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천신학
본 자료는 7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해당 자료는 7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7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실천신학 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없음

본문내용

면서 지루하지 않음
여러분의 생각에 실제 목회의 현장에서 필요로 하는 것은 주제설교라고 생각하는가? 아님 강해설교라 생각 하는가?
Ⅳ. 결론
설교학에서 다루어지는 것이 원론적(근본적 이론)인 수준에 머무는 것이 많아 목회자들의 실제 설교준비에 큰 도움을 주지 못하고 있다. 특히 주제설교와 본문 설교 사이에서 방황하는 많은 설교자들이 있다. 강해설교와 주제설교는 상이한 설교라고 할 수 있다. 강해 설교는 어떤 본문을 선정하여 주제와 대지를 본문에 맞게 설정하고 그 중심내용을 성경 본문으로부터 전개하고 시도하는 방법이다. 반면 주제설교는 현실이 기술되고 그로부터 제기되는 질문을 신앙 문제로 인식하면서 문제에 대한 해결방법으로 하나님의 행위 혹은 하나님의 약속을 선포의 형식으로 설교한 것이다. 강해 설교와 주제 설교를 비교해보자면 강해설교는 설교자에게 권위와 능력을 부여해주며, 설교자로 하여금 성경 전체를 설교하게 한다. 그렇기 때문에 풍부한 설교 자료가 준비되어있다. 이에 반면 주제설교는 창조력이 있으며, 인간의 사고 형태에서 출발한 것이기 때문에 논리적이다. 또한 설교의 결론에 확신을 주므로 청중의 생활 적용에 변화를 준다. 하지만 두 설교의 장점만 있는 것은 아니다. 강해설교의 단점은 강해설교에서는 주로 본문의 의미에만 집중함으로써 성도들의 실존적인 삶이 깊이 있게 고려되거나 반영되지 못하게 된다. 또한 어렵고, 지루함을 느낀다. 주제설교의 단점이라고 할 수 있는 것은 본문을 경시할 수 있고, 설교자의 지나친 주관주의로 전락 될 수 있다. 또한 인간적인 말이 주가 되고 성경은 그것을 뒷받침하기 위하여 인용되기 싶다.
저희가 조사한 바로는 대부분의 설교자들이 이 두 가지의 방법을 다 사용하여 설교를 하고 있으며, 특별히 어느 부분에만 치우쳐 설교하는 설교자는 없었다.
앞으로 설교학이 나아가야 할 방향으로 또 한편의 원론이 제기되고 기존의 설교학적인 입장과는 다소 다른 것이 제시되어야 한다. 그러므로 설교준비에 있어서 실제적인 도움을 줄 수 있도록 심혈을 기울인 것이 ‘현실로부터 본문을 향해 나아가는 설교’ 혹은 ‘제3의 설교론’ 이 있다. 이것은 모두를 품을 수 있는 설교론을 지향한 것이다. ‘제3의 설교론’의 핵심은 설교란 궁극적으로 하나님의 나타나심 및 그의 말씀과 상관하고 있기 때문에 설교는 그것을 인식하는 형태나 표현에 있어서 다양할 수밖에 없다는 것이다. 하나님의 자유로운 행위, 바로 이 하나님의 행위에 부합되는 설교에 대해 구상하기를 원한다. 새로운 시각을 여는 창의적인 예술가들의 삶이 교회 안에서 수렴되고 또한 무식한 사람들, 한 맺힌 여인네들, 정치에 식상한 사람들, 젊은 세대들로부터 철저하게 배제된 노년층들의 현실, 그리고 그들 모두의 삶과 이야기가 설교에서 다시 들려져야할 이유가 있을 뿐만 아니라 그들이 이해할 수 있는 방식이 설교에서 사용되어져야 함을 말하고자 한다. 특히 한국 설교학에서 교과서적인 의미를 갖는 선포-해석-적용이라는 구조는 청중들로 하여금 성경본문을 이해시키고 또 그것을 삶에 구체적으로 적용하게 하는데 큰 도움을 주었지만 유감스럽게도 연역적인 구조로 이루어져 설교자와 청중들 사이를 멀어지게 하는 원인이 되었다. 설교자와 청중이 좀 더 가까워지고 청중이나 설교자 모두가 함께 하나님 앞에서 서서 하나님의 말씀을 들을 수 있는 설교가 될 수 있는 구조가 바로 귀납적 설교의 형태를 갖는 '현실로부터 본문을 향해 나아가는 설교' 인 것이다. 이 설교론에 기초를 이루고 있는 점은 설교는 성령의 자유로운 역사에 부합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그래서 하나님에 대한 인식 및 표현방법은 단순히 개념적인 이해에만 제한되지 않는다는 것이다. 설교자들은 청중들의 삶 곧 현실로부터 하나님을 발견할 수 있어야 하고 그것을 청중들에게 알려야할 과제를 갖는다. 그동안 자신의 이해 및 표현방식에 대해 이단시여기는 편협한 신학사조에 매여 하나님의 나타나심을 자유롭게 표현해내지 못했던 많은 목회자들의 고충이 해결되어야 한다. 청중들에게 공명(남의 사상이나 의견에 동감)과 공감을 주는 설교가 청중들이 하나님을 바로 알게 되고 삶의 변화를 유발시킬 수 있는 용기를 주는 것이다. 설교자의 자유스런 사고는 독자나 청중들의 자유로운 사고를 열어준다. 설교자들의 막힘없는 표현방식은 청중들의 해방된 신앙적 경험을 가능하게 해준다. 그러기 위해서 설교자들은 먼저 청중들을 늘 염두에 두고 그들의 생각과 삶이 설교 안에서 수렴될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할 것이다. 청중들이 주의를 기울여 듣게 되고 설교자의 거침없는 하나님 인식과 표현방식에 주목할 때, 설교는 당연히 청중들의 공명과 공감을 불러일으킬 것이다. 모든 설교자가 꿈꾸는 효과적인 설교가 공동체 안과 밖에서 그 현실을 보게 된다. 하나님의 임재의 경험이 공동체 안에서뿐만 아니라 공동체 밖인 개인적인 삶의 영역 속에서도 충분히 가능하게 될 것이다.
참고 문헌
설교의 구성론 - H.C. Brown 저. <양서각>
교회성장과 설교 방법론 - 김창규 저. <쿰란 출판사>
현대 설교학 - 이주영 저. <성광문화사>
성서적 설교 자료 도서관 - Lloyd Merle Perry 저. <요단 출판사>
개혁주의 설교학 - 정성구 저. <총신대학 출판부>
34가지 방법으로 설교에 도전하라 - Ronald Allen 편집 <예배와 설교 아카데미>
제 3의 설교롬 - 최성수 저 <씨엠>
21세기를 운전하는 설교자 - 변대원 저 <엘멘>
강해설교 - 해돈 로빈슨 저 <기독교 문서 선교회>
성경과 설교 - 김지철 외 11명 <한국 성서학 연구소>
설교사역론 - 정장복 저 <대한 기독교 서회>
국민일보 2005-01-31
인터넷
http://moon.chonan.ac.kr/~kjkim/html/7-3.htm
http://russia.kcm.co.kr/ser/ser001.html
http://david.gamly.net/sermon/001.htm
http://arche.or.kr/bbs/view.php?id=theo4&page=1&sn1=&divpage=1&sn=off&ss=on&sc=on&select_arrange=headnum&desc=asc&no=19
  • 가격2,400
  • 페이지수21페이지
  • 등록일2015.01.08
  • 저작시기2015.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97253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