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약] 모성의 담론과 현실 (어머니의 성.삶,정체성)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 39
  • 40
  • 41
  • 42
  • 43
해당 자료는 10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0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요약] 모성의 담론과 현실 (어머니의 성.삶,정체성)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모성의 담론과 현실
<<어머니의 성.삶,정체성>>


제1부 모성론의 흐름과 쟁점(p21~p114)
제 1장 여성의 시각에서 본 ‘모성론’ (p21~p24)
제 2장 페미니즘과 모성(p43~p67)
제 3장 한국 여성운동과 모성담론의 정치학(p69~p88)
제 4장 자아의 정치, 모성의 공백(p89~p114)

제 2부 모성, 국가, 정책(p117~p264)
제 5장 한국 가족법에서 어머니는 어디에 있(었)나(p117~p136)
제 6장 출산 통제와 페미니스트 정치(p137~p166)
제 7장 발전 국가와 모성(p167~p196)
제 8장 잘 자랄 권리, 잘 키울 책임(p197~p220)
제 9장 한국과 일본의 현모양처 사상(p221~p244)
제 10장 현대 일본의 모성인식(p245~p266)

제 3부 모성, 문화, 일상생활
제11장 영화 속의 모성 영화 밖의 모성(p267~p292)
제12장 정상성과 병리성의 경계에 선 모성(p293~p318)
제13장 대중매체에 나타난 여성성과 모성(p319~342)
제 14장 가사기술과 한국여성의 삶(p343~p360)
제 15장 ‘자식바라기’ 어머니의 전통성과 성찰상(p361~p388)
제 16장 모성의 변화(p389~p412)

본문내용

제1부 모성론의 흐름과 쟁점(p21~p114)

제 1장 여성의 시각에서 본 ‘모성론’ (p21~p24)

1.머리말
이 단원에서는 머리말에 우리의 어머니들은 어떤 모습인가를 놓고 예전의 모습과 현재의 달라진 모습들을 표현하고 있습니다. 현모양처의 모습을 한 어머니의 모습, 즉 자식들을 챙기고 남편이 벌어오는 돈으로 집안 살림을 꾸려나가고 모든 집 안일을 돌보는 그런 모습이 과거의 어머니 상이라면 현재의 어머니 상은 물론 다 그런 것은 아니지만 1990년 대의 미씨족을 시작으로 미씨족의 촌지수수, 고액과외, 부정입학 등의 일들을 나열하며 소위말하는 치맛바람의 이야기가 수록되어있습니다..어머니들이 여태껏 이룩하지 못한 일들을 자식으로 하여금 이룰 수 있도록 자기 만족이나 대리충족의 방편으로 행한 일들일 것입니다..1장의 마지막은 여성들의 욕구는 모성에 대한 생물학적 결정론이나 기능주의적 정의에 의거한 것이 나니라 여성들의 실제적인 경험과 환경에 근거해서 정의되어야 한다고 말한다..
2.모성론의 흐름(p24~p26)
1960년대 말에서 1970년대 초반부터 제기된 모성 및 어머니 노릇에 관한 규정들은 주로 서구의 패미니스트들에 의해 주도 되었다고 한다.. 운동의 초창기에 모성이 여성의 피할수 없는 운명이라는 신화에 도전하는데 강조점을 두었고 모성은 억압적인 요소와 성취적인 요소를 동시에 가지고 있으므로 자유롭게 선택되어야 하고 사회적으로 변형되어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 … 중 략 … ≫




제 2부 모성, 국가, 정책(p117~p264)

제 5장 한국 가족법에서 어머니는 어디에 있(었)나(p117~p136)

1.가족법과 모성제도(p117~p120)
한국 가족법에서 볼 때 성과 본을 통한 가계계승, 호주선정, 그리고 결혼과 이혼 등 거의 모든 가족제도에서 성은 제도구성의 중심축에 해당하는 것으로 보인다. 성이 없이는 위의 제도의 논리가 지탱되기 어렵기 때문이다. 가족내의 질서가 남성과 여성에 따라 주는 효과는 판이하게 다르며 가족내의 중요한 사건들-결혼, 탄생과 죽음, 대물림-의 의미는 성에 따라 대단히 다른 것이 된다. 이렇게 가족을 규율하는 법칙들은 성 논리를 구사한다고 볼 수 있다.
2.부성제도 속의 모성(p120~p133)
가족법에서 모성의 제도는 부모자녀관계를 다루는 친생자 부분뿐만 아니라 혈족, 친족, 호주제도, 결혼과 이혼, 재산제도 등 가족법의 전편에 걸쳐있다고 하는 것이 옳을 것이다. 여기서는 시간적 축 과 공간적 축 이라고 나뉘어져서 설명하고 있다.
  • 가격5,000
  • 페이지수43페이지
  • 등록일2015.05.05
  • 저작시기2015.5
  • 파일형식워드(doc)
  • 자료번호#96649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