다.
장기목표 :
대상자는 2주 이내에 숙면을 취할 수 있다.
단기목표 :
1. 1주일 이내에 화학적 도움을 받지 않고 숙면을 취했다고 말 할 수 있다.
2. 1주일 이내에 얼굴색이 좋아짐을 확인할 수 있다.
3. 1주일 이내에 정상적인 낮과 밤의 생활습관으로 바꿨다고 말 할 수 있다.
1. 규칙적 취침습관을 위해 정해진 취침시간에 대한 중요성을 대상자와 보호자에게 설명한다.
2. 정상취침을 하기 위해 좋은 습관을 교육한다.
3. 필요시 처방된 약물을 드리고 관찰한다.
간호진단
간호계획
수행
이론적 근거
평가
소량의 식이섭취와
관련된 변비(5)
목표
계획
1. 유산균음료, 과일, 채소 섭취를 권장하였다.
2. 하루에 수분을 2~3L정도 많이 마시도록 교육하였다.
3. 식사시 육류보다는 식이섬유가 많은 채소에 비중을 두는게 좋다고 설명하였다.
4. 장운동을 활성화 시키기 위해서 산책을 권장하였다.
5. 취침전에 로션이나 맛사지 오일을 이용해 배 맛사지를 하도록 교육하였다.
1. 유산균이 많이 든 식품은 배변을 원활하게 해준다.
2. 물은 대장을 매끄럽게 해주어 변비 해결에 효과적이다.
3. 적당한 운동은 배변을 원활히 해준다.
1. 보호자께서 하루에 수분을 2~3L를 마시지는 못하지만 수분양을 점차 늘려간다고 말했다.
2. 매일 시간 날 때마다 병원복도와 주변을 산책하신다고 말했다.
3. 4일만에 소량의 대변을 보셨다고 말했다.
장기목표 :
대상자는 한 달 이내에 정상 배변을 볼 수 있고 배변 보는데에 전혀 어려움이 없다.
단기목표 :
1. 1주일 이내에 화학적 도움을 받지 않고 변을 본다.
2. 3일 이내에 변을 보았다고 말 할 수 있다.
- 정상배변을 보기 위해 좋은 습관을 보호자와 환자에게 교육한다.
- 규칙적인 배변습관을 위해 변의를 느낄시 즉시 보아야 하는 것에 대한 중요성을 설명한다.
- 대상자는 음식섭취량이 증가한다.
- 배변에 좋은 음식들을 교육하고 식단을 권장 한다.
결론 및 제언
상기환자는 3/24일 Traumatic Subdural hemorrhage로 응급실로 입원하여 통증, 그로인한 수면장애, 감염의 위험성, 고체온, 불안 등 여러 가지 간호문제점들이 관찰 되었고 통증과 불안으로 인하여 발생하였던 수면장애는 어느 정도 해결 되었으나 LAB data 확인 결과 약간의 염증소견이 발견되어 잠재적 감염의 위험성은 아직 남아 있어 지속적인 관찰이 필요 할 것이다. 실습하면서 면담하는 동안 많이 힘들어하셔서 정신적, 영적인 간호 진단은 내리지 못하였으나 개인의 프라이버시에 대하여 좀 더 신중하게 생각해 볼 수 있는 기회가 된 것 같다.
어느 대상자를 간호 하는것은 모두 마찬가지겠지만 대상자를 간호하는데 있어서 질환에 대한 지식과 기술 모두를 갖추는 것이 정말 중요한 것 같다. 그리고 대상자를 간호하는데 있어서 대상자의 개별성을 중시하고, 대상자 개개인 마다 다른 간호를 실시할 수 있도록 관찰, 사정하는 것이 중요할 것이다.
처음 하는 실습이라 잦은 실수와 많은 긴장을 하였지만 지금 되돌아 보는 시점에서 많은 걸 접하고 많은걸 배울 수 있었다.
<참고문헌>
간호과정 - 과학적, 체계적 문제 접근 <정문각>
성인간호학 Ⅱ <수문사>
CIBA원색도해의학총서
서울 아산병원: http://healthinfo.amc.seoul.kr/
기본간호중재와 적용 <수문사>
간호진단
간호계획
수행
이론적 근거
평가
염증과 관련된 고체온(3)
목표
계획
1. 2시간마다 활력징후를 측정하고 관찰/기록 하였다.
2. 감염증상을 관찰한다.
- Lap 결과를 수시로 관찰한다.
3. 처방된 약물을 투약하고 대상자의 변화를 관찰하였다.
5. Tepid massage를 시행 하였다.
6. 커텐을 치고 아늑한 실내환경을 만들어 주었다.
1. 고 체온시 시에 활력징후에 변화가 생긴다.
2. Lap결과를 확인하여 대상자의 감염상태를 알 수 있다.
3. 처방된 약물을 투약하여 대상자의 증세를 완화시킬 수 있다.
4. 아이스팩은 체온을 낮추고 Tepid massage는염증감소와 부종생성을 억제하고 열을 떨어드려 준다
5. 편안한 실내환경은 대상자의 불안을 완화시켜 준다.
1. 대상자는 정상체온을 유지하였다.
(37.5 -> 36.8)
2. 활력징후가 정상 범위 내를 유지 했다
(BP:130/70, T:37.5, P:88 R:20)
-> (BP:120/70, T:36.8, P:80, R:20)
<장기목표>
한달 이내에 대상자의 체온이 정상범위 내를 유지할 것이다.
<단기목표>
- 8시간 이내 정상 체온을 유지할 것이다.
- 혈압 맥박이 정상 범위 내를 유지한다.
1. 2시간마다 활력징후를 측정하고 관찰/기록 한다.
2. 감염증상을 관찰한다.
3. 처방된 약물을 투약한다.
4. 아이스팩, Tepid massage를 시행한다.
5. 실내환경를 편안하게 만들어 준다
간호진단
간호계획
수행
이론적 근거
평가
통증과 관련된 수면장애(4)
목표
계획
1. 오후에 산책 등으로 가벼운 운동을 하였다.
2. 잠자기 직전에 물 섭취를 제한하고 자기 전 2시간 전에 간단한 운동을 하는 것과 미온수로 샤워하는 것, 그리고 따뜻한 우유한잔을 마시는게 숙면을 취하는데 좋다고 설명하였다.
3. 불규칙한 생활습관, 낮잠 자는 것이 밤에 취침하는데 좋지 않음을 설명하였다.
4. 밤에 통증으로 인해 수면이 방해되어 진통제를 투여하였다.
1. 가벼운 운동이 체온 변화에 탄력을 줘서 보다 나은 수면을 취하게 도와준다.
2. 수면 도중에 소변으로 인해 잠을 깨지 않도록 하고 따뜻한 우유로 공복감을 해소하고 칼로리가 있을 뿐 아니라 수면물질의 원료가 되는 저급지방산이 함유되어 있으니깐 잠이 안 올때 가볍게 마시면 효과적이다.
3. 낮 수면을 제한함으로써 밤에 수면을 유도할 수 있다.
4. 진통제 투약으로 통증을 감소시킨다.
- 보호자께서 왠만하면 낮잠을 자지 않으려고 노력하고 있다고 하셨으며 규칙적인 취침시간을 정해 주무시려고 노력하신다고 하였다.
- 통증을 호소하는 횟수가 줄어들었다.
- 밤에 수면시간이 증가하였고, 중간에 깨는 횟수가 감소하였다.
장기목표 :
대상자는 2주 이내에 숙면을 취할 수 있다.
단기목표 :
1. 1주일 이내에 화학적 도움을 받지 않고 숙면을 취했다고 말 할 수 있다.
2. 1주일 이내에 얼굴색이 좋아짐을 확인할 수 있다.
3. 1주일 이내에 정상적인 낮과 밤의 생활습관으로 바꿨다고 말 할 수 있다.
1. 규칙적 취침습관을 위해 정해진 취침시간에 대한 중요성을 대상자와 보호자에게 설명한다.
2. 정상취침을 하기 위해 좋은 습관을 교육한다.
3. 필요시 처방된 약물을 드리고 관찰한다.
간호진단
간호계획
수행
이론적 근거
평가
소량의 식이섭취와
관련된 변비(5)
목표
계획
1. 유산균음료, 과일, 채소 섭취를 권장하였다.
2. 하루에 수분을 2~3L정도 많이 마시도록 교육하였다.
3. 식사시 육류보다는 식이섬유가 많은 채소에 비중을 두는게 좋다고 설명하였다.
4. 장운동을 활성화 시키기 위해서 산책을 권장하였다.
5. 취침전에 로션이나 맛사지 오일을 이용해 배 맛사지를 하도록 교육하였다.
1. 유산균이 많이 든 식품은 배변을 원활하게 해준다.
2. 물은 대장을 매끄럽게 해주어 변비 해결에 효과적이다.
3. 적당한 운동은 배변을 원활히 해준다.
1. 보호자께서 하루에 수분을 2~3L를 마시지는 못하지만 수분양을 점차 늘려간다고 말했다.
2. 매일 시간 날 때마다 병원복도와 주변을 산책하신다고 말했다.
3. 4일만에 소량의 대변을 보셨다고 말했다.
장기목표 :
대상자는 한 달 이내에 정상 배변을 볼 수 있고 배변 보는데에 전혀 어려움이 없다.
단기목표 :
1. 1주일 이내에 화학적 도움을 받지 않고 변을 본다.
2. 3일 이내에 변을 보았다고 말 할 수 있다.
- 정상배변을 보기 위해 좋은 습관을 보호자와 환자에게 교육한다.
- 규칙적인 배변습관을 위해 변의를 느낄시 즉시 보아야 하는 것에 대한 중요성을 설명한다.
- 대상자는 음식섭취량이 증가한다.
- 배변에 좋은 음식들을 교육하고 식단을 권장 한다.
결론 및 제언
상기환자는 3/24일 Traumatic Subdural hemorrhage로 응급실로 입원하여 통증, 그로인한 수면장애, 감염의 위험성, 고체온, 불안 등 여러 가지 간호문제점들이 관찰 되었고 통증과 불안으로 인하여 발생하였던 수면장애는 어느 정도 해결 되었으나 LAB data 확인 결과 약간의 염증소견이 발견되어 잠재적 감염의 위험성은 아직 남아 있어 지속적인 관찰이 필요 할 것이다. 실습하면서 면담하는 동안 많이 힘들어하셔서 정신적, 영적인 간호 진단은 내리지 못하였으나 개인의 프라이버시에 대하여 좀 더 신중하게 생각해 볼 수 있는 기회가 된 것 같다.
어느 대상자를 간호 하는것은 모두 마찬가지겠지만 대상자를 간호하는데 있어서 질환에 대한 지식과 기술 모두를 갖추는 것이 정말 중요한 것 같다. 그리고 대상자를 간호하는데 있어서 대상자의 개별성을 중시하고, 대상자 개개인 마다 다른 간호를 실시할 수 있도록 관찰, 사정하는 것이 중요할 것이다.
처음 하는 실습이라 잦은 실수와 많은 긴장을 하였지만 지금 되돌아 보는 시점에서 많은 걸 접하고 많은걸 배울 수 있었다.
<참고문헌>
간호과정 - 과학적, 체계적 문제 접근 <정문각>
성인간호학 Ⅱ <수문사>
CIBA원색도해의학총서
서울 아산병원: http://healthinfo.amc.seoul.kr/
기본간호중재와 적용 <수문사>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