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AL-MART [월마트 소개]
본 자료는 5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해당 자료는 5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5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WAL-MART [월마트 소개]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머리말․․․․․․․․․․․․․․․․․․․․․․․․․․․․․․․․․․․․․․․․․․․․․․․․․․․․․․․․․․․․․․․․․․․․․․․․․․․․․․․․․․․․
Ⅱ. 본론
1. 월마트소개․․․․․․․․․․․․․․․․․․․․․․․․․․․․․․․․․․․․․․․․․․․․․․․․․․․․․․․․․․․․․․․․․․․․․․․․․․․․․․
(1) 설립배경
(2) 경영이념
(3) 기업문화
(4) 기업연혁
2. SWOT 분석․․․․․․․․․․․․․․․․․․․․․․․․․․․․․․․․․․․․․․․․․․․․․․․․․․․․․․․․․․․․․․․․․․․․․․․․․․․
3. STP 분석․․․․․․․․․․․․․․․․․․․․․․․․․․․․․․․․․․․․․․․․․․․․․․․․․․․․․․․․․․․․․․․․․․․․․․․․․․․․․․․․
4. 4P 전략․․․․․․․․․․․․․․․․․․․․․․․․․․․․․․․․․․․․․․․․․․․․․․․․․․․․․․․․․․․․․․․․․․․․․․․․․․․․․․․․․․․․
5. 월마트와 K마트의 전략 비교․․․․․․․․․․․․․․․․․․․․․․․․․․․․․․․․․․․․․․․․
6. 월마트의 한국 시장진출과 실패요인․․․․․․․․․․․․․․․․․․․․․․․․․
Ⅲ. 맺음말․․․․․․․․․․․․․․․․․․․․․․․․․․․․․․․․․․․․․․․․․․․․․․․․․․․․․․․․․․․․․․․․․․․․․․․

본문내용

러한 장점들을 가지고 월마트는 한국에서 첫째, 할인업체가 집중되어있는 지역으로의 출점을 통한 공격적 경영, 둘째, 미끼 상품을 이용한 최저가 이미지 구축, 셋째, 자금력에 기초한 전국적 다점포화 및 매입체제의 조기구축, 넷째, 효율적 관리 시스템을 이용한 LCD(Low Cost Operation)의 구축, 다섯째, 정보시스템의 활용에 근거한 제반 협력의 구축을 진입전략으로 사용했다. 또한 이외에 회원제, 외곽지대에 체인화, PB상품의 중점개발, 합작투자 등의 전략을 사용하려했다.
③ 월마트의 운영형태
월마트의 주요 점포 운영형태는 월마트 디스카운트 스토어(Discount Stores) 와 수퍼센터(Supercenter), 샘스크럽(Sam's Club) 등의 3가지로 분류 될 수 있는데, 월마트는 한국에서의 운영형태를 수퍼센터의 컨셉으로 결정했고 1999년 3월 1일부터 4개의 모든 점포를 수퍼센터로 전환하겠다고 선언했는데 이러한 결정은 식품 쪽을 강화한 국내 대부분의 유통업체들과 직접적인 경쟁을 선언했던 것이다.
(2) 한국에서의 사업이 부진한 이유
시장 관계자들은 이 같은 월마트의 부진을 세 가지 관점에서 지적하고 있다.
첫째, 경쟁사들이 "한국형 할인점"을 컨셉으로 내걸고 백화점 수준의 깨끗하고 쾌적한 쇼핑 공간과 질 높은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는데 반해 월마트는 미국식 "창고 형 할인점"을 고집해 소비자들로부터 외면 받고 있다는 점이다.
둘째, 공산품 판매에 주력함으로써 할인점에서 신선식품을 많이 찾는 한국 고객의 수요를 충족시키지 못하고 있다는 점도 지적된다. 월마트는 개점 초기 식품매장을 아예 만들지 않았으나 지난해 중반부터 매장에 식품매장을 설치하기 시작했다.
셋째, 아직은 현지화에 적응이 덜 됐다는 얘기가 많다. 상품 기획이나 구매, 매장관리 등 대부분의 핵심 부문을 외국인이 장악해 시장 상황을 잘 아는 내국인의 의견이 제대로 수용되지 않을 뿐 아니라 소비자의 요구도 바로 반영되지 않고 있다고 업계 관계자들은 말한다. 내국인 직원의 이직이 많은 것도 이런 이유 때문이라는 것이다. 결국 "한국시장과 한국 소비자의 특성"을 도외시함으로써 막강한 바잉파워를 제대로 살리지 못하고 부진에 빠져 있다는 얘기다.
또한 전문가들은 월마트의 실패원인으로 한국 소비자들의 '독특한 취향'을 꼽고 있다. 신영증권의 엄동원 유통업종 애널리스트는 '외국계 할인점들은 최소한의 직원과 서비스로 비용을 줄이고, 대신 많은 물건을 싼 가격에만 공급하면 잘 팔릴 것으로 판단했다'며 '그러나 한국 소비자들은 할인점에서도 백화점 수준의 친절한 서비스를 원한다는 점을 간과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3)월마트와 이마트의 마케팅전략 비교
월마트
이마트
1. 표적시장의 선정과
포지셔닝 전략
이마트와 운영 컨셉, 점포별 포지셔닝전략 비슷(약간의 차이존재-일산점:3살 이하 어린이 출입 금지)
표적시장이 불특정 다수의 고객
2. 가격 전략
-Image build정책
-Best five item 최저가가격정책
-End cap price정책
ELP전략 표방
3 경영촉진 전략
-시음, 시식행사
-사은품 증정행사
-가격할인행사
-빅 볼륨 디스플레이에 의한 행사
가격 행사, 사은품 행사,
시음행사
판매 촉진 방식- 특정점포 개점 기념일을 축하하는 가격행사
④ 비용 운영전략
ⓐ 점포입지개발 및 선정
ⓑ 물류 전략
ⓒ 매장 운영
ⓐ 토지 가격이 저렴한 지역을 선호
ⓑ 공급업체의 점포 직납체계를 갖 추고 운영함
ⓒ 각 점포 내에 로스방지부서(Loss prevention department :매장의 제품에만 관련된 것이 아니라 점포 내의 인사 비리관리, 시설물, 운영 시스템 등 모든 대상이 포함됨)를 운영, 직원은 중앙 본사에서 파견됨
ⓐ 지가가 높은 주요 상권에 포진
ⓑ 물류센터를 가지고 있음
ⓒ 전산시스템을 이용하여 재고량 및 판매액 추이를 파악함 (제조업체와 연결된 컴퓨터로 자동 발주하는 EDI 시스템을 갖추고, 상품 발주에서 입점 보관판매에 이르는 전 과정을 자동으로 관리 함)
Ⅲ. 맺음말
소규모 도시에서부터 시작된 월마트는 상시 정가 정책과 롤백(예전의 가격 유지)정책을 핵심으로 모든 사람들을 존중하고 고객에게 봉사하며 매장의 운영을 끈임 없이 개선했던 경영이념은 모든 기업에 좋은 본보기가 된다. 또한 사원들에게 회사 주식을 제공하고 매장매니저와 판매원들이 적극적으로 일에 집중하도록 노력했다. 다만 한국에서처럼 ‘할인점 기본 공식’에 너무 집착한 나머지 현지 적응에 실패한 사례와 같은 시행착오를 겪지 않기 위해서는 각국에 맞는 현지전략을 세워 차별화된 마케팅, 경영전략을 행하여야 한다.
다음은 월마트가 보충해 나가야할 점들을 정리해 보았다.
첫째, 체인 운영에 대한 노하우 습득이다. 박리다매(薄利多賣)를 기본으로 하는 할인점은 다수 점포 출점을 통한 구매력의 증진을 통해 1차적으로 가격 경쟁력을 갖출 수 있다. 이때 다 점포에 따른 운영이 부실하게 되면 그 본래 목적이 유명무실해지고 만다. 따라서 다 점포 운영에 따른 체인 운영 관리 방법에 대한 노하우를 획득해야 할 것이다.
둘째, 업태 특정상 인적인 서비스가 생략될 수밖에 없으나 편리한 쇼핑 공간 제공, 다양한 구색 갖추기, 계산대기시간의 단축 등 제반 고객을 위한 시스템의 개선 및 향상을 통해 서비스를 제공해야 한다.
마지막으로 현지사정을 잘 알고 있는 현지인의 고용을 확장시켜야겠다. 그 나라를 가장 잘 이해하고, 제대로 알고 있는 그 나라 국민을 많이 채용해 현지화 전략을 제대로 세울 수 있어야 한다.
이처럼 한국시장에서 실패한 이유를 보완한다면 월마트는 더욱 성공적인 글로벌기업이 될 것이다.
Ⅳ. 참고문헌
-장세진, 글로벌 경쟁시대의 경영전략, 2005
-로버트 슬레이터, 월마트 슈퍼마켓 하나로 세계를 지배하기까지, 해냄출판사, 2003, pp68~76
-월마트 보고서, http://nongae.gsnu.ac.kr/
-대한상공회의소 선정 98년 유통업계10대 뉴스, http://www.mlmkorea.co.kr/h/top/nn6
-서울 경제 신문, 2007년 10월 22일자, http://www.walmartstores.com
  • 가격2,000
  • 페이지수16페이지
  • 등록일2014.12.05
  • 저작시기2014.1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97245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