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 론
1.가사노동이란?
2.현재 사회 가사노동의 가치
Ⅱ. 본 론
3.우리나라 최저생계비
4.주부들이 생각하는 가사노동의 가치
5.기회비용법으로 보는 가사노동의 가치
Ⅲ. 결 론
6.가사노동의 가치
7.측정할 수 없는 가사노동의 가치
1.가사노동이란?
2.현재 사회 가사노동의 가치
Ⅱ. 본 론
3.우리나라 최저생계비
4.주부들이 생각하는 가사노동의 가치
5.기회비용법으로 보는 가사노동의 가치
Ⅲ. 결 론
6.가사노동의 가치
7.측정할 수 없는 가사노동의 가치
본문내용
거주청소 1회 3명이서 6시간 청소가격 240,000원
240,000원/3명/6시간 = 13.3333원
따라서 가사노동을 직업으로 하는 사람들의 시급은 약12,916.5원이다. 이는 기회비용이 시간당 12,916.5원이라는 말과 같다. 따라서 기회비용법으로 보는 가사노동의 가격은 11,560.3원이다. 12,916.5원/60*53.7분=11,560.3원
Ⅲ. 결 론
6.가사노동의 가치
우리가 생각하는 가사노동의 가격은 위에서 조사한 자료들의 평균값이다. 그리고 만약에 가족구성원의 수가 많다면 가사노동은 훨씬 더 노동의 강도가 강해지는 노동일 수 있기 때문에 우선 우리는 위의 자료를 조사함으로써 객관적으로 가사노동의 가격을 측정해보았다. 몇 십 년 동안 가사노동을 해온 주부들이 측정한 가격, 기회비용법으로 보는 가격, 2015년 최저생계비의 값을 정리해 보았다. 그 결과는 밑의 표와 같다.
대상
시간
가치
최저생계비
60분
10,427원
주부
60분
10,000원
기회비용
53.7분
11,560.3원
이렇게 도출해낸 가격에서 1분단위로 가치를 환산하였을 때 1분당 약 184원이 나온다. 총가치/총시간= 31,987.3원/173.7분
결국 시간당 11,040원이다. 즉, 우리가 생각하는 가사노동의 가치는 현재 대한민국의 최저시급(5,580원)보다 5,460원이 높은 11,040원으로 측정이 된다.
7.측정할 수 없는 가사노동의 가치
정치경제학 수업 중 4장 노동파트에서 가사노동에 대해 수업을 들으면서 가사노동이 저평가가 되었다는 생각이 많이 되었다. 교수님께서 ‘가사노동의 가치를 얼마라고 생각하는가?’라는 질문을 주셨을 때 우리는 항상 가사노동을 접하며 현재도 가사노동을 하면서 살지만 막상 질문을 받았을 때, 가사노동에도 가치가 있는지, 그 가치가 얼마일지 떠오르지가 않았고, 어떻게 가치를 측정해야 할지 고민이 많이 되었다. 우리의 주변사람들이 가사노동의 가치를 어떻게 생각하는지, 우리가 매일 하는 노동이 얼마나 가치 있는지, 어머니들께서는 얼마의 가치를 생각하시는지, 그리고 전문적으로 가사노동을 해주시는 분들은 얼마나 댓가를 받으시는지 조사 해보면서 결코 쉬운 노동이 아니라는 생각이 많이 들었다.
결과적으로 이번 조사를 통해 가사노동이 가격으로 11,040원으로 측정되었지만 과연 이 가격이 적절한 가격일까? 주부들은 가족을 위해 정성을 다하여 가사를 돌보고 댓가를 바라지 않으면서 노동을 제공한다. 더불어 가족구성원이 대가족 일수록 노동의 강도가 강해지게 된다. 따라서 가족을 위해 헌신하는 모습들을 단지 수치화된 가격으로 나타낸다는 것은 절대적으로 과소평가라고 생각한다. 예를 들어 아버지는 밖에서 노동을 제공하고 그 댓가로 월급을 받아 온다. 어머니는 가사노동을 함으로써 아버지가 집에서 편안히 휴식을 취하며 노동 재생산을 할 수 있는 원동력을 만들어준다. 이처럼 어머니가 가사노동을 함으로써 우리 가족들은 가격으로 측정할 수 없는 효용을 얻을 수 있다고 생각한다. 그 효용의 가치는 그 어떤 것과도 비교할 수 없는 가치라 생각한다.
240,000원/3명/6시간 = 13.3333원
따라서 가사노동을 직업으로 하는 사람들의 시급은 약12,916.5원이다. 이는 기회비용이 시간당 12,916.5원이라는 말과 같다. 따라서 기회비용법으로 보는 가사노동의 가격은 11,560.3원이다. 12,916.5원/60*53.7분=11,560.3원
Ⅲ. 결 론
6.가사노동의 가치
우리가 생각하는 가사노동의 가격은 위에서 조사한 자료들의 평균값이다. 그리고 만약에 가족구성원의 수가 많다면 가사노동은 훨씬 더 노동의 강도가 강해지는 노동일 수 있기 때문에 우선 우리는 위의 자료를 조사함으로써 객관적으로 가사노동의 가격을 측정해보았다. 몇 십 년 동안 가사노동을 해온 주부들이 측정한 가격, 기회비용법으로 보는 가격, 2015년 최저생계비의 값을 정리해 보았다. 그 결과는 밑의 표와 같다.
대상
시간
가치
최저생계비
60분
10,427원
주부
60분
10,000원
기회비용
53.7분
11,560.3원
이렇게 도출해낸 가격에서 1분단위로 가치를 환산하였을 때 1분당 약 184원이 나온다. 총가치/총시간= 31,987.3원/173.7분
결국 시간당 11,040원이다. 즉, 우리가 생각하는 가사노동의 가치는 현재 대한민국의 최저시급(5,580원)보다 5,460원이 높은 11,040원으로 측정이 된다.
7.측정할 수 없는 가사노동의 가치
정치경제학 수업 중 4장 노동파트에서 가사노동에 대해 수업을 들으면서 가사노동이 저평가가 되었다는 생각이 많이 되었다. 교수님께서 ‘가사노동의 가치를 얼마라고 생각하는가?’라는 질문을 주셨을 때 우리는 항상 가사노동을 접하며 현재도 가사노동을 하면서 살지만 막상 질문을 받았을 때, 가사노동에도 가치가 있는지, 그 가치가 얼마일지 떠오르지가 않았고, 어떻게 가치를 측정해야 할지 고민이 많이 되었다. 우리의 주변사람들이 가사노동의 가치를 어떻게 생각하는지, 우리가 매일 하는 노동이 얼마나 가치 있는지, 어머니들께서는 얼마의 가치를 생각하시는지, 그리고 전문적으로 가사노동을 해주시는 분들은 얼마나 댓가를 받으시는지 조사 해보면서 결코 쉬운 노동이 아니라는 생각이 많이 들었다.
결과적으로 이번 조사를 통해 가사노동이 가격으로 11,040원으로 측정되었지만 과연 이 가격이 적절한 가격일까? 주부들은 가족을 위해 정성을 다하여 가사를 돌보고 댓가를 바라지 않으면서 노동을 제공한다. 더불어 가족구성원이 대가족 일수록 노동의 강도가 강해지게 된다. 따라서 가족을 위해 헌신하는 모습들을 단지 수치화된 가격으로 나타낸다는 것은 절대적으로 과소평가라고 생각한다. 예를 들어 아버지는 밖에서 노동을 제공하고 그 댓가로 월급을 받아 온다. 어머니는 가사노동을 함으로써 아버지가 집에서 편안히 휴식을 취하며 노동 재생산을 할 수 있는 원동력을 만들어준다. 이처럼 어머니가 가사노동을 함으로써 우리 가족들은 가격으로 측정할 수 없는 효용을 얻을 수 있다고 생각한다. 그 효용의 가치는 그 어떤 것과도 비교할 수 없는 가치라 생각한다.
추천자료
노동가치론의 논리구조에 관한 세 가지 명제
노동가치론과 효용가치론
노동가치론과 효용가치론에대하여...
한국사회에서의 여성의 경제활동(가사일 제외) 참여의 특징과 노동시장에서의 성불평등의 원...
노동가치론 발전사
동일가치노동 동일임금의 원칙과 명목임금에 대하여
[노동의 종말] 노동의종말 서평 - 작품 내용분석, 현대사회에서의 노동과 사회성과 노동가치,...
고전학파의 노동가치설 과 마르크스( K.Marx)의 노동가치설 비교
노동가치이론
[노동가치론, 노동가치론 개념, 노동가치론 의의, 노동가치론 특성, 노동가치론 발전]노동가...
[동일노동]동일노동 동일임금(동일가치노동 동일임금)의 특성, 의미, 동일노동 동일임금(동일...
[가치생산][가치][생산][서비스노동가치생산][상품가치생산][잉여가치생산][부가가치생산][고...
[노동과 여가관계의 정립] 위기상황에 처한 노동사회(부정적 측면) & 가사회로의 역동적 ...
노동가치설에 입각한 비교우위론- 리카도 모형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