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체육교과
2. 그 밖의 교과
3. 교과 외
참고문헌
2. 그 밖의 교과
3. 교과 외
참고문헌
본문내용
통합하려고 노력해야한다(Jensen, 1998c).
3. 교과 외
요즈음 교실에는 '과행동아’,'주의산만아’,또는 학습부진아’ 라는 꼬리표를 달고 있는 아이들이 많은데,이런 아이들은 조용히 집중해야 되는 상황에서 GABA를 분비하는 기능이 약화된 아이들이다. 그들은 주위의 모든 자극에 반응하는 경향이 있고, 언제 어떤 자극을 무시해야 할지 제대로 판단하지 못한다. 그런 아이들에게 뇌체조와 같은 움직임이 매우 효과적일 수 있다. 왜냐하면 GABA를 분비하는 뉴런이 있는 뇌 부위가 움직임과 관련되어 있어서,뇌체조(brain gym)를 하게 되면 그 부위에 있는 뉴런을 자극하여 수초를 증가시킴으로써 GABA의 가용성이 높아지고 이로 인해 주의집중이 가능해지기 때문이다.
GABA: 이 신경전달물질은 억제적인 작용을 한다. 뉴런이 아무렇게나 작용하면 끊임없이 ‘의미 없는 잡담’이 이루어지는데, GABA는 전기 임펄스가 축색돌기로 이동하는 것을 억제한다.
뇌체조는 학습,사고, 창조 등의 정신활동이 뇌만의 작용이 아니라 뇌와 신체 모
두의 작용이며,뇌의 기능을 일깨우기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신체의 옴직임이 중요하다는 이론적 근거에서 출발하고 있다. 이러한 뇌체조는 전두엽의 동작피질을 자극하여 학습자가 생존센터에만 얽매이지 않게 함으로써, 주의를 집중시키고 신피질
을 활성화시키며 뇌량에 수초가 생성되도록 자극할 뿐만 아니라, 시각 청각 근운동 기능을 활성화시키기 위한 간단한 움직임들로 구성되어 있다(Hannaford, 1995). 이렇게 교차측면적이고 소근육운동으로 이루어진 뇌체조는 양반신의 근육을 고루 활성화시켜 주고,나아가서는 기저핵과 소뇌뿐만 아니라 대뇌의 전두엽에 있는 동작피질을 통합하고 활성화시켜 준다. 왼쪽 그림은 Dennison이 창안한 뇌체조 중 하나이다.
우리의 학교에서는 쉬는 시간에도 아동이 조용히 앉아서 이야기하거나 책을 보는 것과 같은 정적인 활동만을 하도록 요구하는 경향이 많은데,이제는 교실에서 움직일 수 있는 기회를 충분히 제공해야 한다. 교육과정 외의 장에서 움직임을 활용하려는 교사는 쉬는 시간이나 수업 도중에 뇌체조나 스트레칭 또는 신체를 이용한 게임을 할 수 있을 것이다.
참고문헌
홍길회, 한경님 외 저, 영아발달의 이해, 창지사 2015
유구종, 조희정 저, 최신 영유아보육학개론, 공동체 2015
민정선 저, 유아교육개론, 형설아카데미 2015
조혜경 저, 보육교사론, 창지사 2014
3. 교과 외
요즈음 교실에는 '과행동아’,'주의산만아’,또는 학습부진아’ 라는 꼬리표를 달고 있는 아이들이 많은데,이런 아이들은 조용히 집중해야 되는 상황에서 GABA를 분비하는 기능이 약화된 아이들이다. 그들은 주위의 모든 자극에 반응하는 경향이 있고, 언제 어떤 자극을 무시해야 할지 제대로 판단하지 못한다. 그런 아이들에게 뇌체조와 같은 움직임이 매우 효과적일 수 있다. 왜냐하면 GABA를 분비하는 뉴런이 있는 뇌 부위가 움직임과 관련되어 있어서,뇌체조(brain gym)를 하게 되면 그 부위에 있는 뉴런을 자극하여 수초를 증가시킴으로써 GABA의 가용성이 높아지고 이로 인해 주의집중이 가능해지기 때문이다.
GABA: 이 신경전달물질은 억제적인 작용을 한다. 뉴런이 아무렇게나 작용하면 끊임없이 ‘의미 없는 잡담’이 이루어지는데, GABA는 전기 임펄스가 축색돌기로 이동하는 것을 억제한다.
뇌체조는 학습,사고, 창조 등의 정신활동이 뇌만의 작용이 아니라 뇌와 신체 모
두의 작용이며,뇌의 기능을 일깨우기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신체의 옴직임이 중요하다는 이론적 근거에서 출발하고 있다. 이러한 뇌체조는 전두엽의 동작피질을 자극하여 학습자가 생존센터에만 얽매이지 않게 함으로써, 주의를 집중시키고 신피질
을 활성화시키며 뇌량에 수초가 생성되도록 자극할 뿐만 아니라, 시각 청각 근운동 기능을 활성화시키기 위한 간단한 움직임들로 구성되어 있다(Hannaford, 1995). 이렇게 교차측면적이고 소근육운동으로 이루어진 뇌체조는 양반신의 근육을 고루 활성화시켜 주고,나아가서는 기저핵과 소뇌뿐만 아니라 대뇌의 전두엽에 있는 동작피질을 통합하고 활성화시켜 준다. 왼쪽 그림은 Dennison이 창안한 뇌체조 중 하나이다.
우리의 학교에서는 쉬는 시간에도 아동이 조용히 앉아서 이야기하거나 책을 보는 것과 같은 정적인 활동만을 하도록 요구하는 경향이 많은데,이제는 교실에서 움직일 수 있는 기회를 충분히 제공해야 한다. 교육과정 외의 장에서 움직임을 활용하려는 교사는 쉬는 시간이나 수업 도중에 뇌체조나 스트레칭 또는 신체를 이용한 게임을 할 수 있을 것이다.
참고문헌
홍길회, 한경님 외 저, 영아발달의 이해, 창지사 2015
유구종, 조희정 저, 최신 영유아보육학개론, 공동체 2015
민정선 저, 유아교육개론, 형설아카데미 2015
조혜경 저, 보육교사론, 창지사 2014
추천자료
인간 발달과 교육 (신체 발달, 정서 발달)
가정교육학과 유아기 신체 및 운동발달
(유아교육기관운영A형)영유아 발달과 바람직한 운영에 초점을 두고 보육기관 평가인증 영역 ...
영유아기,아동기,청소년기발달1
아동기 최종보고서 -신체,감각,언어,지능,정서,자아 발달, 아동학대,사이버중독
아동기의 신체적 발달 심리적 발달 사회적 발달 사회복지실천에서의 관심영역
심리학-아동기의 신체 발달
영유아를 대상으로 한 영양교육의 기본원칙을 설명하고 영아와 유아를 대상으로 각각의 발달 ...
영유아교사론B) 교육관에 따른 교사의 자질을 논하시고, 발달이론에 따른 교사의 역할에 대하...
아동기의 신체적 발달, 심리적 발달, 사회적 발달의 특징을 각기 제시하고, 사회복지실천에서...
영유아(만0~5세)의 일상생활 속 놀이에서 볼 수 있는 영유아기 수학적 지식의 사례를 3가지를...
유아기와 아동기 (신체 발달, 언어, 정서, 사고, 인지)
최근 뇌 발달(뇌 인지과학) 이론의 새로운 연구결과를 고찰하고 영유아 수학교육에 시사하는 ...
[아동수과학지도] 아동 수학 교육이 왜 필요한지의 중요성과 아동 수학 지도가 영유아들의 발...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