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가우수자료★[사회복지실천기술론] 집단상담 영상 분석 - 영상분석 단계, 영상분석 작업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평가우수자료★[사회복지실천기술론] 집단상담 영상 분석 - 영상분석 단계, 영상분석 작업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0. 도입단계(Introduction)

1. 초기단계(Initial Stage)

2. 과도기 단계(transitional stage)

3. 작업단계(Working stage)

본문내용

해 케시와 집단 성원들이 모두 웃음을 터트려 긴장완화가 되었다. 수잔에게 하고 싶었던 말을 털어놓은 뒤 약간 진정이 된 케시에게 제리는 ‘이제 말하고 나니 어때요?’하고 케시의 감정 변화에 대해 표현하도록 원조한다. 매리앤은 자신의 친구 중에도 게이 부부가 있다는 이야기로 케시가 생각하는 문제의 보편성을 심어주어 케시가 위로를 얻을 수 있게 지지하고 격려한다. 그리고 그들을 보면 가슴이 아프다며 자기표출을 한다. 이러한 표현기술은 성원이 더욱 자신의 감정이나 문제에 대해 자유롭게 표현할 수 있는데 도움이 된다.
매리앤은 케시의 문제를 보다 적절히 다루기 위해 역할연습의 일종인 자신의 경험을 바탕으로 자신의 실제 역할을 주역이 되어 수행하는 자기역할극을 제안한다. 여기서 지도자는 문제해결에 필요한 새로운 정보를 제공하고 새로운 행동을 보여주거나 행동모델이 되며 역할연습을 제시하는 교육자의 역할을 수행한다. 역할연습은 케시와 엄마와의 갈등을 어떻게 해쳐 나갈지 해답을 찾는 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되므로 시행하는 기술이다. 케시는 먼저 베트남어로 엄마에게 그 동안 하고 싶었던 말을 힘들게 꺼낸다. 여기서 성원에 대한 배려로 나머지 집단성원들은 알아듣지 못하는 자신의 모국어인 베트남어로, 실제로 평소 엄마와 사용하는 언어를 쓰게 함으로써 좀 더 편안한 안정감을 느끼게 하고 현실성을 높였다. 제리는 케시에게 말하고 나니 어땠느냐고 묻는다. 이렇게 상담자는 집단상담 내내 성원이 어떻게 느끼는지 질문을 하므로 표현기술과 질문 및 탐색기술은 집단과정이 진행되는 내내 사용된다고 할 수 있다.
다음으로 케시는 역할을 바꿔 엄마가 되어서 엄마가 말할까 두려운 말과 엄마에게서 듣고 싶은 말, 엄마가 말할 것이라 예상되는 말을 해 본다. 매리앤은 ‘힘들군요’, ‘또 한번 해냈네요’ 등의 말을 통해 역할극 내내 케시를 지지하고 공감을 보여준다. 그리고 매리앤은 역할교환으로 케시의 엄마의 역할이 되어 ‘나는 네가 어떻든 상관없어. 너는 내 딸이야. 사랑한다.’라고 하며 케시의 손을 잡아주며, 그녀를 지지하고 격려한다. 이로 인해 자신의 문제가 개선될 수 있다는 희망을 갖게 되며 이는 그 자체에 치료적 효과가 있다. 그러나 매리앤은 케시에게 엄마에게 말하는 것은 그녀 스스로의 결정이라며 그녀의 의견을 존중하며 지지했다. 실제 수행 여부는 자신에게 달려있다는 것을 인지시켜줌으로써 결국 자신의 인생에 대한 궁극적인 책임은 스스로에게 있다는 실존적 요인들을 일깨우는 것이다.
케시의 작업은 다른 성원들에게도 영향을 미쳤다. 이처럼 한 사람의 문제 해결을 통해 다른 구성원에게도 영향을 주어 집단 전체의 저항을 낮추고 결속력을 높여 문제를 깊이 탐구할 수 있게 한다. 대런과 질은 케시를 지지하고 자신의 감정을 털어놓는 지지자와 감정표현자의 역할을 하였다.
이처럼 역할연습 등 작업 단계에서 행하는 기술은 문제를 지도자와 다른 성원들도 관찰 가능하게 하고 대인관계를 학습하는 효과가 있으며 한 사람의 문제개입으로 다른 구성원에게도 적지 않은 영향을 미친다는 특성이 있다.
  • 가격2,3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15.06.22
  • 저작시기2015.6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97423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