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수자료★) [부동산 기술론] 건축물 분석 강남역 대표 건축물 「어반하이브(Urban Hive)」 분석, 건축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우수자료★) [부동산 기술론] 건축물 분석 강남역 대표 건축물 「어반하이브(Urban Hive)」 분석, 건축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조사에 앞서..
1. 선정 동기
2. 조사방법

Ⅱ. 어반하이브(urban hive·도시의 벌집)
1. 전반적인 사항
2. 건물의 의미
3. 오피스의 임대면적 및 임대 현황
4. 시설관리
5. 코어 및 엘리베이터
6. 구조-철근콘크리트조 + TSC (철근콘크리트 beam + ST plate 보강 system) beam

본문내용

약점을 콘크리트 속에 넣음으로 보호된다. (재료로서 서로 다른 것을 결합해 일체화시킴으로써 철근 콘크리트구조가 성립한다.)
- 철근콘크리트는 자중이 크다는 특징으로 초고층 건물에서 1층은 거의 기중으로 가득 차게 되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 프리캐스트 또는 프리스트레스트콘크리트와 같은 공법의 개벌과 콘크리트의 지속적 고강도화로 철근콘크리트구조의 약점을 보완하는 기술을 개발함으로 적용범위가 점진적으로 확대되어가고 있다. 이런 기술적인 발전으로 초고층 건축물인 페트로나스 타워도 철근콘크리트 구조로 되어 있다.
(ㄴ).장점
- 힘의 흐름이 연속적이다.
- 강성이 크고, 내력도 충분하다.
- 내화성, 내구성이 좋다.
- 자유로이 원하는 형상을 만들기 쉽다.
- 비교적 경제적이다.
- 내진벽과 같은 구조요소를 적절히 배치함으로 우수한 내진 성능을 확보해 고층 건물에도 적용 가능하다.
(ㄷ). 단점
- 구조적, 경제적으로 불리한 점도 있다.
- 전단내력이 작아서 전단파괴에 충분한 대비가 필요하다.
- 취성이 크고, 인성이 작으므로 이를 보안하기 위해 철근의 세심한 배근이 중요하다.
- 비교적 자중이 커서 장스팬이나 초고층 건물에 경제성이 떨어진다.
- 현장 시공량이 많아 시공의 정밀성이 떨어지므로 설계시 충분히 감안해야한다.
- 콘크리트에 필요한 양질의 골재 및 숙련 기능공의 확보가 점점 곤란해지는 경향이 있다.
- 현장 시공시, 진동, 소음 오염, 폐기물 등의 공해발생이 커서 이를 처리하기 위한 비용이 크다.
(2). TSC beam (The Steel Concrete Beam) = TSC 합성보 (The Sen Steel Concrete Composite Beam)
(ㄱ). 정의
TSC합성보는 상부개방형 강판보에 콘크리트를 채운형태로서 합성보 거동을 하기위해 상부 플레이트에 스터드, ㄷ형강, R형강 등을 이용한 쉬어커넥터를 설치하며 하부 플레이트의 절곡된 돌기가 쉬어키의 역할을 하는 구조의 합성보이다.
(ㄴ). TSC의 장점
- 저렴한 제작비
- 정밀한 품질확보 - 1mm 단위로 제작
- 공장 대량생산
- 하부 STUD 불필요
(ㄷ). 기존 구조와의 비교
- 철근콘크리트 구조와 비교
ㄱ. 균열보수 불필요
ㄴ. 층고절감으로 경제적
ㄷ. 외부강판의 영구거푸집 역할로 거푸집 제작 및 해체 비용과 시간 절약
ㄹ. 강판의 인장재 역할로 콘크리트 타설 용이
ㅁ. 중성화 방지로 수명 연장
- 철골 구조와 비교
ㄱ. 강재단면 이용이 효율적
ㄴ. 처짐. 진동에 대한 사용성 우수
(ㄹ). steel plate (강판)
판 두께에 따라 6 mm 이상인 것을 후판, 그 이하 1~6 mm의 것을 중판, 1 mm 이하인 것을 박판이라 한다. 이것은 건축 ·교량 ·차량 ·선박 등에 사용되는 일반구조용인 열간압연강재, 용접성이 우수한 용접구조용 강재, 항복점이 높은 비조질고장력강 ·조질고장력강이 있다. 비바람에 노출되는 건축 ·교량 ·철도차량, 대기오염이 심한 공장지대, 염해를 받는 곳 등에 사용되는 내후성 강판과 저온용강판 ·냉간압연강판 ·표면처리강판 ·표면특수형상강판 등이 있다.
(3). 벽식구조
벽식구조는 수직의 벽체와 수평의 슬래브로 구성된구조이다. 기둥이나 보의 사용이 없어서 공간의 활용성이 크고 차폐성, 차음성이 뛰어나다. 이 구조는 넓은 공간을 여러 공간으로 분할해야 하는 건물에 많이 사용된다(아파트 호텔 등). 하중에 대한 벽식구조의 거동은 사용되는 재료와 수평바닥면과 수직벽면의 상호작용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조적조 건물과 조립식 콘크리트 구조물에서는 바닥구조가 벽면에 흰지로 접합되어 있는 반면에 현장타설 철근콘크리트 구조에서는 벽체와 슬래브가 일치되어있다. 이런 경우 벽체와 슬라브를 흰지로 접합한 것보다 보다 높고 안접하게 지을 수 있다. 수평하중은 휨의 형태로 벽체에 전달되고 그리고 수평하중이 발생하면 슬래브가 휨이 큰 보와 같은 역할을 하여 수평하중을 전단벽으로 전달하고 전단벽에서 바로 기초로 전달한다. 전단벽에는 대부분 개구부가 있기 때문에 강성이 약해지므로 이러한 개구부의 수, 크기 및 위치가 벽체의 거동에 큰 영향을 주므로 세심한 주의가 필요하다.
(4). 『space』에서 인용한 외부구조의 시공과정
구조: 외피를 아루는 펀칭된 노출 콘크리트 벽체는 두께 400mm, 지름 1050mm의 원형 철근 콘크리트 셀을 일정한 간격으로 연결시킨 벌집 형태로 자중 및 지진, 풍압에 안전한 무주공간을 형성했다.
솔루션: 노출콘크리트의 요점은 동일한 색상 콘크리트의 치밀한 충진, 재료 분리 방지, 재구성 확보다. 어반하이브는 컬러 피크먼트, 고강도 콘크리트, 고유동 콘크리트, 혼화재, 표면 처리용 혼화물, 발유, 발수제를 사용했다. 재질과 비율은 열세번의 목업을 통해 결정했다.
거푸집: 거푸집은 P.O 강철을 사용하며 레이져 절단기로 제작했다. 녹물로 인한 오염 방지를 위해 콘크리트와 닿지 않는 부위는 방청 처리했고 콘크리트와 닿는 면에는 도박형 코팅제를 도포하고 유성박리제를 덧발랐다.
콘크리트: 지정된 색상과 강도 및 혼화제의 비율로 생산하며 지속적으로 품질을 확인했다. 4개조 작업팀이 저주파, 고주파 다짐기를 사용해 1, 2조는 하단부의 양면을 3조는 주입부분을 4조는 1~3조가 다진 부분을 다시 다져 마무리 했다.
분리: 양생기간은 타설 완료 후 48시간으로 잡았다. 볼트와 핀을 풀어 거푸집의 압력을 제거한 뒤 다시 24시간을 기다려 철판과 콘크리트의 박리를 확인하고 거푸집을 들어냈다. 단, 기온에 따라 융통성을 가지고 강도 측정기를 사용해 적절한 콘크리트의 강도가 형성 되었을 때 작업했다.
연마: 거친 부분은 그라인더로 평활하게 정리했고 결함부분은 고강도 시멘튼 혼화재로 매웠다. 혼화재가 완전히 건조된 뒤 샌더로 면을 다듬고 아잘검이 발생하면 혼합물을 뿜칠해 조절했다. 미세한 엠보싱이 나타나면 샌더로 정리 했다.
코팅: 알칼리성인 콘크리트는 산성화된 대기에 취약하다. 콘크리트 보수에 사용된 혼화재의 내열성, 내한선, 내수성, 내산성에 더해 내오염성과 내구성을 향상시키는 수용성 불소 코팅제를 콘크리트에 충분히 침투되도록 2회 이상 도포해 코크리트를 2중으로 보호했다.
  • 가격2,000
  • 페이지수10페이지
  • 등록일2015.05.22
  • 저작시기2015.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96909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