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듀이(John Dewey : 1859-1952)의 의지에 대한 담론과 교육
듀이의 지성에 대한 담론과 21세기의 교육
듀이의 자연에 대한 담론과 생태교육
피터스(Richard. S. Peters : 1919- )의 교육에 대한 담론
피터스의 학교교육에 대한 담론
교사교육에 관한 철학적 담론
헤겔(G. W. F. Hegel : 1770-1831)의 교육담론
니체(F. Nietzsche : 1844-1900)의 교육담론
니체의 이상적 교육자상에 대한 담론
메를로-퐁티의 교육담론((Maurice Merleau Ponty : 1908-1961)
길리건(Corol Gilligan)과 나딩스(Nel Noddings)의 보살핌의 담론과 교육
듀이의 지성에 대한 담론과 21세기의 교육
듀이의 자연에 대한 담론과 생태교육
피터스(Richard. S. Peters : 1919- )의 교육에 대한 담론
피터스의 학교교육에 대한 담론
교사교육에 관한 철학적 담론
헤겔(G. W. F. Hegel : 1770-1831)의 교육담론
니체(F. Nietzsche : 1844-1900)의 교육담론
니체의 이상적 교육자상에 대한 담론
메를로-퐁티의 교육담론((Maurice Merleau Ponty : 1908-1961)
길리건(Corol Gilligan)과 나딩스(Nel Noddings)의 보살핌의 담론과 교육
본문내용
교사들이 매일같이 만나는 학생들은 학교에서 객관화된 지식을 학습하기 이전에 이미 자신의 몸을 통해 다양한 경험과 선행지식을 가지고 있다. 즉 학생들은 학교에 와서 구조화되고 체계화된 지식을 학습하기 이전에 벌써 몸의 다양한 운동들 몸짓, 손짓, 눈짓을 통해 체득한 선행 지식들을 가지고 있다. 말하자면 체험된 지식이 대상화된 지식의 토대가 되고 있는 셈이다. 따라서 교육은 백지상태에 있는 학생의 마음에 전혀 새로운 지식이나 경험을 일방적으로 심는 일이 아니라, 이미 생활의 주체인 학습자가 자신의 몸을 통해 체득한 경험이나 지식을 정교화하고 재배열하도록 돕는 과정이라고 할 수 있다.
길리건(Corol Gilligan)과 나딩스(Nel Noddings)의 보살핌의 담론과 교육
길리건과 나딩스는 남녀간의 차이에 대한 인식을 토대로 윤리학을 법, 권리, 정의의 원리가 지배하는 남성의 윤리와 여성적인 수용성, 관계성, 응답성을 중시하는 보살핌의 윤리로 구분한 후, 남성의 윤리는 남성적인 관점에서만 도덕성을 평가함으로써 여성의 특성을 반영하는 보살핌의 윤리를 철저하게 무시하고 열등한 것으로 파악했다고 비판했다. 나아가 그녀는 기존 윤리학에 대한 비판을 넘어서 보살핌의 윤리가 여성만을 위한 것이 아니라 남녀 모두에게 필요한 보편적인 윤리가 되어야 한다고 주장했다. 나딩스에 의하면, 진정한 보살핌의 관계가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보살피는 사람과 보살핌을 받는 사람 간의 관계가 바르게 설정될 때 가능하다고 보았다. 왜냐하면 보살핌의 관계란 인간 존재의 접촉이나 만남 즉 보살피는 사람과 보살핌을 받는 사람과의 접촉이나 만남 사이에서 이루어지기 때문이다. 성숙한 보살핌은 조건적이고 차별적인 것이 아니라 무조건적이고 무차별적인 것이어야 한다. 슈바이처의 생명외경의 사상은 분명히 보살핌의 대상을 인간으로부터 생명체 전체에로 확대해야 한다는 외침이었다. 따라서 반델버그도 지적했듯이, 보살피는 사람이 다른 사람은 물론이고 동물, 살아있는 생명체, 사람들이 만든 인위적인 물건까지도 보살필 수 있을 때, 그를 성숙한 도덕성을 지닌 사람이라고 부를 수 있을 것이다. 길리건이나 나딩스의 입장에 비추어보면 보살핌의 윤리는 보살핌을 받는 사람에게는 큰 부담을 안겨주지 않는 반면에 보살피는 사람에게는 너무 큰 부담과 의무를 안겨줄 수 있다. 바로 보살펴주는 사람의 역할이 여성에게 주어져 있다는 점에서 보살핌의 윤리는 여성의 희생과 헌신을 강요할 가능성이 크다. 도덕적 이상이 실현되기 위해서는 보살피는 사람에게 지나친 희생과 헌신만이 강요되어서는 안 된다. 남을 보살피기 위해서는 먼저 자기 자신에 대한 보살핌이 이루어져야 한다.
이 책은 다른 여타 철학책들에 비해 이해하기 쉽게 쓰여서 교육현상이나 교육활동에 대해 조금 더 폭넓은 이해를 하는데 도움이 되었다. 또한, 철학적인 관점에서 학교문제들을 다룬 것 또한 철학을 학교현실의 문제들과 연결하여 생각할 수 있었다. 잘 알려진 것도 아니고 쉽게 다루지 않는 철학주제들을 가져와서 교육철학에 대한 생각을 넓히는 기회가 되었다.
길리건(Corol Gilligan)과 나딩스(Nel Noddings)의 보살핌의 담론과 교육
길리건과 나딩스는 남녀간의 차이에 대한 인식을 토대로 윤리학을 법, 권리, 정의의 원리가 지배하는 남성의 윤리와 여성적인 수용성, 관계성, 응답성을 중시하는 보살핌의 윤리로 구분한 후, 남성의 윤리는 남성적인 관점에서만 도덕성을 평가함으로써 여성의 특성을 반영하는 보살핌의 윤리를 철저하게 무시하고 열등한 것으로 파악했다고 비판했다. 나아가 그녀는 기존 윤리학에 대한 비판을 넘어서 보살핌의 윤리가 여성만을 위한 것이 아니라 남녀 모두에게 필요한 보편적인 윤리가 되어야 한다고 주장했다. 나딩스에 의하면, 진정한 보살핌의 관계가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보살피는 사람과 보살핌을 받는 사람 간의 관계가 바르게 설정될 때 가능하다고 보았다. 왜냐하면 보살핌의 관계란 인간 존재의 접촉이나 만남 즉 보살피는 사람과 보살핌을 받는 사람과의 접촉이나 만남 사이에서 이루어지기 때문이다. 성숙한 보살핌은 조건적이고 차별적인 것이 아니라 무조건적이고 무차별적인 것이어야 한다. 슈바이처의 생명외경의 사상은 분명히 보살핌의 대상을 인간으로부터 생명체 전체에로 확대해야 한다는 외침이었다. 따라서 반델버그도 지적했듯이, 보살피는 사람이 다른 사람은 물론이고 동물, 살아있는 생명체, 사람들이 만든 인위적인 물건까지도 보살필 수 있을 때, 그를 성숙한 도덕성을 지닌 사람이라고 부를 수 있을 것이다. 길리건이나 나딩스의 입장에 비추어보면 보살핌의 윤리는 보살핌을 받는 사람에게는 큰 부담을 안겨주지 않는 반면에 보살피는 사람에게는 너무 큰 부담과 의무를 안겨줄 수 있다. 바로 보살펴주는 사람의 역할이 여성에게 주어져 있다는 점에서 보살핌의 윤리는 여성의 희생과 헌신을 강요할 가능성이 크다. 도덕적 이상이 실현되기 위해서는 보살피는 사람에게 지나친 희생과 헌신만이 강요되어서는 안 된다. 남을 보살피기 위해서는 먼저 자기 자신에 대한 보살핌이 이루어져야 한다.
이 책은 다른 여타 철학책들에 비해 이해하기 쉽게 쓰여서 교육현상이나 교육활동에 대해 조금 더 폭넓은 이해를 하는데 도움이 되었다. 또한, 철학적인 관점에서 학교문제들을 다룬 것 또한 철학을 학교현실의 문제들과 연결하여 생각할 수 있었다. 잘 알려진 것도 아니고 쉽게 다루지 않는 철학주제들을 가져와서 교육철학에 대한 생각을 넓히는 기회가 되었다.
키워드
추천자료
[프뢰벨][교육철학][교육사상]프뢰벨의 생애, 프뢰벨의 교육사상(교육철학), 프뢰벨의 교육목...
조선 성리학 교육사상(교육철학) 권근과 이황, 조선 성리학 교육사상(교육철학) 이이, 조선 ...
[교육사상가][교육철학자]그리스 교육사상가(교육철학자) 프로타고라스, 그리스 교육사상가(...
그리스 아테네 교육사상(교육철학), 그리스 아테네 교육사상(교육철학) 소피스트, 그리스 아...
독일 교육사상가 루터와 코메니우스의 교육철학, 독일 교육사상가 바제도(바제도우)와 칸트의...
[교육사상][교육철학]중국 교육철학자(교육사상가) 노자, 중국 교육철학자(교육사상가) 공자,...
(유아교육철학및교육사E)놀이가 유아교육에 차지하는 비중을 교육철학자들의 입장을 빌려와 논의
유아교육철학및교육사 - 놀이가 유아교육에서 차지하는 비중을 교육철학자들의 입장을 빌려와...
독일 루터 교육사상(교육철학), 독일 코메니우스 교육사상(교육철학), 독일 칸트 교육사상(교...
[교육관][교육철학]9율곡이이][남궁억][여성교육관][실존적 민족적 교육관]교육관의 분류, 교...
[교육학] 교육의 철학적 기초 02 - 현대 교육철학의 사조, 현대 교육철학의 탐구주제
[철학] 교육철학 및 교육사 - 01.고대 삼국시대의 교육과 고려시대의 교육
[교육학개론] 현대 교육사조 분석철학 - 분석철학(analytic philosophy)의 등장 배경, 논리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