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
39
-
40
-
41
-
42
-
43
-
44
-
45
-
46
-
47
-
48
-
49
-
50
-
51
-
52
-
53
-
54
-
55
-
56
-
57
-
58
-
59
-
60
-
61
-
62
-
63
-
64
-
65
-
66
-
67
-
68
-
69
-
70
-
71
-
72
-
73
-
74
-
75


목차
1장. 홍수량 산정에 의한 남천 1련 암거설계…4
1.1 설계조건…………………………………4
1.2 합리식에 의한 홍수량…………………………4
2장. 암거의 설계조건…………………………14
2.1 구조형식…………………………………14
2.2 토피고……………………………………14
2.3 하중 설계조건………………………………14
3장. 계수 모멘트 및 전단력 계산……………22
3.1 하중계산…………………………………22
3.2 단면력 계산………………………………23
3.3 단면 검토 및 사용성 검토……………………29
4장. 철근량의 산출…………………………30
4.1 상판 중앙부………………………………30
4.2 상판 우각부………………………………33
4.3 저판 중앙부………………………………37
4.4 저판 우각부………………………………40
4.5 측벽 상부…………………………………44
4.6 측벽 중앙부………………………………48
4.7 측벽 하부…………………………………52
5장. 우각부의 검토…………………………56
5.1 처짐 검토………………………………56
5.2 배력철근 검토……………………………58
5.3 우각부 검토………………………………60
6장. 철근 배근 및 설계 도면………………63
7장. 물량 산출……………………………70
8장. 적산…………………………………72
8.1 예산내역서………………………………72
8.2 일위대가…………………………………73
8.3 노무비…………………………………74
8.4 원가계산서………………………………75
1.1 설계조건…………………………………4
1.2 합리식에 의한 홍수량…………………………4
2장. 암거의 설계조건…………………………14
2.1 구조형식…………………………………14
2.2 토피고……………………………………14
2.3 하중 설계조건………………………………14
3장. 계수 모멘트 및 전단력 계산……………22
3.1 하중계산…………………………………22
3.2 단면력 계산………………………………23
3.3 단면 검토 및 사용성 검토……………………29
4장. 철근량의 산출…………………………30
4.1 상판 중앙부………………………………30
4.2 상판 우각부………………………………33
4.3 저판 중앙부………………………………37
4.4 저판 우각부………………………………40
4.5 측벽 상부…………………………………44
4.6 측벽 중앙부………………………………48
4.7 측벽 하부…………………………………52
5장. 우각부의 검토…………………………56
5.1 처짐 검토………………………………56
5.2 배력철근 검토……………………………58
5.3 우각부 검토………………………………60
6장. 철근 배근 및 설계 도면………………63
7장. 물량 산출……………………………70
8장. 적산…………………………………72
8.1 예산내역서………………………………72
8.2 일위대가…………………………………73
8.3 노무비…………………………………74
8.4 원가계산서………………………………75
본문내용
(8) 휨철근 배치 (휨철근을 제어하기 위한 철근의 중심간격)
4.3 저판 중앙부
(1) 검토조건
1000
750
670
80
631.74
-
377.02
(2) 필요철근량 산정
(3) 강도감소계수 산정
(4)철근비 검토
∴ OK!!
(5) 휨에 대한 검토
(6) 사용성 검토(균열검토)
(7) 휨철근 배치 (휨철근을 제어하기 위한 철근의 중심간격)
4.4 저판 우각부
(1) 검토조건
1000
750
670
80
425.41
640.70
251.77
(2) 필요철근량 산정
(3) 강도감소계수 산정
(4)철근비 검토
∴ OK!!
(5) 휨에 대한 검토
(6) 전단에 대한 검토
(7) 사용성 검토(균열검토)
(8) 휨철근 배치 (휨철근을 제어하기 위한 철근의 중심간격)
4.5 측벽 상부
(1) 검토조건
1000
600
520
80
377.88
210.33
225.93
(2) 필요철근량 산정
(3) 강도감소계수 산정
(4)철근비 검토
∴ OK!!
(5) 휨에 대한 검토
(6) 전단에 대한 검토
(7) 사용성 검토(균열검토)
(8) 휨철근 배치 (휨철근을 제어하기 위한 철근의 중심간격)
4.6 측벽 중앙부
(1) 검토조건
1000
600
520
80
68.85
9.02
42.64
(2) 필요철근량 산정
(3) 강도감소계수 산정
(4)철근비 검토
∴ OK!!
(5) 휨에 대한 검토
(6) 전단에 대한 검토
∴최소 전단철근이 필요없다.
(7) 사용성 검토(균열검토) - 철근콘크리트(10판) 강도설계법
(8) 휨철근 배치 (휨철근을 제어하기 위한 철근의 중심간격)
4.7 측벽 하부
(1) 검토조건
1000
600
520
80
425.41
169.16
251.77
(2) 필요철근량 산정
(3) 강도감소계수 산정
(4)철근비 검토
∴ OK!!
(5) 휨에 대한 검토
(6) 전단에 대한 검토
(7) 사용성 검토(균열검토)
(8) 휨철근 배치 (휨철근을 제어하기 위한 철근의 중심간격)
5장. 우각부의 검토
5.1 처짐 검토
<표: 깊이가 일정한 도로교 상부구조 부재의 최소 깊이>
상부구조의 형식
최소 깊이(m)
단순 경간
연속 경간
주철근의 차량 진행방향에 평행한 교량 슬래브
1.2(S+3)/30
(S+3)/30
T형 거더
0.070S
0.065S
박스형 거더
0.060S
0.055S
보행구조 거더
0.033S
0.033S
<출처: 한국도로교통협회, 도로교설계기준 2010>
<표: 처짐을 계산하지 않는 경우의 보 또는 1방향 슬래브의 최소두께>
부 재
최소 두께 또는 깊이
단순 지지
1단 연속
양단 연속
캔틸래버
큰 처짐에 의해 손상되기 쉬운 칸막이벽이나 기타 구조물을 지지
또는 부착하지 않은 부재
-1방향 슬래브
L/20
L/24
L/28
L/10
-보
-리브가 있는
1방향슬래브
L/16
L/8.5
L/21
L/8
<참고자료: 한국 콘크리트학회, 콘크리트 구조설계기준 해설 2007>
1) 상부슬래브
2)하부 슬래브
3)벽체
5.2 배력철근 검토
바닥판의 주철근이 차량 진행방향에 평행할 경우
1) 상판 중앙부
(1) 배력철근비
(2) 사용주철근
(3) 배력철근량
(4) 온도 및 건조 수축 철근량
(5) 사용 배력 철근량
2) 저판 중앙부
(1) 배력철근비
(2) 사용주철근
(3) 배력철근량
(4) 온도 및 건조 수축 철근량
(5) 사용 배력 철근량
3) 측벽
(1) 최소 수평 철근량
0.0025*b*t=0.0025*1000*600=1500mm^2
(2) 사용철근
5.3 우각부 검토
1) 상판 우각부
(1) 인장응력 최대값
(2) 허용 휨 인장응력
(3) 보강철근량
2) 하판 우각부
(1) 인장응력 최대값
(2) 허용 휨 인장응력
∴보강철근 필요
(3) 보강철근량
6장. 철근 배근 및 설계 도면
6.1 철근배근.
1)주철근
위치
인장단 철근 간격
압축단 철근 간격
상부슬래브 우각부
D22@125mm
D22@250mm
상부슬래브 중앙부
D22@125mm
D22@250mm
벽체 상단부
D22@125mm
D22@250mm
벽체 중앙부
D22@125mm
D22@250mm
벽체 하단부
D22@125mm
D22@250mm
하부슬래브 우각부
D22@125mm
D22@250mm
하부슬래브 중앙부
D22@125mm
D22@250mm
*압축철근량은 인장철근량의 1/2이상을 배근한다.(도로교설계기준 2010.한국 도로 교통협회 )
2)배력철근
위치
인장단 철근 간격
압축단 철근 간격
상부슬래브
D16@250mm
D16@250mm
하부슬래브
D16@250mm
D16@250mm
벽체
D16@250mm
D16@250mm
3)스트럽철근
위치
철근 간격
상부슬래브
D13@250mm
하부슬래브
D13@250mm
벽체
D13@250mm
4)보강철근
①상부슬래브 헌치
D22@125mm
②하부슬래브 헌치
D22@125mm
6.2 설계 도면
1) 표준단면도
2) 상부슬래브
3) 하부슬래브
4) 측면
5) 주철근 조립도
6) 철근 상세도
7장. 물량 산출
기호
직경
길이(m)
수량(개)
총 길이(m)
단위중량
총 무게(kg)
비고
S1
D22
12.890
4
51.560
3.040
156.742
3% 할증
S2
D22
7.040
8
56.320
3.040
171.213
S3
D22
5.740
8
45.920
3.040
139.597
S4
D22
2.077
8
16.616
3.040
50.513
S5
D22
1.739
8
13.912
3.040
42.292
S6
D16
1.000
56
56.000
1.560
87.360
S7
D16
1.000
56
56.000
1.560
87.360
S8
D16
1.000
76
76.000
1.560
118.560
H1
D22
0.830
8
6.640
3.040
20.186
H2
D22
0.824
8
6.592
3.040
20.040
F1
D13
1.499
50
74.950
0.995
74.575
F2
D13
1.699
62
105.338
0.995
104.811
F3
D13
1.399
76
106.324
0.995
105.792
총 계
672.172
1179.041
1214.413
7장. 물량산출
1)구체 콘크리트량:
2)기초 콘크리트량:
3)거푸집 량:
4.3 저판 중앙부
(1) 검토조건
1000
750
670
80
631.74
-
377.02
(2) 필요철근량 산정
(3) 강도감소계수 산정
(4)철근비 검토
∴ OK!!
(5) 휨에 대한 검토
(6) 사용성 검토(균열검토)
(7) 휨철근 배치 (휨철근을 제어하기 위한 철근의 중심간격)
4.4 저판 우각부
(1) 검토조건
1000
750
670
80
425.41
640.70
251.77
(2) 필요철근량 산정
(3) 강도감소계수 산정
(4)철근비 검토
∴ OK!!
(5) 휨에 대한 검토
(6) 전단에 대한 검토
(7) 사용성 검토(균열검토)
(8) 휨철근 배치 (휨철근을 제어하기 위한 철근의 중심간격)
4.5 측벽 상부
(1) 검토조건
1000
600
520
80
377.88
210.33
225.93
(2) 필요철근량 산정
(3) 강도감소계수 산정
(4)철근비 검토
∴ OK!!
(5) 휨에 대한 검토
(6) 전단에 대한 검토
(7) 사용성 검토(균열검토)
(8) 휨철근 배치 (휨철근을 제어하기 위한 철근의 중심간격)
4.6 측벽 중앙부
(1) 검토조건
1000
600
520
80
68.85
9.02
42.64
(2) 필요철근량 산정
(3) 강도감소계수 산정
(4)철근비 검토
∴ OK!!
(5) 휨에 대한 검토
(6) 전단에 대한 검토
∴최소 전단철근이 필요없다.
(7) 사용성 검토(균열검토) - 철근콘크리트(10판) 강도설계법
(8) 휨철근 배치 (휨철근을 제어하기 위한 철근의 중심간격)
4.7 측벽 하부
(1) 검토조건
1000
600
520
80
425.41
169.16
251.77
(2) 필요철근량 산정
(3) 강도감소계수 산정
(4)철근비 검토
∴ OK!!
(5) 휨에 대한 검토
(6) 전단에 대한 검토
(7) 사용성 검토(균열검토)
(8) 휨철근 배치 (휨철근을 제어하기 위한 철근의 중심간격)
5장. 우각부의 검토
5.1 처짐 검토
<표: 깊이가 일정한 도로교 상부구조 부재의 최소 깊이>
상부구조의 형식
최소 깊이(m)
단순 경간
연속 경간
주철근의 차량 진행방향에 평행한 교량 슬래브
1.2(S+3)/30
(S+3)/30
T형 거더
0.070S
0.065S
박스형 거더
0.060S
0.055S
보행구조 거더
0.033S
0.033S
<출처: 한국도로교통협회, 도로교설계기준 2010>
<표: 처짐을 계산하지 않는 경우의 보 또는 1방향 슬래브의 최소두께>
부 재
최소 두께 또는 깊이
단순 지지
1단 연속
양단 연속
캔틸래버
큰 처짐에 의해 손상되기 쉬운 칸막이벽이나 기타 구조물을 지지
또는 부착하지 않은 부재
-1방향 슬래브
L/20
L/24
L/28
L/10
-보
-리브가 있는
1방향슬래브
L/16
L/8.5
L/21
L/8
<참고자료: 한국 콘크리트학회, 콘크리트 구조설계기준 해설 2007>
1) 상부슬래브
2)하부 슬래브
3)벽체
5.2 배력철근 검토
바닥판의 주철근이 차량 진행방향에 평행할 경우
1) 상판 중앙부
(1) 배력철근비
(2) 사용주철근
(3) 배력철근량
(4) 온도 및 건조 수축 철근량
(5) 사용 배력 철근량
2) 저판 중앙부
(1) 배력철근비
(2) 사용주철근
(3) 배력철근량
(4) 온도 및 건조 수축 철근량
(5) 사용 배력 철근량
3) 측벽
(1) 최소 수평 철근량
0.0025*b*t=0.0025*1000*600=1500mm^2
(2) 사용철근
5.3 우각부 검토
1) 상판 우각부
(1) 인장응력 최대값
(2) 허용 휨 인장응력
(3) 보강철근량
2) 하판 우각부
(1) 인장응력 최대값
(2) 허용 휨 인장응력
∴보강철근 필요
(3) 보강철근량
6장. 철근 배근 및 설계 도면
6.1 철근배근.
1)주철근
위치
인장단 철근 간격
압축단 철근 간격
상부슬래브 우각부
D22@125mm
D22@250mm
상부슬래브 중앙부
D22@125mm
D22@250mm
벽체 상단부
D22@125mm
D22@250mm
벽체 중앙부
D22@125mm
D22@250mm
벽체 하단부
D22@125mm
D22@250mm
하부슬래브 우각부
D22@125mm
D22@250mm
하부슬래브 중앙부
D22@125mm
D22@250mm
*압축철근량은 인장철근량의 1/2이상을 배근한다.(도로교설계기준 2010.한국 도로 교통협회 )
2)배력철근
위치
인장단 철근 간격
압축단 철근 간격
상부슬래브
D16@250mm
D16@250mm
하부슬래브
D16@250mm
D16@250mm
벽체
D16@250mm
D16@250mm
3)스트럽철근
위치
철근 간격
상부슬래브
D13@250mm
하부슬래브
D13@250mm
벽체
D13@250mm
4)보강철근
①상부슬래브 헌치
D22@125mm
②하부슬래브 헌치
D22@125mm
6.2 설계 도면
1) 표준단면도
2) 상부슬래브
3) 하부슬래브
4) 측면
5) 주철근 조립도
6) 철근 상세도
7장. 물량 산출
기호
직경
길이(m)
수량(개)
총 길이(m)
단위중량
총 무게(kg)
비고
S1
D22
12.890
4
51.560
3.040
156.742
3% 할증
S2
D22
7.040
8
56.320
3.040
171.213
S3
D22
5.740
8
45.920
3.040
139.597
S4
D22
2.077
8
16.616
3.040
50.513
S5
D22
1.739
8
13.912
3.040
42.292
S6
D16
1.000
56
56.000
1.560
87.360
S7
D16
1.000
56
56.000
1.560
87.360
S8
D16
1.000
76
76.000
1.560
118.560
H1
D22
0.830
8
6.640
3.040
20.186
H2
D22
0.824
8
6.592
3.040
20.040
F1
D13
1.499
50
74.950
0.995
74.575
F2
D13
1.699
62
105.338
0.995
104.811
F3
D13
1.399
76
106.324
0.995
105.792
총 계
672.172
1179.041
1214.413
7장. 물량산출
1)구체 콘크리트량:
2)기초 콘크리트량:
3)거푸집 량:
키워드
추천자료
생산관리(3장)자재관리.hwp
성과급 및 인센티브 제도 구축과 활용방안
아파트의 과거와 현재
목표원가(원가기획) 발표자료
건축기사 서브요약 총정리
압축재 - 좌굴과 안전성, 탄성 좌굴, 오일러 임계 하중, 유효 좌굴 길이
독일의 의료보험제도에대한 내용과 우리나라와의차이점
[오염물질배출규제][증권시장거래규제][소비자보호규제][도서가격규제][자동차배출가스허용규...
토목기사 실기 완결판~
[건교부]관광숙박시설 토지이용규제안내서 - 건설교통부2006.12.19
건축설비 건축기사 2002―2011 문제
SCF 측정 실험 (SCF Measurement Test)
콘크리트 배치 플랜트(Concrete batch plant)
[제조기업][제조업][가동률][인플레이션][지수개편]제조기업(제조업) 가동률의 작성, 제조기...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