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교호(향보享保)개혁
2.칸세이(관정寬政)개혁
3.텐보(천보天保)개혁
2.칸세이(관정寬政)개혁
3.텐보(천보天保)개혁
본문내용
고 물가가 계속 인 상되자 막부는 물가의 등귀가 상인들의 중간이익 갈취에서 온 것이라 생각한 것이다. 동 업조합의 해산은 막부에게 재정적 손실을 주었으나 동업조합을 해산함으로써 제물가를 인 하하고 농민과 도시민의 생계를 안정시키고자 하였다.
⑤1840년 막부는 사가미의 해안방비를 맡고 있던 가와고에(川越)번의 재정을 원조하기 위해 가와고에. 쇼나이. 나가오카 3번의 영지를 서로 바꾸도록 명했다. 그러나 이 명은 영민의 집요한 반대로 철회하게 되었다. 이러한 상황에서 다다쿠니는 궁핍한 재정의 재정뿐만 아 니라 막부 권력의 강화를 위해 조치(上知)령을 내렸다. 이는 정치, 경제의 중심지인 에 도. 오사카의 주위의 50만 석에 이르는 영지와 먼 지역의 막부영지를 교환하고자 한 것이 다. 이는 분산적인 막령(幕領)을 집중화하려는 정책이었다. 막부체제 성립당시 정치, 경 제, 군사상의 필요에 의하여 분산시켰던 막령을 집중시킨다는 것은 본래적 의미의 막번 체제가 변화한다는 것을 의미하며 상황이 막령을 집중시키지 않고서는 봉건적 위기를 해 결하기 힘들었다는 것을 말해준다. 그러나 이 명령 역시 각 다이묘와 영민 들의 반대로 실시하지 못했다.
●결과
텐보 개혁 역시 막부기구와 부패와 유연성의 결여, 막령의 전국적 산재로 농민장악이 철저하지 못했던 점등으로 실패하였다. 복고주의적인 개혁이 자체의 한계로 인해 실패함과 동시에 막부 권력이 퇴조하고 있다는 것을 뚜렷이 내외에 각인되게 하였다.
●막번체제의 동요
19세기에 들어오면서 직물업을 중심으로 농촌의‘돈야제 가내공업’이 더욱 발달하여 일부의 지주와 돈야 상인이 가내공장을 설치하여 농촌에서 이탈한 노동력을 모아 수공업적 생산을 하는‘공장제 수공업’이 출현하기 시작한다. 이 순간부터 자본주의의 싹이 트기 시작한 것이다. 텐보개혁의 실패는 봉건적 위기에의 대처에 대한 실패뿐만 아니라 막번 체제 전체의 모순점을 노출 시켰다. 조치령의 실패로 영지의 가감과 이전은 쇼군의 절대적인 권한이라는 막번체제의 기본적인 원칙 또한 붕괴되었다. 막부의 이러한 지배력 약화는 막부체제 질서의 와해를 가져오게 되었다. 각 번에서는 하층무사들 중에서도 유능한 인재를 등용하여 재정의 재건을 도모하고자 한 ‘번정개혁’이 곳곳에서 행해졌다. 개혁에 성공한 번들은 번의 재건에 성공하여 축적된 실력을 바탕으로, 막말 정국에 등장하여 강한 발언력을 갖게 되고 그 중의 일부는 메이지 유신의 주역들이 된다.
⑤1840년 막부는 사가미의 해안방비를 맡고 있던 가와고에(川越)번의 재정을 원조하기 위해 가와고에. 쇼나이. 나가오카 3번의 영지를 서로 바꾸도록 명했다. 그러나 이 명은 영민의 집요한 반대로 철회하게 되었다. 이러한 상황에서 다다쿠니는 궁핍한 재정의 재정뿐만 아 니라 막부 권력의 강화를 위해 조치(上知)령을 내렸다. 이는 정치, 경제의 중심지인 에 도. 오사카의 주위의 50만 석에 이르는 영지와 먼 지역의 막부영지를 교환하고자 한 것이 다. 이는 분산적인 막령(幕領)을 집중화하려는 정책이었다. 막부체제 성립당시 정치, 경 제, 군사상의 필요에 의하여 분산시켰던 막령을 집중시킨다는 것은 본래적 의미의 막번 체제가 변화한다는 것을 의미하며 상황이 막령을 집중시키지 않고서는 봉건적 위기를 해 결하기 힘들었다는 것을 말해준다. 그러나 이 명령 역시 각 다이묘와 영민 들의 반대로 실시하지 못했다.
●결과
텐보 개혁 역시 막부기구와 부패와 유연성의 결여, 막령의 전국적 산재로 농민장악이 철저하지 못했던 점등으로 실패하였다. 복고주의적인 개혁이 자체의 한계로 인해 실패함과 동시에 막부 권력이 퇴조하고 있다는 것을 뚜렷이 내외에 각인되게 하였다.
●막번체제의 동요
19세기에 들어오면서 직물업을 중심으로 농촌의‘돈야제 가내공업’이 더욱 발달하여 일부의 지주와 돈야 상인이 가내공장을 설치하여 농촌에서 이탈한 노동력을 모아 수공업적 생산을 하는‘공장제 수공업’이 출현하기 시작한다. 이 순간부터 자본주의의 싹이 트기 시작한 것이다. 텐보개혁의 실패는 봉건적 위기에의 대처에 대한 실패뿐만 아니라 막번 체제 전체의 모순점을 노출 시켰다. 조치령의 실패로 영지의 가감과 이전은 쇼군의 절대적인 권한이라는 막번체제의 기본적인 원칙 또한 붕괴되었다. 막부의 이러한 지배력 약화는 막부체제 질서의 와해를 가져오게 되었다. 각 번에서는 하층무사들 중에서도 유능한 인재를 등용하여 재정의 재건을 도모하고자 한 ‘번정개혁’이 곳곳에서 행해졌다. 개혁에 성공한 번들은 번의 재건에 성공하여 축적된 실력을 바탕으로, 막말 정국에 등장하여 강한 발언력을 갖게 되고 그 중의 일부는 메이지 유신의 주역들이 된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