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북한의 행정구역
2.사회주의 도시계획의 개요
3.북한 도시계획의 개요
4.북한 도시개발 현황
5.북한 주요도시의 인구분포
6.북한의 도시화
7.북한 주요도시 ㆍ 지역현황
8.요약
*참고문헌
2.사회주의 도시계획의 개요
3.북한 도시계획의 개요
4.북한 도시개발 현황
5.북한 주요도시의 인구분포
6.북한의 도시화
7.북한 주요도시 ㆍ 지역현황
8.요약
*참고문헌
본문내용
면적 746㎢, 인구 약 16만 8000명(1991 추정)이다.
*동쪽은 두만강을 경계로 중국·러시아연방 및 동해와 접하고, 서쪽은 은덕군·회령 시·청진시, 동남쪽은 동해, 북쪽은 은덕군과 접한다.
*북한이 1991년 12월 자유경제무역지대로 지정한 경제특구로서 북한의 다른
지역과는 전기 철조망으로 격리되어 있다. 또한 북한에서 유일하게 사증 없이
입국할 수 있는 곳이기도 하다.
4)개성시
*면적 1,308.6㎢, 인구 381,774 추정(1991).
*농업 생산에 유리한 지형·기후·토양 등의 자연조건을 갖추고 있다
*고려자기를 비롯한 수공업과 상업의 중심지였으며, 분단 이후 방직공업을 중심으로 한 식료품·일용잡화·인삼가공업 등이 발달하였다.
5)기타 주요도시의 특징
청 진ㅡ청진북도의 중심도시, 주요산업은 어업이다.
함 흥ㅡ평안남도의 중심도시, 냉면이 유명.
혜 산ㅡ양강도의 중심도시.
강 계ㅡ자강도의 중심도시.
신의주ㅡ평북의 중심도시, 중국으로 이어지는 다리가 있다.
송 림ㅡ공업도시.
사리원ㅡ황해북도의 중심도시.
해 주ㅡ황해남도의 중심도시.
8.요약
1)국토분단 이후 서해안과 동해안선으로 분리된 해안선 지향적 개발패턴 발생.
2)6ㆍ25 이후 공간구조상의 심각한 비능률성과 전반적인 저개발 상태를 나타냄.
3)자족적 형태의 지역단위로 전국적인 도로, 항만, 항로의 개발 취약.
4)남북과의 관계개선과 사회주의 체계에서의 한계로 도시의 변화가 나타남.
*참고문헌) 장성수 윤혜정, “北韓의 都市 및 地域現況에 關한 小考統一에 對備한
豫備的 考察”, 주택, 대한주택공사, 1992, pp.97-119
*동쪽은 두만강을 경계로 중국·러시아연방 및 동해와 접하고, 서쪽은 은덕군·회령 시·청진시, 동남쪽은 동해, 북쪽은 은덕군과 접한다.
*북한이 1991년 12월 자유경제무역지대로 지정한 경제특구로서 북한의 다른
지역과는 전기 철조망으로 격리되어 있다. 또한 북한에서 유일하게 사증 없이
입국할 수 있는 곳이기도 하다.
4)개성시
*면적 1,308.6㎢, 인구 381,774 추정(1991).
*농업 생산에 유리한 지형·기후·토양 등의 자연조건을 갖추고 있다
*고려자기를 비롯한 수공업과 상업의 중심지였으며, 분단 이후 방직공업을 중심으로 한 식료품·일용잡화·인삼가공업 등이 발달하였다.
5)기타 주요도시의 특징
청 진ㅡ청진북도의 중심도시, 주요산업은 어업이다.
함 흥ㅡ평안남도의 중심도시, 냉면이 유명.
혜 산ㅡ양강도의 중심도시.
강 계ㅡ자강도의 중심도시.
신의주ㅡ평북의 중심도시, 중국으로 이어지는 다리가 있다.
송 림ㅡ공업도시.
사리원ㅡ황해북도의 중심도시.
해 주ㅡ황해남도의 중심도시.
8.요약
1)국토분단 이후 서해안과 동해안선으로 분리된 해안선 지향적 개발패턴 발생.
2)6ㆍ25 이후 공간구조상의 심각한 비능률성과 전반적인 저개발 상태를 나타냄.
3)자족적 형태의 지역단위로 전국적인 도로, 항만, 항로의 개발 취약.
4)남북과의 관계개선과 사회주의 체계에서의 한계로 도시의 변화가 나타남.
*참고문헌) 장성수 윤혜정, “北韓의 都市 및 地域現況에 關한 小考統一에 對備한
豫備的 考察”, 주택, 대한주택공사, 1992, pp.97-119
키워드
추천자료
북한이탈주민의 문제점과 서비스개입방안
북한과 한국 사회의 직업에 대한 보고서
북한의 IT산업과 남북 IT경협의 현황 및 문제점
북한의 핵문제와 한반도 평화
북한종교의 특징과 사례분석
북한의 이해
북한 핵 위기의 본질과 전개 그리고 전망
북한의 군사력과 군사전략에 관해 논하시오jo.
북한이탈주민의 보호 및 사회적응에 관한 법률에 관한 분석(페이비언 사회주의 입장에서)
북한연구의 방법과 과제에 관한 연구
북한의 과학과 생명과학의 특징, 연구실적, 기술교류, 정의, 역할, 유래, 특징, 현황, 관리, ...
북한의 입법기관, 최고인민회의, 구성, 권한, 대의원의 지위와 역할, 정기회, 임시회, 관련 ...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