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5. 실험결과
6. 결과 분석
7. 토의 및 건의사항
8. 참고문헌
6. 결과 분석
7. 토의 및 건의사항
8. 참고문헌
본문내용
르게 생겼지만, 관측 할 때에는 손의 떨림이나 물의 흔들림으로 인한 오차 때문에 결과 그림이 정확히 나오지 않았다.
- 등전위선을 관찰해보니 절대 끊기거나 교차를 하지 않았다. 이는 등전위선의 성질을 명확히 알려준다. 참고로 전기력선 또한 갈라지거나 끊어지지 않는다.
- D 에서 원래는 원형 링에 내부에서 등전위선이 나오지 말아야 한다. 왜냐하면 링 주변을 등전위선이 감싸고 있어서 전기장이 도체에서 나가는 방향이기 때문이다. 하지만 안에서 관찰된 이유는 링이 완벽한 역할을 하지 못했기 때문이다(고장이나 휘어짐 혹은 부러진 경우)
7. 토의 및 건의사항
- 아무래도 고정 전극이 원형과 선형 두 개밖에 없기 때문에 등전위선이 고정 전극의 모양을 따른다는 것을 유추해내기 어려웠다. 좀 더 특이한 예를 들어 별 같은 모양의 고정 전극도 실험 과정에 있으면 좋을 것 같다.
- 원형 링 안에서도 등전위선이 발견 된 것을 보아 원형 링 또는 다른 장비에 문제가 생긴 것을 알 수 있다. 이때 확실히 실험 결과를 얻을 수 있게 장비를 고치는 것이 좋을 거 같다.
8. 참고문헌
네이버 백과사전 (등전위선)
네이버 지식인 (등전위선이 안 겹치는 이유가 뭐에요? 외 3개)
- 등전위선을 관찰해보니 절대 끊기거나 교차를 하지 않았다. 이는 등전위선의 성질을 명확히 알려준다. 참고로 전기력선 또한 갈라지거나 끊어지지 않는다.
- D 에서 원래는 원형 링에 내부에서 등전위선이 나오지 말아야 한다. 왜냐하면 링 주변을 등전위선이 감싸고 있어서 전기장이 도체에서 나가는 방향이기 때문이다. 하지만 안에서 관찰된 이유는 링이 완벽한 역할을 하지 못했기 때문이다(고장이나 휘어짐 혹은 부러진 경우)
7. 토의 및 건의사항
- 아무래도 고정 전극이 원형과 선형 두 개밖에 없기 때문에 등전위선이 고정 전극의 모양을 따른다는 것을 유추해내기 어려웠다. 좀 더 특이한 예를 들어 별 같은 모양의 고정 전극도 실험 과정에 있으면 좋을 것 같다.
- 원형 링 안에서도 등전위선이 발견 된 것을 보아 원형 링 또는 다른 장비에 문제가 생긴 것을 알 수 있다. 이때 확실히 실험 결과를 얻을 수 있게 장비를 고치는 것이 좋을 거 같다.
8. 참고문헌
네이버 백과사전 (등전위선)
네이버 지식인 (등전위선이 안 겹치는 이유가 뭐에요? 외 3개)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