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기획의도
방송시간
제작진
-장르의 구분
프로그램 분석
지식채널이 다루는 주제 '들’
프로그램이 주는 영향
‘흠’을 잡아보자
쌍방향 커뮤티케이션의 장
-프로그램 각색
마치며
방송시간
제작진
-장르의 구분
프로그램 분석
지식채널이 다루는 주제 '들’
프로그램이 주는 영향
‘흠’을 잡아보자
쌍방향 커뮤티케이션의 장
-프로그램 각색
마치며
본문내용
시청소감이나 건의를 하는<게시
판> 영상에 인용되었던 음악이나 서적을 볼수 있는 <음악&서적>, <논술 토론>, <소재 제
안>, <시청자 추천>, <제작진 추천>등으로 나누어져 있다.
특히 <논술&토론>게시판에 가보면 지식채널이 일반인들 뿐만 아니라 학생들에게도 학습의
자료로 많은 활용이 되는지 알 수 있다.
또한 <제작진 추천>게시판을 보면 주제 선정에 대한 그들의 노력과 고민을 일말이나마
느낄 수 있다.
지식채널e 홈페이지는 2007년 다시 개편이 되었다. 개편된 홈페이지는 앞서 ‘흠을 잡아
보자’ 파트에서 제기됐던 일방적인 커뮤니케이션의 문제점을 어느 정도 개선했다고 볼 수도
있다.
-프로그램 각색
<지식채널e>이 다양한 분야의 정보와 지식을 바라보는 시각을 던져주기만 하는데서 벗어나서 좀 더 알기 쉽고, 재미있게 그리고 조금은 밝게 전달하자는 데서 생각을 해보았다.
기존의 <지식채널e> 과 다른 분위기를 만들기 위해서 사회자를 출연시키기로 정했다.
주제를 정하고 자막과 음악 스틸컷으로만 전달하던 방식에서 탈피해 해당 주제에 지식과 정보를 가진 인사들을 고정 사회자로 정하고 지식을 전달하는 것이다.
일방적인 지식전달이 아니라 시청자와 프로그램 진행자가 지식과 정보를 매개
로 소통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추구하는 것이다. 즉 기존의 자막기법은 그대로 이용하되
스틸컷위주의 편집화면과 음악은 오프닝과 클로징 때 주로 사용하고 중간에는 스투디오에서
고정 인사의 설명이 시작되는 것이다. 화두를 던지되 해당 지식에 대한 여러 가지 시각이 다양하게 제시되고 있음을 알려주는 것이 중요하다고 본다.
마치며
<지식채널 e>는 우리가 사전적 의미로서 알고 있는 지식의 정의를 거부한다.
제작진들은 자신들이 생각하는 주제를 시청자들에게 그냥 던져줌으로써, 이제까지 우리가
알던 객관적 지식들 그리고 쉽게 지나쳐버리는 것들을 시청자 각자의 가치관에 따라 주관적 지식을 이끌어내는 특이한 방식을 취한다.
자세히 표현하자면 <지식채널 e>에는 이름과 달리 지식은 존재하지 않고 오직 주제만이 존재한다고도 할 수 있다. 그 주제에 따른 지식의 완성은 결국 시청자들의 몫이기 때문다
일상에서 우리는 늘 TV라는 매체 속에서 수많은 프로그램들을 접하지만 그냥 무의미하게 지나쳐버리는 적이 많다.
바쁜 현대인들에게 5분이라는 짧은 시간을 의미있게 사용 할 수 있는 기회를 주는 프로그램이 바로 <지식채널 e>이 라는 생각을 한다.
판> 영상에 인용되었던 음악이나 서적을 볼수 있는 <음악&서적>, <논술 토론>, <소재 제
안>, <시청자 추천>, <제작진 추천>등으로 나누어져 있다.
특히 <논술&토론>게시판에 가보면 지식채널이 일반인들 뿐만 아니라 학생들에게도 학습의
자료로 많은 활용이 되는지 알 수 있다.
또한 <제작진 추천>게시판을 보면 주제 선정에 대한 그들의 노력과 고민을 일말이나마
느낄 수 있다.
지식채널e 홈페이지는 2007년 다시 개편이 되었다. 개편된 홈페이지는 앞서 ‘흠을 잡아
보자’ 파트에서 제기됐던 일방적인 커뮤니케이션의 문제점을 어느 정도 개선했다고 볼 수도
있다.
-프로그램 각색
<지식채널e>이 다양한 분야의 정보와 지식을 바라보는 시각을 던져주기만 하는데서 벗어나서 좀 더 알기 쉽고, 재미있게 그리고 조금은 밝게 전달하자는 데서 생각을 해보았다.
기존의 <지식채널e> 과 다른 분위기를 만들기 위해서 사회자를 출연시키기로 정했다.
주제를 정하고 자막과 음악 스틸컷으로만 전달하던 방식에서 탈피해 해당 주제에 지식과 정보를 가진 인사들을 고정 사회자로 정하고 지식을 전달하는 것이다.
일방적인 지식전달이 아니라 시청자와 프로그램 진행자가 지식과 정보를 매개
로 소통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추구하는 것이다. 즉 기존의 자막기법은 그대로 이용하되
스틸컷위주의 편집화면과 음악은 오프닝과 클로징 때 주로 사용하고 중간에는 스투디오에서
고정 인사의 설명이 시작되는 것이다. 화두를 던지되 해당 지식에 대한 여러 가지 시각이 다양하게 제시되고 있음을 알려주는 것이 중요하다고 본다.
마치며
<지식채널 e>는 우리가 사전적 의미로서 알고 있는 지식의 정의를 거부한다.
제작진들은 자신들이 생각하는 주제를 시청자들에게 그냥 던져줌으로써, 이제까지 우리가
알던 객관적 지식들 그리고 쉽게 지나쳐버리는 것들을 시청자 각자의 가치관에 따라 주관적 지식을 이끌어내는 특이한 방식을 취한다.
자세히 표현하자면 <지식채널 e>에는 이름과 달리 지식은 존재하지 않고 오직 주제만이 존재한다고도 할 수 있다. 그 주제에 따른 지식의 완성은 결국 시청자들의 몫이기 때문다
일상에서 우리는 늘 TV라는 매체 속에서 수많은 프로그램들을 접하지만 그냥 무의미하게 지나쳐버리는 적이 많다.
바쁜 현대인들에게 5분이라는 짧은 시간을 의미있게 사용 할 수 있는 기회를 주는 프로그램이 바로 <지식채널 e>이 라는 생각을 한다.
키워드
추천자료
방송기획제작 정리
한국 미국 일본 방송프로그램 산업의제작과 유통현황 문제점 비교
교육방송의 교육적 활용
E-Learning 산업의 현황과 발전방향- YBM시사닷컴을 중심으로 -
[지역방송][지역방송편성][지역방송프로그램][지역방송 경쟁력 강화 방안]지역방송의 시장구...
[e-비즈니스][이비즈니스][전자상거래]다양한 사례를 통해 본 e-비즈니스(이비즈니스)의 의미...
[교육학] 사교육비 실태조사와 경감방안 ['A+레포트']
[지상파재송신]위성방송지상파재송신의 의미와 영향, 위성방송지상파재송신의 실태와 문제점,...
[시청률조사][시청률조사의 실태][시청률조사의 문제점 사례][시청률조사의 개선 전략][시청...
[방송위원회][통합방송법]방송위원회의 성격, 방송위원회의 위상, 방송위원회와 통합방송법의...
방송시사프로그램영상기법 <그것이 알고싶다 연구>
[위성방송, 미국 위성방송, 프랑스 위성방송, 영국 위성방송, 홍콩 위성방송, 말레이시아, 한...
인터넷 스트리밍콘텐츠 사업전략, 인터넷 비즈니스(E-biz, 이비즈니스) 사업전략, 통신사업자...
해외투자계획안, 해외투자, 미국에 스타리그 중계방송 컨텐츠방영사업,해외직접투자사례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