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소련 분쟁과 자주노선 - 중소분쟁, 조소분쟁, 조중분쟁
본 자료는 미만의 자료로 미리보기를 제공하지 않습니다.
닫기
  • 1
  • 2
  • 3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중국 소련 분쟁과 자주노선 - 중소분쟁, 조소분쟁, 조중분쟁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중소분쟁

2. 조소분쟁

3. 조중분쟁

4. 자주노선

5. 빨치산 그룹의 해산

본문내용

일성만이 남음, 어떤 주장이던 본인의 뜻대로 다스릴 수 있게 됨
■ 북한의 정치발전과정은 김일성이라는 일개인이 권력 투쟁에 성공하기까지의 과정과 다 를바 없으며, 그가 북한에 사회주의 체제를 수립하려고 투쟁한 과정이라고 보기 어려움
■ 빨치산을 비롯한 세계의 정치그룹 → 조선의 특색있는 정치체제를 만들기 위해서 싸운 것이 아니라 권력투쟁, 빨치산 그룹만 남았을때 사회주의를 실시하는 정치체제로 자리 잡았다기 보다는 하나의 군벌 국가
⇒ 북한은 사회주의 국가로 발전한 것이 아니라 김일성의 나라가 됨
결과적으로 1960년대 교주주의나 수정주의에 휘말리지 않고 소련과 중국의 분쟁에서 그들의 대국주의를 거부하고 자주 노선을 선택한 것은 평가 받을만 하지만 제3세계 국가들은 북한의 경제 발전에는 도움이 되지 못함
  • 가격600
  • 페이지수3페이지
  • 등록일2015.05.20
  • 저작시기2015.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96858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