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구로구
2. 인구
3. 사회복지
4. 노인복지
2. 인구
3. 사회복지
4. 노인복지
본문내용
설치 운영 중에 있다
-노인주거복지시설이 부족한 것은 요보호 노인을 사회적으로 보호하기 위한 인프라가 매우 열악하다는 것을 의미하며, 공동생활가정 등의 시설 인프라의 부족은 노인의 지역사회 재활과 사회통합에도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노인 인구의 급증과 그에 따른 요보호 노인의 증가에 발맞춰 양로시설과 공동생활가정 등 노인복지 인프라를 확충하는 것이 구로구의 과제라고 볼 수 있다
노인 복지관
구분
시설명
주소
복지관
구로노인종합복지관
서울특별시 구로구 새말로16길 7
온수어르신복지관
서울특별시 구로구 부일로9길 111
노인의료복지시설현황
구분
65세 이상 노인인구
합계
노인요양시설
노인요양공동생활가정
노인전문병원
구로구
시설수
입소인원
시설수
입소인원
시설수
입소인원
시설수
입소인원
정원
현원
정원
현원
정원
현원
정원
현원
36.475
6
462
334
3
207
108
2
18
12
1
237
214
-구로구 노인의료복지시설은 2009년 12월 31일 기준으로 요양시설을 포함하여 총 6개소이다
-노인의료복지시설의 유형별로 살펴보면, 노인요양시설이 3개소로 108명이 생활하고 있고, 노인공동생활가정이 2개소에 12명이 생활하고 있다. 노인전문병원은 1개소에 214명이 생활하고 있어 대부분의 노인의료복지시설들이 입소정원을 채우지 못하고 있다
-구로구의 노인의료복지시설은 2010년 새롭게 신축된 곳을 포함하여 요양시설 7개소 공동생활가정 4개소, 노인전문병원 1개소로 노인의료복지시설은 12개소이다
노인문제
-노인이 경험하고 있는 가장 심각한 문제의 1순위는 경제적 부담이 43.6%로 가장 높았고, 다음으로 본인의 건강, 배우자 건강, 부양부담, 여가활용 등으로 나타났다
-2순위에서도 본인의 건강이 24.8%로 가장 높았으며, 다음으로 배우자 건강, 주거 및 주택문제, 여가활동, 심리적 문제 등으로 나타나 전반적으로 노인들은 경제적 문제와 건강상의 문제를 가장 심각한 문제로 인식하고 있다
필요한 보건의료 서비스
-필요한 보건의료서비스로는 1순위에서 정기건강검진이 60.6%로 가장 높았고, 다음으로 무료진료서비스 확대, 무기능 활성화, 의료기구 대여 등으로 나타났다
-대체로 구로구 노인들은 가장 중요한 욕구인 건강이나 보건과 관련된 욕구에서 경제적 비용부담에 따른 무료진료의 확대나 정기건강검진 등을 원하고 있다
구로구 노인복지 사업
-구로구의 노인복지사업은 다른 복지사업보다도 많이 집중하지 못한 분야이기 때문에 노인복지 관련 인프라가 매우 취약하며, 치매노인과 독거노인 등 요보호 노인이 1만명을 상회하고 있지만 이들을 보호할 만한 노인요양시설이 매우 부족한 실정이다
-중앙정부가 추진하고 있는 보편사업도 요보호 노인을 보호하기 위한 장기요양보험이 중증의 외상노인만을 대상으로 하고 있어 일상생활에 장애가 있는 노인들을 포괄적으로 보호하고 있지 못하고 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의 해결을 위해 구로구에서는 현재 표와 같이 노인복지사업을 진행하고 있다
<참고자료>
구로구청 홈페이지 www.guro.go.kr
제2기 구로구 지역사회복지계획
-노인주거복지시설이 부족한 것은 요보호 노인을 사회적으로 보호하기 위한 인프라가 매우 열악하다는 것을 의미하며, 공동생활가정 등의 시설 인프라의 부족은 노인의 지역사회 재활과 사회통합에도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노인 인구의 급증과 그에 따른 요보호 노인의 증가에 발맞춰 양로시설과 공동생활가정 등 노인복지 인프라를 확충하는 것이 구로구의 과제라고 볼 수 있다
노인 복지관
구분
시설명
주소
복지관
구로노인종합복지관
서울특별시 구로구 새말로16길 7
온수어르신복지관
서울특별시 구로구 부일로9길 111
노인의료복지시설현황
구분
65세 이상 노인인구
합계
노인요양시설
노인요양공동생활가정
노인전문병원
구로구
시설수
입소인원
시설수
입소인원
시설수
입소인원
시설수
입소인원
정원
현원
정원
현원
정원
현원
정원
현원
36.475
6
462
334
3
207
108
2
18
12
1
237
214
-구로구 노인의료복지시설은 2009년 12월 31일 기준으로 요양시설을 포함하여 총 6개소이다
-노인의료복지시설의 유형별로 살펴보면, 노인요양시설이 3개소로 108명이 생활하고 있고, 노인공동생활가정이 2개소에 12명이 생활하고 있다. 노인전문병원은 1개소에 214명이 생활하고 있어 대부분의 노인의료복지시설들이 입소정원을 채우지 못하고 있다
-구로구의 노인의료복지시설은 2010년 새롭게 신축된 곳을 포함하여 요양시설 7개소 공동생활가정 4개소, 노인전문병원 1개소로 노인의료복지시설은 12개소이다
노인문제
-노인이 경험하고 있는 가장 심각한 문제의 1순위는 경제적 부담이 43.6%로 가장 높았고, 다음으로 본인의 건강, 배우자 건강, 부양부담, 여가활용 등으로 나타났다
-2순위에서도 본인의 건강이 24.8%로 가장 높았으며, 다음으로 배우자 건강, 주거 및 주택문제, 여가활동, 심리적 문제 등으로 나타나 전반적으로 노인들은 경제적 문제와 건강상의 문제를 가장 심각한 문제로 인식하고 있다
필요한 보건의료 서비스
-필요한 보건의료서비스로는 1순위에서 정기건강검진이 60.6%로 가장 높았고, 다음으로 무료진료서비스 확대, 무기능 활성화, 의료기구 대여 등으로 나타났다
-대체로 구로구 노인들은 가장 중요한 욕구인 건강이나 보건과 관련된 욕구에서 경제적 비용부담에 따른 무료진료의 확대나 정기건강검진 등을 원하고 있다
구로구 노인복지 사업
-구로구의 노인복지사업은 다른 복지사업보다도 많이 집중하지 못한 분야이기 때문에 노인복지 관련 인프라가 매우 취약하며, 치매노인과 독거노인 등 요보호 노인이 1만명을 상회하고 있지만 이들을 보호할 만한 노인요양시설이 매우 부족한 실정이다
-중앙정부가 추진하고 있는 보편사업도 요보호 노인을 보호하기 위한 장기요양보험이 중증의 외상노인만을 대상으로 하고 있어 일상생활에 장애가 있는 노인들을 포괄적으로 보호하고 있지 못하고 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의 해결을 위해 구로구에서는 현재 표와 같이 노인복지사업을 진행하고 있다
<참고자료>
구로구청 홈페이지 www.guro.go.kr
제2기 구로구 지역사회복지계획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