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상소통칙------------------------------ 1p
1. 상소의 의의와 종류------------------------ 1p
(1) 상소의 의의--------------------------1p
(2) 상소의 종류--------------------------1p
2. 상소권------------------------------2p
(1) 상소권자----------------------------2p
(2) 상소권의 발생 ․ 소멸 ․ 회복------------------2p
3. 상소의 이익----------------------------4p
(1) 상소이익의 의의------------------------4p
(2) 검사의 상소이익------------------------4p
(3) 피고인의 상소이익-----------------------5p
(4) 상소의 이익이 없는 경우의 재판---------------- 6p
4. 상소의 제기와 포기 ․ 취하--------------------- 6p
(1) 상소의 제기-------------------------- 6p
(2) 상소의 포기 ․ 취하----------------------- 7p
5. 일부상소------------------------------ 8p
(1) 일부상소의 의의------------------------ 8p
(2) 일부상소의 범위------------------------ 8p
(3) 일부상소의 방식과 상소심의 심판범위-------------- 9p
6. 불이익변경금지의 원칙---------------------- 10p
(1) 불이익변경금지원칙의 의의------------------10p
(2) 불이익변경금지원칙의 적용범위---------------- 11p
(3) 불이익변경금지의 내용--------------------12p
7. 파기판결의 구속력------------------------ 16p
(1) 구속력의 의의------------------------- 16p
(2) 구속력의 범위------------------------- 16p
Ⅱ. 항소-------------------------------- 17p
1. 항소의 의의와 항소심의 구조------------------- 17p
(1) 항소의 의의--------------------------17p
(2) 항소심의 구조------------------------- 17p
2. 항소이유----------------------------- 18p
(1) 항소이유의 의의와 분류-------------------- 18p
(2) 법령위반의 항소이유---------------------- 18p
(3) 법령위반 이외의 항소이유-------------------19p
3. 항소심의 절차--------------------------20p
(1) 항소의 제기--------------------------20p
(2) 항소심의 심리------------------------ 21p
(3) 항소심의 재판------------------------ 21p
Ⅲ. 상고-------------------------------23p
1. 상고심의 의의와 상고심의 구조------------------23p
(1) 상고의 의의--------------------------23p
(2) 상고심의 구조------------------------ 24p
2. 상고이유---------------------------- 24p
3. 상고심의 절차-------------------------- 25p
(1) 상고의 제기------------------------- 25p
(2) 상고심의 심리------------------------ 26p
(3) 상고심의 재판------------------------ 27p
4. 비약적 상고---------------------------27p
(1) 비약적 상고의 의의----------------------27p
(2) 비약적 상고의 이유----------------------27p
5. 상고심 판결의 정정----------------------- 28p
(1) 판결정정의 의의----------------------- 28p
(2) 판결정정의 사유----------------------- 28p
(3) 판결정정의 절차----------------------- 28p
Ⅳ. 항고------------------------------ 28p
1. 항고의 의의와 종류----------------------- 28p
(1) 항고의 의의------------------------- 28p
(2) 항고의 종류------------------------- 28p
2. 항고심의 절차-------------------------- 29p
(1) 항고의 제기------------------------- 29p
(2) 항고심의 재판------------------------30p
3. 준항고-----------------------------30p
(1) 준항고의 의의------------------------30p
(2) 준항고의 대상------------------------30p
(3) 준항고의 절차------------------------30p
1. 상소의 의의와 종류------------------------ 1p
(1) 상소의 의의--------------------------1p
(2) 상소의 종류--------------------------1p
2. 상소권------------------------------2p
(1) 상소권자----------------------------2p
(2) 상소권의 발생 ․ 소멸 ․ 회복------------------2p
3. 상소의 이익----------------------------4p
(1) 상소이익의 의의------------------------4p
(2) 검사의 상소이익------------------------4p
(3) 피고인의 상소이익-----------------------5p
(4) 상소의 이익이 없는 경우의 재판---------------- 6p
4. 상소의 제기와 포기 ․ 취하--------------------- 6p
(1) 상소의 제기-------------------------- 6p
(2) 상소의 포기 ․ 취하----------------------- 7p
5. 일부상소------------------------------ 8p
(1) 일부상소의 의의------------------------ 8p
(2) 일부상소의 범위------------------------ 8p
(3) 일부상소의 방식과 상소심의 심판범위-------------- 9p
6. 불이익변경금지의 원칙---------------------- 10p
(1) 불이익변경금지원칙의 의의------------------10p
(2) 불이익변경금지원칙의 적용범위---------------- 11p
(3) 불이익변경금지의 내용--------------------12p
7. 파기판결의 구속력------------------------ 16p
(1) 구속력의 의의------------------------- 16p
(2) 구속력의 범위------------------------- 16p
Ⅱ. 항소-------------------------------- 17p
1. 항소의 의의와 항소심의 구조------------------- 17p
(1) 항소의 의의--------------------------17p
(2) 항소심의 구조------------------------- 17p
2. 항소이유----------------------------- 18p
(1) 항소이유의 의의와 분류-------------------- 18p
(2) 법령위반의 항소이유---------------------- 18p
(3) 법령위반 이외의 항소이유-------------------19p
3. 항소심의 절차--------------------------20p
(1) 항소의 제기--------------------------20p
(2) 항소심의 심리------------------------ 21p
(3) 항소심의 재판------------------------ 21p
Ⅲ. 상고-------------------------------23p
1. 상고심의 의의와 상고심의 구조------------------23p
(1) 상고의 의의--------------------------23p
(2) 상고심의 구조------------------------ 24p
2. 상고이유---------------------------- 24p
3. 상고심의 절차-------------------------- 25p
(1) 상고의 제기------------------------- 25p
(2) 상고심의 심리------------------------ 26p
(3) 상고심의 재판------------------------ 27p
4. 비약적 상고---------------------------27p
(1) 비약적 상고의 의의----------------------27p
(2) 비약적 상고의 이유----------------------27p
5. 상고심 판결의 정정----------------------- 28p
(1) 판결정정의 의의----------------------- 28p
(2) 판결정정의 사유----------------------- 28p
(3) 판결정정의 절차----------------------- 28p
Ⅳ. 항고------------------------------ 28p
1. 항고의 의의와 종류----------------------- 28p
(1) 항고의 의의------------------------- 28p
(2) 항고의 종류------------------------- 28p
2. 항고심의 절차-------------------------- 29p
(1) 항고의 제기------------------------- 29p
(2) 항고심의 재판------------------------30p
3. 준항고-----------------------------30p
(1) 준항고의 의의------------------------30p
(2) 준항고의 대상------------------------30p
(3) 준항고의 절차------------------------30p
본문내용
의 항고를 말하므로, 법원의 결정에 대하여 불복이 있으면 즉시항고 할 수 있는 이외에는 보통항고를 할 수 있는 것이 원칙이 지만, 형사소송법에 특별한 규정이 있는 경우에는 허용되지 않는다(§402).
◎즉시항고와 보통항고◎
구 분
즉 시 항 고
보 통 항 고
차이점
ㆍ제기기간은 3일이다.
ㆍ집행정지의 효력이 있다.
▶기피신청에 대한 간이기각결정은 즉시항고 할 수 있으나, 집행정지효력은 없다(§23-②).
ㆍ명문의 규정이 있는 경우에 만 허용된다.
ㆍ제기기간의 제한이 없다.
ㆍ집행정지의 효력은 없다.
ㆍ원칙적으로 허용되나, 특별 한 규정이 있는 때에는 인 정되지 않는다.
공통점
ㆍ항고대상은 종국전 재판인 ‘결정’이다.
ㆍ절차가 간이하다(구두변론 생략).
ㆍ항고장은 원심법원에 제출한다.
② 재항고
㉠ 항고법원 또는 고등법원의 결정에 대한 항고를 재항고라고 한다.
㉡ 항고법원 또는 고등법원의 결정에 대하여는 원칙적으로 항고할 수 없다. 다만, 재 판에 영향을 미친 헌법 법률 명령 또는 규칙의 위반이 있음을 이유로 하는 때 에 한하여 대법원에 즉시항고를 할 수 있다(§415).
㉢ 재항고는 즉시항고이다. 따라서 재항고의 절차는 즉시항고의 경우와 같다.
2. 항고심의 절차
(1) 항고의 제기
① 항고의 제기 및 기간
㉠ 항고는 항고장을 원심법원에 제출하여야 한다(§406). [97.경장승진]
㉡ 즉시항고의 제기기간은 3일이다(§405). 보통항고에는 기간의 제한이 없으므로 언 제든지 할 수 있다. 단, 원심결정을 취소하여도 실익이 없게 된 때에는 예외로 한 다(§404). [04.경찰]
② 원심법원의 조치
㉠ 항고기각결정 : 항고의 제기가 법률상의 방식에 위반하거나 항고권소멸후인 것이 명백한 때에는 원심법원은 결정으로 항고를 기각하여야 한다. 항고기각결정에 대 하여는 즉시항고를 할 수 있다(§407).
㉡ 경정결정 : 원심법원은 항고가 이유있다고 인정한 때에는 결정을 경정하여야 한다 (§408-①). 그러나 항고의 전부 또는 일부가 이유없다고 인정한 때에는 항고장을 받은 날로부터 3일 이내에 의견서를 첨부하여 항고법원에 송부하여야 한다(§407- ②).
㉢ 소송기록의 송부
ⓐ 원심법원이 필요하다고 인정한 때에는 소송기록과 증거물을 항고법원에 송부하 여야 한다. 항고법원은 소송기록과 증거물의 송부를 요구할 수 있다.
ⓑ 항고법원은 소송기록과 증거물을 송부받은 날로부터 5일 이내에 당사자에게 그 사유를 통지하여야 한다(§411).
③ 항고제기의 효과
㉠ 즉시항고 : 즉시항고의 제기기간 내에 그 제기가 있는 때에는 재판의 집행은 정지 된다(§410).
㉡ 보통항고 : 보통항고에는 재판의 집행을 정지하는 효력은 없다. 단, 원심법원 또는 항고법원은 결정으로 항고에 대한 결정이 있을 때까지 집행을 정지할 수 있다.
(2) 항고심의 재판
항고법원은 항고에 대한 결정을 한다. 항고심은 사실과 법률을 모두 심사할 수 있으 며, 심사범위도 항고이유에 한정되지 않는다. 검사는 항고사건에 대하여 의견을 진술 할 수 있으며(§412), 항고의 제기가 법률상의 방식에 위반하였거나 항고권소멸후인 것 이 명백한 경우에 원심법원이 항고기각의 결정을 하지 아니한 때에는 항고법원은 항고 기각결정을 하여야 한다(§413). 항고를 이유있다고 인정한 때에는 결정으로 원심결정 을 취소하고 필요한 경우에는 항고사건에 대하여 직접 재판을 하여야 한다(§413-②). 항고법원의 결정에 대하여는 형사소송법 제415조에 의하여 대법원에 재항고할 수 있 다.
3. 준항고
[관련조문 - 형사소송법 제416조, 제417조, 418조]
(1) 준항고의 의의
① 준항고는 재판장 또는 수명법관의 재판(명령)과 검사 또는 사법경찰관(수사기관)의 처분에 대하여 그 소속법원 또는 관할법원에 취소 또는 변경을 청구하는 불복신청방 법이다. [97.법원, 99.경위승진, 00.법원승진, 00.경찰, 01.경찰]
② 준항고는 상급법원에 대하여 구제를 신청하는 것이 아니므로 엄격한 의미에서는 상 소에 해당하지 않는다.
③ 준항고에 대하여는 항고에 관한 규정이 준용된다(§419).
(2) 준항고의 대상
① 재판장 또는 수명법관의 재판
다음의 경우 불복이 있으면 3일 이내에 그 법관이 소속한 법원에 재판의 취소 또는 변경을 청구할 수 있다(§416).
㉠ 기피신청을 기각한 재판
㉡ 구금, 보석, 압수 또는 압수물 환부에 관한 재판
㉢ 감정하기 위하여 피고인의 유치를 명한 재판
㉣ 증인, 감정인, 통역인, 번역인에 대하여 과태료 또는 비용의 배상을 명한 재판
② 수사기관의 처분
검사 또는 사법경찰관의 구속 압수 또는 압수물의 환부에 관한 처분과 피의자신문 시 변호인참여에 관한 처분에 대하여 불복이 있으면 그 직무집행지의 관할법원 또는 검사의 소속검찰청에 대응한 법원에 그 처분의 취소 또는 변경을 청구할 수 있다 (§417). (2007.일부개정)
수사기관의 처분은 적극적 처분과 소극적 부작위를 모두 포함한다. 따라서 구속피의 자에 대한 접견교통의 신청에 대하여 아무런 조치를 취하지 않은 경우에도 준항고의 제기가 가능하다(大決 1991.3.28, 91모24).
(3) 준항고의 절차
① 준항고의 방식 : 준항고의 청구는 서면으로 관할법원에 제출하여야 한다(§418). 지 방법원이 준항고의 청구를 받은 때에는 합의부에서 결정한다(§416-②). 법관의 재판 에 대한 준항고는 재판의 고지가 있는 날로부터 3일 이내에 하여야 한다(§416-③).
② 재판의 집행정지 : 준항고는 원칙적으로 집행정지의 효력이 없으나, 과태료 비용배 상을 명하는 재판에 대한 준항고는 집행정지의 효력이 있다(§416-④).
③ 준항고의 심판 : 항고기각의 결정(§413), 항고기각과 항고이유인정(§414) 및 재항고 (§415)에 관한 규정은 준항고에 대하여 준용된다(§419).
④ 효과
준항고는 원칙적으로 집행정지의 효력이 없으나(§409, §419), 증인 감정인 통역인 또는 번역인에 대하여 과태료 또는 비용의 배상을 명한 재판에 대하여는 준항고 청구 기간 내의 청구가 있는 때에는 그 재판의 집행이 정지된다(§416-4).
◎즉시항고와 보통항고◎
구 분
즉 시 항 고
보 통 항 고
차이점
ㆍ제기기간은 3일이다.
ㆍ집행정지의 효력이 있다.
▶기피신청에 대한 간이기각결정은 즉시항고 할 수 있으나, 집행정지효력은 없다(§23-②).
ㆍ명문의 규정이 있는 경우에 만 허용된다.
ㆍ제기기간의 제한이 없다.
ㆍ집행정지의 효력은 없다.
ㆍ원칙적으로 허용되나, 특별 한 규정이 있는 때에는 인 정되지 않는다.
공통점
ㆍ항고대상은 종국전 재판인 ‘결정’이다.
ㆍ절차가 간이하다(구두변론 생략).
ㆍ항고장은 원심법원에 제출한다.
② 재항고
㉠ 항고법원 또는 고등법원의 결정에 대한 항고를 재항고라고 한다.
㉡ 항고법원 또는 고등법원의 결정에 대하여는 원칙적으로 항고할 수 없다. 다만, 재 판에 영향을 미친 헌법 법률 명령 또는 규칙의 위반이 있음을 이유로 하는 때 에 한하여 대법원에 즉시항고를 할 수 있다(§415).
㉢ 재항고는 즉시항고이다. 따라서 재항고의 절차는 즉시항고의 경우와 같다.
2. 항고심의 절차
(1) 항고의 제기
① 항고의 제기 및 기간
㉠ 항고는 항고장을 원심법원에 제출하여야 한다(§406). [97.경장승진]
㉡ 즉시항고의 제기기간은 3일이다(§405). 보통항고에는 기간의 제한이 없으므로 언 제든지 할 수 있다. 단, 원심결정을 취소하여도 실익이 없게 된 때에는 예외로 한 다(§404). [04.경찰]
② 원심법원의 조치
㉠ 항고기각결정 : 항고의 제기가 법률상의 방식에 위반하거나 항고권소멸후인 것이 명백한 때에는 원심법원은 결정으로 항고를 기각하여야 한다. 항고기각결정에 대 하여는 즉시항고를 할 수 있다(§407).
㉡ 경정결정 : 원심법원은 항고가 이유있다고 인정한 때에는 결정을 경정하여야 한다 (§408-①). 그러나 항고의 전부 또는 일부가 이유없다고 인정한 때에는 항고장을 받은 날로부터 3일 이내에 의견서를 첨부하여 항고법원에 송부하여야 한다(§407- ②).
㉢ 소송기록의 송부
ⓐ 원심법원이 필요하다고 인정한 때에는 소송기록과 증거물을 항고법원에 송부하 여야 한다. 항고법원은 소송기록과 증거물의 송부를 요구할 수 있다.
ⓑ 항고법원은 소송기록과 증거물을 송부받은 날로부터 5일 이내에 당사자에게 그 사유를 통지하여야 한다(§411).
③ 항고제기의 효과
㉠ 즉시항고 : 즉시항고의 제기기간 내에 그 제기가 있는 때에는 재판의 집행은 정지 된다(§410).
㉡ 보통항고 : 보통항고에는 재판의 집행을 정지하는 효력은 없다. 단, 원심법원 또는 항고법원은 결정으로 항고에 대한 결정이 있을 때까지 집행을 정지할 수 있다.
(2) 항고심의 재판
항고법원은 항고에 대한 결정을 한다. 항고심은 사실과 법률을 모두 심사할 수 있으 며, 심사범위도 항고이유에 한정되지 않는다. 검사는 항고사건에 대하여 의견을 진술 할 수 있으며(§412), 항고의 제기가 법률상의 방식에 위반하였거나 항고권소멸후인 것 이 명백한 경우에 원심법원이 항고기각의 결정을 하지 아니한 때에는 항고법원은 항고 기각결정을 하여야 한다(§413). 항고를 이유있다고 인정한 때에는 결정으로 원심결정 을 취소하고 필요한 경우에는 항고사건에 대하여 직접 재판을 하여야 한다(§413-②). 항고법원의 결정에 대하여는 형사소송법 제415조에 의하여 대법원에 재항고할 수 있 다.
3. 준항고
[관련조문 - 형사소송법 제416조, 제417조, 418조]
(1) 준항고의 의의
① 준항고는 재판장 또는 수명법관의 재판(명령)과 검사 또는 사법경찰관(수사기관)의 처분에 대하여 그 소속법원 또는 관할법원에 취소 또는 변경을 청구하는 불복신청방 법이다. [97.법원, 99.경위승진, 00.법원승진, 00.경찰, 01.경찰]
② 준항고는 상급법원에 대하여 구제를 신청하는 것이 아니므로 엄격한 의미에서는 상 소에 해당하지 않는다.
③ 준항고에 대하여는 항고에 관한 규정이 준용된다(§419).
(2) 준항고의 대상
① 재판장 또는 수명법관의 재판
다음의 경우 불복이 있으면 3일 이내에 그 법관이 소속한 법원에 재판의 취소 또는 변경을 청구할 수 있다(§416).
㉠ 기피신청을 기각한 재판
㉡ 구금, 보석, 압수 또는 압수물 환부에 관한 재판
㉢ 감정하기 위하여 피고인의 유치를 명한 재판
㉣ 증인, 감정인, 통역인, 번역인에 대하여 과태료 또는 비용의 배상을 명한 재판
② 수사기관의 처분
검사 또는 사법경찰관의 구속 압수 또는 압수물의 환부에 관한 처분과 피의자신문 시 변호인참여에 관한 처분에 대하여 불복이 있으면 그 직무집행지의 관할법원 또는 검사의 소속검찰청에 대응한 법원에 그 처분의 취소 또는 변경을 청구할 수 있다 (§417). (2007.일부개정)
수사기관의 처분은 적극적 처분과 소극적 부작위를 모두 포함한다. 따라서 구속피의 자에 대한 접견교통의 신청에 대하여 아무런 조치를 취하지 않은 경우에도 준항고의 제기가 가능하다(大決 1991.3.28, 91모24).
(3) 준항고의 절차
① 준항고의 방식 : 준항고의 청구는 서면으로 관할법원에 제출하여야 한다(§418). 지 방법원이 준항고의 청구를 받은 때에는 합의부에서 결정한다(§416-②). 법관의 재판 에 대한 준항고는 재판의 고지가 있는 날로부터 3일 이내에 하여야 한다(§416-③).
② 재판의 집행정지 : 준항고는 원칙적으로 집행정지의 효력이 없으나, 과태료 비용배 상을 명하는 재판에 대한 준항고는 집행정지의 효력이 있다(§416-④).
③ 준항고의 심판 : 항고기각의 결정(§413), 항고기각과 항고이유인정(§414) 및 재항고 (§415)에 관한 규정은 준항고에 대하여 준용된다(§419).
④ 효과
준항고는 원칙적으로 집행정지의 효력이 없으나(§409, §419), 증인 감정인 통역인 또는 번역인에 대하여 과태료 또는 비용의 배상을 명한 재판에 대하여는 준항고 청구 기간 내의 청구가 있는 때에는 그 재판의 집행이 정지된다(§416-4).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