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Thunen의 농업입지론
2. Burgess의 동심원 이론
3. Hoyt의 선형 이론
4. Harris, Ullman의 다핵심 이론
2. Burgess의 동심원 이론
3. Hoyt의 선형 이론
4. Harris, Ullman의 다핵심 이론
본문내용
의한 확장" 이라는 개념은 고속도로의 건설과 자동차의 대중화로 인해 적용되지 않는다.
3) 당시 미국 도시들을 위해 만들어진 이론이므로 다른곳에서의 활용성이 떨어진다. 산업구조가 다른 지역에서는 적용이 되지 않는다.
4) 인종, 사회와 직업 등에는 수많은 차이점이 존재하기 때문에 일하는 곳과 주거지역을 공간적으로 분리하는 모델은 20세기에 이르기까지 줄곧 일반화되지 못했다.
그러나 버제스의 모델은 20세기 초중반 미국 도시들의 성장과 도시 토지이용의 복잡성을 설명하고 또한, 유용한 동심원적 도시 발달개념을 보여주었다.
3. Hoyt의 선형 이론
Hoyt는 미국의 도시 패턴을 연구하는 도중에 선로변의 저소득층 세대 입지라든가 사무 공간에서의 상업 입지 등 여러 공통점을 발견하고 방향과 시간의 영향을 거리에 포함시켜 동심원 모델을 수정하였다(1939). 기차선로나 주요도로는 영역(선형)의 생성에 많은 영향을 주기 때문에 수송은 방향적 영향을 토지이용에 미치게 된다. 높은 접근성은 높은 토지의 가치를 말해주기 때문에 많은 상업기능이 CBD(Central Business District)에 남을 수도 있고, 공업 활동은 수송노선을 따라 발전할 수 있는 것이다. 이런 사항들을 고려할 때, Hoyt의 선형이론은 접근성에 대한 수송체계의 영향을 고려하여 동심원 모델을 수정한 것이라 할 수 있다.
4. Harris, Ullman의 다핵심 이론
도시의 크기가 커지면서 많은 주변지역과 도시들이 하나의 CBD를 중심으로 성장하지 않고 몇개의 분리된 핵심을 중심으로 성장하는 도시패턴을 보였다. 이 핵심(결절점)들은 성장 과정에서 특화되고 분화되며 거리가 아닌 다음 사항들에 의해 입지 관계를 가진다.
1) 차별적 접근성
어떤 활동은 항구나 기차 터미널과 같이 특화된 시설을 필요로 한다.
2) 화합적 토지이용
비슷한 활동그룹들은 서로 근접하여 상호관계를 증진시켜서 경제효과를 높일 수 있다.
3) 불화합적 토지이용
고급주거지나 중공업과 같은 활동은 서로 떨어지게 된더.
4) 적당한 입지
어떤 활동은 그 활동에 맞는 최선의 입지를 할 만한 자본적 여유가 되지 않으므로 싼 곳에 입지하지만 이는 적절한 입지라고 할 수 있다.
Harris와 Ullman의 연구는 도시지역의 분화를 처음으로 다룬 모델이다.
출처 및 참고문헌
네이버(www.naver.com), 구글(google.com)
위키피디아(ko.wikipedia.org)
3) 당시 미국 도시들을 위해 만들어진 이론이므로 다른곳에서의 활용성이 떨어진다. 산업구조가 다른 지역에서는 적용이 되지 않는다.
4) 인종, 사회와 직업 등에는 수많은 차이점이 존재하기 때문에 일하는 곳과 주거지역을 공간적으로 분리하는 모델은 20세기에 이르기까지 줄곧 일반화되지 못했다.
그러나 버제스의 모델은 20세기 초중반 미국 도시들의 성장과 도시 토지이용의 복잡성을 설명하고 또한, 유용한 동심원적 도시 발달개념을 보여주었다.
3. Hoyt의 선형 이론
Hoyt는 미국의 도시 패턴을 연구하는 도중에 선로변의 저소득층 세대 입지라든가 사무 공간에서의 상업 입지 등 여러 공통점을 발견하고 방향과 시간의 영향을 거리에 포함시켜 동심원 모델을 수정하였다(1939). 기차선로나 주요도로는 영역(선형)의 생성에 많은 영향을 주기 때문에 수송은 방향적 영향을 토지이용에 미치게 된다. 높은 접근성은 높은 토지의 가치를 말해주기 때문에 많은 상업기능이 CBD(Central Business District)에 남을 수도 있고, 공업 활동은 수송노선을 따라 발전할 수 있는 것이다. 이런 사항들을 고려할 때, Hoyt의 선형이론은 접근성에 대한 수송체계의 영향을 고려하여 동심원 모델을 수정한 것이라 할 수 있다.
4. Harris, Ullman의 다핵심 이론
도시의 크기가 커지면서 많은 주변지역과 도시들이 하나의 CBD를 중심으로 성장하지 않고 몇개의 분리된 핵심을 중심으로 성장하는 도시패턴을 보였다. 이 핵심(결절점)들은 성장 과정에서 특화되고 분화되며 거리가 아닌 다음 사항들에 의해 입지 관계를 가진다.
1) 차별적 접근성
어떤 활동은 항구나 기차 터미널과 같이 특화된 시설을 필요로 한다.
2) 화합적 토지이용
비슷한 활동그룹들은 서로 근접하여 상호관계를 증진시켜서 경제효과를 높일 수 있다.
3) 불화합적 토지이용
고급주거지나 중공업과 같은 활동은 서로 떨어지게 된더.
4) 적당한 입지
어떤 활동은 그 활동에 맞는 최선의 입지를 할 만한 자본적 여유가 되지 않으므로 싼 곳에 입지하지만 이는 적절한 입지라고 할 수 있다.
Harris와 Ullman의 연구는 도시지역의 분화를 처음으로 다룬 모델이다.
출처 및 참고문헌
네이버(www.naver.com), 구글(google.com)
위키피디아(ko.wikipedia.org)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