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상력 세계의 메커니즘 중간고사 정리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 39
  • 40
  • 41
  • 42
  • 43
  • 44
  • 45
  • 46
  • 47
해당 자료는 10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0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상상력 세계의 메커니즘 중간고사 정리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3차원적 시각으로 전환해야 한다.
● 공간 지각력을 잃은 시야
- 우리는 3차원의 공간에서 생활하고 살아가면서도 자꾸 2차원이나 심지어 1차원의 시각으로 세상을 바라보려는 경향이 있다.
- 세상은 날로 복잡해진다. 그런데 우리의 사고는 점점 더 단순해지는 경향이 있다.
- 사정이 이렇다 보니 복잡한 세상은 아주 골치 아픈 세상이 되어 버린다. 이해할 수 없는 세상이기 때문이다.
- 현상은 다각화 되는데, 그 현상을 바라보는 시각은 공간 지각력을 갖추고 있지 않기 때문이다.
- 왜 이렇게 되었을까?
● 캐나다 토론토 학파
- Harold Innis (1894-1952) - Marshall McLuhan(1911-1980)
- Walter J. Ong(1912-2003)
- Harold Innis는 그의 저서 『제국과 커뮤니케이션(Empire and Communication)』(1950)과 『커뮤니케이션의 편향(The Bias of Communication)』(1951)을 통하여 ‘커뮤니케이션의 매체들이 인간의 정신을 구조화하고, 그것을 바탕으로 생성된 문화의 성격을 좌우한다’는 주장을 전개하였다.
- 특히 <>에서 그는 미디어를 ‘시간 편향적인 것’과 ‘공간 편향적인 것’으로 구문하였다.
● 미디어란?
- 여기서 미디어(Mediun < Media) 란 내용(contents)를 담는 그릇을 의미한다.
- 따라서 미디어는 매개체이자 운반체를 말한다.
- 또한 미디어는 의사소통을 위한 도구이며, 인간의 가장 기초적인 미디어는 언어와 문자이다.
- 언어를 기록하는 문자를 간직하는 고대의 미디어로 Innis가 주목한 것은 돌이란 매체이다.
● 시간 편향적 미디어
돌 : 오벨리스크, 스핑크스 등과 같이 암석에 새긴 문자
돌이란 미디어는 시간적으로 오래 지속되지만, 공간적으로 확산되지 못한다는 단점이 있음
따라서 돌을 매체로 사용하는 문화에서는 지식의 성격도 지속성을 지향한다.
그런 특성은 영혼불멸성이란 사상과 함께 시간을 지배하고자 하는 종교적 성향을 강화시킨다.
● 공간 편향적 미디어
종이 : 공간적 확산은 용이하지만, 지속성이 미약.
공간확산 = 공간정복
군사적이며 제국주의적 성향
이런 사회에서는 행정, 법이 중시됨
● 이집트 문명의 경우
돌에 기록을 남기고 미라를 만들던 이집트 문명은 시간편향적 이었다.
이 시기의 이집트 문명은 공간적 문제를 해결하지 못했기 때문에, 변방의 비주류가 중앙의 권력매체에서 벗어나 자신들만의 매체를 만들었다.
그러나 ‘파피루스’라는 새로운 미디어 매체의 등장으로 이집트 문명이 변화한다.
이때의 이집트 공간 확산적 사회로, 상업적이고 실용적인 사회로 변화한다.
결국 새로운 medium의 등장이 사회의 변혁을 이끈다.
● 미디어 편향성의 문제
한 문명이 제대로 유지되기 위해서는 시간이나 공간에 대한 ‘편향bias’ 없는 균형이 유지되어야 한다.
한 문명의 최고 전성기는 그것이 몰락하기 직전에 나타난다.
즉 자신의 편향성을 최대한 펼쳐 보인 후 몰락한다.
헤겔의 표현을 빌리자면, “미네르바의 올빼미는 해가 질 녘에야 비로소 날기 시작”하는 것이다.
● 제국과 문자
- Innis에 따르면, 이집트 로마와 같은 제국은 문자가 소통되는 시기부터 건설되기 시작한다.
- 이것은 제국의 탄생이 단지 군사력에만 의존하는 것이 아니라, 커뮤니케이션의 기술문제와 연계되어 있다는 뜻이다.
- 이런 관점에서, 전신전화 등과 같은 Telecommunication의 등장은 중앙집권형의 권력 구조를 강화시켜주는 역할을 한다.
- 그리고 중앙집권형 권력구조를 가진 세계는 착취하는 중심부와 착취당하는 주변부로 구조화 된다.
Innis의 관점에 따른 그리스 문명 vs. 로마 문명
그리스 문명
로마 문명
구술 문화
문자 문화
시간적 매체
공간적 매체
그리스는 문자의 도입이 늦었기 때문에 형상적인 이미지 사유가 발달
따라서 찬란한 시각예술이 발달
소수의 지식인만이 공유한 문자문화
따라서 이 소수가 커뮤니케이션의 수단을 장악
지식의 독점 = 권력 장악
: 로마가 공화정에서 제정으로 변한 이유 중 하나
자체적으로 확산되지 못하고, 훗날 로마에 의해 세계적으로 보급됨.
황제의 명령은 문서를 통해 변방에 전달되는 통치 방식 = 공간 장악
공간 편향성의 로마는 기독교의 도입을 통하여 시간의 영속성 문제 해결
Walter J. Ong의 이론
인간의 문화는 구술문화에서 문자문화로 발전해왔다.
현대사회는 새로운 전자매체에 힘입어 또 다른 형태의 구술문화로 나아가고 있다.
하지만 이것은 1차 구술문화와는 다른 글쓰기를 토대로 하는 2차 구술문화이다.
구술문화는 화용론적이기 때문에 분석적추론적이기보다는 장황하고, 다변적이며, 논쟁적인 어조를 강하게 표출한다. 그것은 또한 감정적이고, 참여적이며, 상황 의존적 성격이 강하다.
이처럼 2차 구술문화는 인간의식을 재구조화하고, 인간의 감각을 재배합 하고, 문화의 양상을 변화시킨다.
통신매체에 따라 인간의 ‘감각비율 Sense ratio’이 바뀐다.
McLuhan : “The medium is the message.”
미디어(형식)가 메시지(내용, 콘텐츠)를 결정한다.
최초의 인류사회는 구어사회이고, 구어사회는 청각적 공간 형성
구어사회에서는 부족민 모두가 비슷한 지식 향유
문자의 발명으로 청각공간이 시각공간으로 바뀜
탈부족화 현상이 일어나면서 인간을 내성적이고 이성적이며 개인적인 존재로 변화시킴
지식의 국지화 전문화 가속 ⇒ 국가주의 발생
구텐베르크 은하계의 소산
문자의 발명과 더불어 인간은 책을 읽게 되었다.
독서는 혼자서 지식의 습득을 가능하게 한다. 이렇게 개인주의가 발생하고, 개인의 정치적 관점이 형성되면서 이데올로기 또한 발생하였다.
인간은 또한 글을 읽으면서 동시적이고 통시적인 사유보다 순차적인 선형적 사고에 익숙 해진다. 그러나 “문자 위주의 문명이 지나친 논리성을 강조함으로써 인간 본래의 감각을 억압한다.”(McLuhan).
“문자문화의 논리성 강조가 인간 본래의 감각을 억압한다”면, 동시적이고 통시적인 사유능력의 부활을 어떻게 유도할 수 있는가?
  • 가격1,500
  • 페이지수47페이지
  • 등록일2015.04.21
  • 저작시기2015.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96471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