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실존적 심리치료의 기본가정
2. 실존적 심리치료의 성격이론
1) 네 가지의 실존적 조건
(1) 죽음
(2) 자유과 책임
(3) 고독
(4) 무의미
2) 실존적 세계의 네 차원
(1) 물리적 차원의 자연세계
(2) 사회적 차원의 인간세계
(3) 심리적 차원의 자기세계
(4) 영적 차원의 초월세계
3) 진실한 인간
4) 성격의 발달적 관점
참고문헌
2. 실존적 심리치료의 성격이론
1) 네 가지의 실존적 조건
(1) 죽음
(2) 자유과 책임
(3) 고독
(4) 무의미
2) 실존적 세계의 네 차원
(1) 물리적 차원의 자연세계
(2) 사회적 차원의 인간세계
(3) 심리적 차원의 자기세계
(4) 영적 차원의 초월세계
3) 진실한 인간
4) 성격의 발달적 관점
참고문헌
본문내용
하고 자신의 삶에 대한 선택의 자유를 충분히 누리는 동시에 그에 대한 책임을 진다. Heidegger(1962)에 따르면,진실한 사람은 실존에 대한 심오한 자각을 지니고 있는 사람이다. 이러한 사람들은 용기 있게 자신이 선택한 삶을 지향하며 삶의 고난과 역경을 헤쳐 나간다. 즉, 존재의 용기(the courage to be)를 지닌 사람들이다. 이들은 무의미감에 휩싸이기보다 자신의 삶에서 의미를 발견하고 창조한다. 아울러 자신의 유한성을 받아들이며 죽음의 공포를 이겨낸다. 이들은 미래의 변화가능성에 대해서 유연한 태도를 지니며 자기 나름대로의 가치와 의미를 추구한다. 아울러 타인과의 친밀감을 추구하며 자신을 둘러싸고 있는 사회와 환경에 대해서 깊은 관심을 지닌다.
반면에 취약한 개인(vulnerable individual) 또는 진실하지 못한 개인(inauthentic individual)은 실존적 물음을 회피하며 실존적 불안을 직면하지 않으려고 노력한다. 이들은 자유로운 선택을 통해서 자신의 삶을 긍정적으로 변화시키기 위한 용기가 부족하며 그러한 기회를 상실한 것에 대한 실존적 죄책감을 지닌다. 이러한 사람들은 타인의 인정과 가치에 기반을 둔 삶을 살아가며 타인과도 피상적인 관계를 맺을 뿐만 아니라 자신이 살아가는 사회와 환경에 대한 관심이 적다. 이러한 사람들이 가족의 사망이나 실연과 같은 충격적인 사건을 접하면서 실존적 위기에 처하게 되면 많은 경우 부적응적인 방식으로 대처하여 정신병리를 나타내게 된다.
4) 성격의 발달적 관점
실존치료자들은 성격의 발달에 대해서 체계적인 설명을 제시하지 않았다. 실존치료자들은 과거를 탐색하기보다 '미래가 되어가는 현재(future-becoming present)’에 관심을 지닌다. 그러나 발달과정에서 개인이 자신의 실존적 상황을 인식하고 그에 대처하는 방식이 변화할 수 있다. Yalom(1980)에 따르면,실존적 불안은 보편적인 것이어서 성인뿐만 아니라 동에게서도 드러난다. 어린 이동도 죽음에 대해 알고 있으며 죽음의 두려움이 아동 생활에 넓게 침투해 있다. 아동은 부인(denial)을 중심으로 다양한 방어기제를 사용하여 죽음에 대한 불안에 대처한다.
May(1992)는 인간이 자신의 실존적 조건을 인식하고 대처해나가는 실존적 발달모델을 제시한 바 있다. 이 발달모델은 자의식이 발생하기 이전인 유아기부터 진실한 성인으로 성장하는 발달과정을 5단계로 나누어 제시하고 있다.
그 첫 단계는 순수 단계(Innocence Stage)로서 자아와 자의식이 출현하기 이전인 유아기의 실존단계를 뜻한다. 자신의 실존적 상황에 대한 인식이 결여된 상태에서 기본적 욕구를 충족시키기 위해 살아가는 순진한 삶의 상태라고 할 수 있다.
둘째는 반항 단계(Rebellion Stage)로서 자유를 추구하기 위해 투쟁하며 자신의 자유를 억압하는 외부적 세력에 저항하는 단계이다. 반항 단계에 있는 사람들은 자유를 추구하지만 그에 상응하는 책임에 대한 의식이 부족하다.
셋째는 결정 단계(Decision Stage)로서 부모로부터 벗어나 독립적인 삶을 추구하며 자신의 인생에서 무엇을 할 것인지 결정하는 단계이다. 이 단계의 사람들은 반항단계에서 추구했던 욕구들을 충족시키는 동시에 자신의 삶에 대한 책임을 자각하기 시작한다.
넷째는 관습 단계(Ordinary Stage)로서 독립적인 성인으로서 자신의 삶과 행동에 대한 책임을 자각하지만 이러한 책임을 부담스럽게 여기는 실존 단계이다. 이 단계의 사람들은 사회적 관습과 가치에 순응하며 편안함과 안정감을 추구하는 삶을 살아간다.
마지막 다섯 번째는 창조 단계(Creative Stage)로서 자신의 실존적 조건을 용기 있게 직면하며 실존적인 삶을 살아가는 진실한 사람의 단계이다. 이들은 편협한 자기중심성에서 벗어나 창조적인 삶을 통해 자기실현을 추구하며 지유를 누리는 동시에 책임을 다하는 건강한 삶을 영위한다.
이러한 발달단계는 연령에 근거한 것이 아니라 개인의 실존적 태도에 근거한 것이다. 예컨대,아동도 관습 단계나 창조 단계로 나아갈 수 있으며 성인도 반항 단계나 관습 단계에 머물 수 있다.
참고문헌
천성문 저, 상담심리학의 이론과 실제, 학지사 2015
천성문, 김진숙 외 저, 심리치료와 상담이론 개념 및 사례, CengageLearning 2013
Gerald Corey 저, 심리상담과 치료의 이론과 실제, CENGAGELEARNING 2013
현정환 저, 상담심리학(상담이론 실제 연습), 양서원 2013
반면에 취약한 개인(vulnerable individual) 또는 진실하지 못한 개인(inauthentic individual)은 실존적 물음을 회피하며 실존적 불안을 직면하지 않으려고 노력한다. 이들은 자유로운 선택을 통해서 자신의 삶을 긍정적으로 변화시키기 위한 용기가 부족하며 그러한 기회를 상실한 것에 대한 실존적 죄책감을 지닌다. 이러한 사람들은 타인의 인정과 가치에 기반을 둔 삶을 살아가며 타인과도 피상적인 관계를 맺을 뿐만 아니라 자신이 살아가는 사회와 환경에 대한 관심이 적다. 이러한 사람들이 가족의 사망이나 실연과 같은 충격적인 사건을 접하면서 실존적 위기에 처하게 되면 많은 경우 부적응적인 방식으로 대처하여 정신병리를 나타내게 된다.
4) 성격의 발달적 관점
실존치료자들은 성격의 발달에 대해서 체계적인 설명을 제시하지 않았다. 실존치료자들은 과거를 탐색하기보다 '미래가 되어가는 현재(future-becoming present)’에 관심을 지닌다. 그러나 발달과정에서 개인이 자신의 실존적 상황을 인식하고 그에 대처하는 방식이 변화할 수 있다. Yalom(1980)에 따르면,실존적 불안은 보편적인 것이어서 성인뿐만 아니라 동에게서도 드러난다. 어린 이동도 죽음에 대해 알고 있으며 죽음의 두려움이 아동 생활에 넓게 침투해 있다. 아동은 부인(denial)을 중심으로 다양한 방어기제를 사용하여 죽음에 대한 불안에 대처한다.
May(1992)는 인간이 자신의 실존적 조건을 인식하고 대처해나가는 실존적 발달모델을 제시한 바 있다. 이 발달모델은 자의식이 발생하기 이전인 유아기부터 진실한 성인으로 성장하는 발달과정을 5단계로 나누어 제시하고 있다.
그 첫 단계는 순수 단계(Innocence Stage)로서 자아와 자의식이 출현하기 이전인 유아기의 실존단계를 뜻한다. 자신의 실존적 상황에 대한 인식이 결여된 상태에서 기본적 욕구를 충족시키기 위해 살아가는 순진한 삶의 상태라고 할 수 있다.
둘째는 반항 단계(Rebellion Stage)로서 자유를 추구하기 위해 투쟁하며 자신의 자유를 억압하는 외부적 세력에 저항하는 단계이다. 반항 단계에 있는 사람들은 자유를 추구하지만 그에 상응하는 책임에 대한 의식이 부족하다.
셋째는 결정 단계(Decision Stage)로서 부모로부터 벗어나 독립적인 삶을 추구하며 자신의 인생에서 무엇을 할 것인지 결정하는 단계이다. 이 단계의 사람들은 반항단계에서 추구했던 욕구들을 충족시키는 동시에 자신의 삶에 대한 책임을 자각하기 시작한다.
넷째는 관습 단계(Ordinary Stage)로서 독립적인 성인으로서 자신의 삶과 행동에 대한 책임을 자각하지만 이러한 책임을 부담스럽게 여기는 실존 단계이다. 이 단계의 사람들은 사회적 관습과 가치에 순응하며 편안함과 안정감을 추구하는 삶을 살아간다.
마지막 다섯 번째는 창조 단계(Creative Stage)로서 자신의 실존적 조건을 용기 있게 직면하며 실존적인 삶을 살아가는 진실한 사람의 단계이다. 이들은 편협한 자기중심성에서 벗어나 창조적인 삶을 통해 자기실현을 추구하며 지유를 누리는 동시에 책임을 다하는 건강한 삶을 영위한다.
이러한 발달단계는 연령에 근거한 것이 아니라 개인의 실존적 태도에 근거한 것이다. 예컨대,아동도 관습 단계나 창조 단계로 나아갈 수 있으며 성인도 반항 단계나 관습 단계에 머물 수 있다.
참고문헌
천성문 저, 상담심리학의 이론과 실제, 학지사 2015
천성문, 김진숙 외 저, 심리치료와 상담이론 개념 및 사례, CengageLearning 2013
Gerald Corey 저, 심리상담과 치료의 이론과 실제, CENGAGELEARNING 2013
현정환 저, 상담심리학(상담이론 실제 연습), 양서원 2013
키워드
추천자료
상담의 개념 고찰을 통한 상담과 심리치료가 나아갈 길
Alfred Adler 상담 및 심리치료
상담 및 심리치료의 이해
도벽증세 미술심리치료 상담사례
상담과 심리치료 - 수업내용중 관심있는 분야에 대한 개인적인 소감과 정리
상담과 심리치료
[심리치료와 상담] 아들러(Alfred Adler)의 정신병리에 대한 관점과 이해
[상담相談)과 심리치료] 인지적 행동수정의 이해 및 행동치료의 실제(가상대화록)
[상담相談과 심리치료] CBT에 대한 성경적 관점
[상담(相談과 심리치료] 행동치료법에 대한 성경적 관점에서의 장점과 약점
[상담과 심리치료] 임상적 실제 안에서의 기독교 신앙 및 암시적 통합과 명시적 통합)
[상담相談)과 심리치료] 인간중심치료의 인간관과 주요 이론적 개념 및 치료적 과정과 관계
상담의 정의(생활지도, 상담, 심리치료)
[심리치료와 상담기법] 정신분석적 치료 및 상담 행동치료와 상담 인본주의적 치료와 상담(인...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