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목적
2. 이론
3. 실험 장치
4. 실험 방법
5. 주의 사항
2. 이론
3. 실험 장치
4. 실험 방법
5. 주의 사항
본문내용
고 기준자가 잘 보이면 화면을 캡처한다.
3) 화면을 캡처하여 저장할 디렉토리와 파일명을 선택한다.
4) 화면캡처 시작버튼을 누른다.
5) 1~2초간 화면을 캡처하고 캡처 종료버튼을 누른다.
6) 파일 메뉴에서 좌표계설정 메뉴를 선택 클릭하고, 이 저장된 파일을 불러온다.
7) 그림과 같은 화면에서 위치 지정방식을 선택한다. 시작점 버튼을 클릭한 후 기준자의 한쪽 끝을 선택하고, 마지막점 버튼을 클릭한 후, 남은 한쪽 끝을 클릭한다. (기준자 끝 주황색 부분의 한가운데를 클릭한다)
8) 기준자의 길이 50cm를 입력하고 다음 버튼을 클릭한다.
9) 다음 버튼을 클릭하면 좌표계의 원점을 잡는 화면으로 넘어가는데 화면상의 한점을 클릭하고 확인을 클릭하면 좌표계 설정이 끝이 난다.
1) 메뉴에서 카메라 분석 - 화면캡처를 클릭한다.
2) ‘...’버튼을 눌러 파일 이름과 저장 경로를 지정하고, 저장을 클릭한다.
3) ‘캡처시작‘을 클릭하고, 발사장치의 스위치를 눌러 공을 떨어뜨린다.
4) ‘캡처 끝’을 클릭하고, 파일을 저장한다.
5) 카메라 분석 - 분석 메뉴로 들어가서 방금 촬영한 영상을 불러온다.
6) 분석을 시작할 프레임(공이 떨어지기 시작할 때)을 선택 다음클릭, 분석을 종료할 프레임 선택 다음 클릭
7) 화면의 피사체를 클릭해서 선택하고 캡쳐모드는 일반분석으로, 피사체의 개수를 2개로 설정한 후 다음-분석시작을 클릭. (피사체를 인식할 수 없다는 오류 메시지가 뜨면 직접 피사체를 선택해준다.)
8) 분석이 완료되면, 그래프 보기를 통해 T-X 그래프 1차함수를 선택, 그래프가 1차함수로 주어지는지 확인하여 등속운동임을 보고, 기울기를 통해 속도를 구한다.
9) 또한, 그래프 보기를 통해 T-Y 그래프 2차함수를 선택, 그래프가 2차함수로 주어지는지 확인하고 기울기를 통해 중력가속도를 구한다. 실험체가 수직에서 벗어난 경우는 Y축보정을 통하여 중력가속도를 구한다.
10) 동일 실험을 3회 반복한다.
11) 높이를 바꾸어 실험해 본다.
5. 주의 사항
1) 공을 분실하지 않도록 주의한다.
2) 촬영 때 공의 잔상이 남을 경우 셔터 스피드를 더 높여준다.
3)최대한 피사체 가까이에서 촬영하고 카메라와 두 피사체의 거리가 일치하도록 카메라 설치에 유의한다.
4) 색구를 장치에 올려놓을시 되도록 장치의 가장자리에 위치할 수 있게 하여 오차를 줄일 수 있도록 한다.
3) 화면을 캡처하여 저장할 디렉토리와 파일명을 선택한다.
4) 화면캡처 시작버튼을 누른다.
5) 1~2초간 화면을 캡처하고 캡처 종료버튼을 누른다.
6) 파일 메뉴에서 좌표계설정 메뉴를 선택 클릭하고, 이 저장된 파일을 불러온다.
7) 그림과 같은 화면에서 위치 지정방식을 선택한다. 시작점 버튼을 클릭한 후 기준자의 한쪽 끝을 선택하고, 마지막점 버튼을 클릭한 후, 남은 한쪽 끝을 클릭한다. (기준자 끝 주황색 부분의 한가운데를 클릭한다)
8) 기준자의 길이 50cm를 입력하고 다음 버튼을 클릭한다.
9) 다음 버튼을 클릭하면 좌표계의 원점을 잡는 화면으로 넘어가는데 화면상의 한점을 클릭하고 확인을 클릭하면 좌표계 설정이 끝이 난다.
1) 메뉴에서 카메라 분석 - 화면캡처를 클릭한다.
2) ‘...’버튼을 눌러 파일 이름과 저장 경로를 지정하고, 저장을 클릭한다.
3) ‘캡처시작‘을 클릭하고, 발사장치의 스위치를 눌러 공을 떨어뜨린다.
4) ‘캡처 끝’을 클릭하고, 파일을 저장한다.
5) 카메라 분석 - 분석 메뉴로 들어가서 방금 촬영한 영상을 불러온다.
6) 분석을 시작할 프레임(공이 떨어지기 시작할 때)을 선택 다음클릭, 분석을 종료할 프레임 선택 다음 클릭
7) 화면의 피사체를 클릭해서 선택하고 캡쳐모드는 일반분석으로, 피사체의 개수를 2개로 설정한 후 다음-분석시작을 클릭. (피사체를 인식할 수 없다는 오류 메시지가 뜨면 직접 피사체를 선택해준다.)
8) 분석이 완료되면, 그래프 보기를 통해 T-X 그래프 1차함수를 선택, 그래프가 1차함수로 주어지는지 확인하여 등속운동임을 보고, 기울기를 통해 속도를 구한다.
9) 또한, 그래프 보기를 통해 T-Y 그래프 2차함수를 선택, 그래프가 2차함수로 주어지는지 확인하고 기울기를 통해 중력가속도를 구한다. 실험체가 수직에서 벗어난 경우는 Y축보정을 통하여 중력가속도를 구한다.
10) 동일 실험을 3회 반복한다.
11) 높이를 바꾸어 실험해 본다.
5. 주의 사항
1) 공을 분실하지 않도록 주의한다.
2) 촬영 때 공의 잔상이 남을 경우 셔터 스피드를 더 높여준다.
3)최대한 피사체 가까이에서 촬영하고 카메라와 두 피사체의 거리가 일치하도록 카메라 설치에 유의한다.
4) 색구를 장치에 올려놓을시 되도록 장치의 가장자리에 위치할 수 있게 하여 오차를 줄일 수 있도록 한다.
추천자료
일반물리학실험 레포트- 각운동량
[일반물리학실험] 등속원운동과 구심력 실험 예비레포트
대학물리실험 예비실험보고서 - 선운동량
[기계 공학 응용 실험] 7. 기계시스템 운동의 가시화 (A+자료)
(결과보고서) 실험3 변위 속도 가속도 및 포물체 운동
[물리실험] 1-4. 관성모멘트와 각운동량 보존
일반물리실험 2차원 운동
물리실험보고서 - 운동량 보존
[액체, 비등점, 상호용해도, 표면장력실험, 혼합물분리실험, 부체운동, 침강법]액체의 비등점...
[실험] 운동량 보존 - 운동하는 두 물체가 충돌 전후로 전체 선운동량이 보존됨을 확인한다.
10장 컴퓨터 모의실험 (단조화운동) - 여러 가지 형태의 진동현상을 컴퓨터를 이용한 모의실...
[일반물리실험] (결과보고서) 관성 모멘트 측정 : 원반과 링의 회전운동을 통하여 각각의 관...
일반 물리 실험 2차원 탄성 충돌 실험 (선운동량 보존) 결과보고서
[일반물리학 실험] 원운동과 구심력 : 원운동을 하는 물체의 질량, 운동 반지름, 그리고 구심...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