언론인의 자율규제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언론인의 자율규제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자율규제의 개념과 필요성
2. 자율규제와 전문화
1) 전문직의 개념
2) 전문화의 특성과 선행요건

본문내용

. 여기서 중요한 개념은 봉사정신이다. 봉사정신이란 자신을 위하는 태도가 아니고 항상 남을 위하는 이타정신을 의미한다.
따라서 봉사청신의 유무는 전문직과 기능직을 구별하는데 중요한 척도가 된다. 봉사정신이 있으면 전문직이 되고 봉사정신이 없으면 기능직이라고 말해도 무방하다. 봉사정신은 전문직 여부를 결정하는 중요한 선행요건이 된다는 뜻이다.
전문인으로서 의사는 자신의 부귀영화를 위해서 일한다기보다는 고통 받는 환자의 건강과 생명을 위해서 봉사하는 것이다. 전문직으로서 의사직은 권력과 부를 얻기 위한 직업이라기보다는 사회봉사를 위해서 존재하는 직업이란 뜻이다.
여섯 번째 특성은 자율성이다. 이 경우, 자율성이란 3가지 의미를 가진다. 첫 번째 의미는 타인으로부터 규정이나 구속, 강제나 지매를 받지 않고 스스로 보편적 도덕법을 세워 이에 따르는 자유상태를 말하고, 두 번째 의미는 타인에 의해서 고용되지 않고 자기가 자신을 고용하는 자기고용상태를 말하고, 세 번째 의미는 자신의 사고와 행동의 주체가 자신이 되는 자주상태를 말한다.
따라서 자율성은 전문직과 기능직을 구별하는 중요한 척도가 된다. 바꾸어 말하면, 자율성이 있으면 전문직이고, 자율성이 없으면 기능직이 된다는 뜻이다. 전문인으로서 의사는 자신이 만든 도덕법을 자율적으로 따르고, 일반적으로 자기고용상태를 유지하며, 자신의 사고와 행동을 자주적으로 결정하는 직업인이라 말할 수 있다.
마지막 특성은 독립성이다. 이 경우, 독립성이란 경제적인 차원에서의 자립성을 의미한다. 전문직은 그것이 차지하는 사회적 위상과 공적 기능 때문에 일상생활과 업무수행에 상응하는 경제적 보상을 받을 수 있도록 제도화되어 있다. 따라서 전문직은 일반적으로 경제적 어려움으로부터 비교적 해방된 직업이라 하겠다.
이러한 이유 때문에, 독립성은 전문직과 기능직을 구별하는 중요한 척도로서 작용한다. 독립성이 보장되면 전문직이 되고, 독립성이 보장되지 않으면 기능직이라고 규정해도 무방하다 하겠다.
이들 7가지 특성 가운데 장기간의 체계적인 교육과 훈련과정, 이론에 기초한 지식과 기술의 활용, 윤리규제의 제도화는 제도적 차원의 특성이고, 사회적 책임의식, 봉사정신, 자율성, 독립성은 태도적 차원의 특성이라 하겠다.
인간사회의 모든 질서가 그러하듯이 제도적 특성과 태도적 특성은 상호보완적 관계를 유지하면서 상호작용한다. 따라서 그들 간에 우열을 논의하는 것은 아무런 의미가 없다고 말할 수 있다.

추천자료

  • 가격1,0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15.06.03
  • 저작시기2015.6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97141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