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소년 문제행동] 청소년 섭식장애(Eating Disorder) : 청소년 섭식장애 실태 및 진단평가 - 섭식장애의 실태, 섭식장애의 사례(거식증의 사례, 폭식증의 사례), 섭식장애 진단 및 평가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청소년 문제행동] 청소년 섭식장애(Eating Disorder) : 청소년 섭식장애 실태 및 진단평가 - 섭식장애의 실태, 섭식장애의 사례(거식증의 사례, 폭식증의 사례), 섭식장애 진단 및 평가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섭식장애의 실태

2. 섭식장애의 사례
 (1) 거식증의 사례
 (2) 폭식증의 사례

3. 진단 및 평가

참고문헌

본문내용

의 질문지들이다.
이들 중 섭식태도검사(EAT)는 40문항으로 구성되어 있으며,거식증적인 태도와 신념을 평가하기 위한 것이다. 이 검사는 거식증과 폭식증을 구별하지는 못하나,폭식증과 정상인을 변별하는 데는 유용하다. 우리나라에서는 이상선(1993)이 번역하여 사용하였다. 또한 섭식장애검사(EDI)는 거식증과 폭식증의 인지행동적 특징을 평가하기 위한 검사로 총 64문항, 8개의 하위척도로 이루어져 있으며,신뢰도와 타당도도 모두 양호하고 규준도 마련되어 있다. 1991년에 나온 개정판은 3개척도 27문항이 추가되었으며,이를 우리 나라의 이임순(1997)이 번역하였다.
이러한 질문지들을 이용한 초기평가 후에는 섭식장애와 관련된 증상들 - 체중,월경여부,식습관,약물사용을 포함한 보상행동의 여부,신체상,기호음식 등을 평가한다. 이와 더불어 정신과의 병력여부, 신체건강 상태, 가족력 등을 함께 고려하여 평가한다.
[표] 거식중과 폭식증의 공통점과 차이점
체지방 비율을 추정하는 방법은 여러 가지가 있으나,그 중 신체체중지수가 가장 객관적이며 경제적인 방법이다. 신체체중지수(BMI)란 몸무게(kg)를 키(cm)의 제곱으로 나눈 수치이다. 이 때 신체체중지수가 19 이하이면 체중미달, 20-24 사이이면 정상체중, 25-29 사이이면 체중과다,30 이상은 비만에 속하는 것으로 본다.
참고문헌
정순례, 양미진 외 저, 청소년 상담, 학지사 2015
모경환, 이미리 외 저, 청소년문제와 보호, 교육과학사 2014
정규석, 김영미 외 저, 청소년복지의 이해, 학지사 2013
유진이 저, 청소년 심리 및 상담, 양서원 2013
  • 가격1,500
  • 페이지수5페이지
  • 등록일2015.04.29
  • 저작시기2015.4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96576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