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석주선(난사)의 일생……………………………………3
집안 환경……………………………………3
시대적 사회 배경……………………………………3
2. 석주선의 약력……………………………………4
3. 석주선의 변화……………………………………5
어린 시절……………………………………5
유학 시절……………………………………5
귀국 (해방 후)……………………………………5
4. 석주선의 교육과 문화……………………………………6
6.25사변 (1950~1953)……………………………………6
교육 및 후학 양성……………………………………6
조상유물의 안식처……………………………………6
수집……………………………………7
시대적 사회 배경……………………………………7
5. 석주선 일생의 꿈 – 단국대학교 석주선 기념 박물관……7
6. 덕온 공주의 유물 <석주선기념박물관 소장>……………8
덕온 공주 유물……………………………………9
자라줌치를 구하기까지의 일화……………………………………9
7. 민속학자 석주선의 우리 옷, 나라……………………………………10
석주선의 일화……………………………………10
8. 민속학자 석주선의 명언……………………………………11
집안 환경……………………………………3
시대적 사회 배경……………………………………3
2. 석주선의 약력……………………………………4
3. 석주선의 변화……………………………………5
어린 시절……………………………………5
유학 시절……………………………………5
귀국 (해방 후)……………………………………5
4. 석주선의 교육과 문화……………………………………6
6.25사변 (1950~1953)……………………………………6
교육 및 후학 양성……………………………………6
조상유물의 안식처……………………………………6
수집……………………………………7
시대적 사회 배경……………………………………7
5. 석주선 일생의 꿈 – 단국대학교 석주선 기념 박물관……7
6. 덕온 공주의 유물 <석주선기념박물관 소장>……………8
덕온 공주 유물……………………………………9
자라줌치를 구하기까지의 일화……………………………………9
7. 민속학자 석주선의 우리 옷, 나라……………………………………10
석주선의 일화……………………………………10
8. 민속학자 석주선의 명언……………………………………11
본문내용
1. 석주선(난사)의 일생
❖ 출생~ 사망
- 1911년 일제 강점기 평안남도 평양 출생 ~ 1996년 3월 3일 (86세) 사망
❖ 학력
- 평안남도 평양 명륜여자고등보통학교 졸업
- 일본 도쿄 고등양재학원 졸업
- 명예 박사 학위 (영남대학교 명예 이학박사)
❖ 직업
- 전통복식학자, 복식연구가, 복식사학자, 민속학자, 교육자, 대학 교수
❖ 상훈
- 1972년 제 1회 양서출판문화상 저술 부문 금상 (경향신문사)
- 1973년 제 2회 교육공로상 (서울특별시 교육위원회)
- 1980년 제 20회 한국출판문화상 제작상 (한국일보사)
- 1981년 제 23회 대한민국 예술문화상 문화 부분 은관문화훈장 (문화부)
❖ 저서 및 작품
- <우리나라 옷>, <한국복식사>, <흉배胸背>, <장신구>, <한국복식사>, <의衣>, <관모와 수식>
❖ 가족관계
- 아버지 (석승서), 어미니 (김의식) 3남 1녀 중 셋째 (둘째 오빠 ‘석주명’ 나비박사)
≪ … 중 략 … ≫
4. 석주선의 교육과 문화
❖ 6.25사변 (1950~1953)
- 피난살이 해방 뒤부터 모든 옷을 한 점도 못 건지고 다시 재출발
- 다시 젊음을 발견 “일하자. 기술을 갖고 있으니 열심히 일하자!”
- 손쉽게 구할 수 있는 구제품으로 재생 옷 만들기
- 양장점 운영
❖ 교육 및 후학 양성
- 후학 교육 시 실증적인 유물 뒷받침
- 선구적인 한복 연구자
- 한 줄의 역사라도 정확하게 “~일 것이다.”가 아닌 “~이다!”라고 자신 있게 전달하기 위해 문헌을 뒷받침하는 유물 모으기 시작
❖ 조상유물의 안식처
- 5천년 역사를 가진 문화민족의 긍지와 자부심
- 우리나라 전통 의복과 장신구 3,365점, 도서 3,000여권 단국대학교에 기증 (1981)
- 단국대학교 석주선기념박물관
❖ 출생~ 사망
- 1911년 일제 강점기 평안남도 평양 출생 ~ 1996년 3월 3일 (86세) 사망
❖ 학력
- 평안남도 평양 명륜여자고등보통학교 졸업
- 일본 도쿄 고등양재학원 졸업
- 명예 박사 학위 (영남대학교 명예 이학박사)
❖ 직업
- 전통복식학자, 복식연구가, 복식사학자, 민속학자, 교육자, 대학 교수
❖ 상훈
- 1972년 제 1회 양서출판문화상 저술 부문 금상 (경향신문사)
- 1973년 제 2회 교육공로상 (서울특별시 교육위원회)
- 1980년 제 20회 한국출판문화상 제작상 (한국일보사)
- 1981년 제 23회 대한민국 예술문화상 문화 부분 은관문화훈장 (문화부)
❖ 저서 및 작품
- <우리나라 옷>, <한국복식사>, <흉배胸背>, <장신구>, <한국복식사>, <의衣>, <관모와 수식>
❖ 가족관계
- 아버지 (석승서), 어미니 (김의식) 3남 1녀 중 셋째 (둘째 오빠 ‘석주명’ 나비박사)
≪ … 중 략 … ≫
4. 석주선의 교육과 문화
❖ 6.25사변 (1950~1953)
- 피난살이 해방 뒤부터 모든 옷을 한 점도 못 건지고 다시 재출발
- 다시 젊음을 발견 “일하자. 기술을 갖고 있으니 열심히 일하자!”
- 손쉽게 구할 수 있는 구제품으로 재생 옷 만들기
- 양장점 운영
❖ 교육 및 후학 양성
- 후학 교육 시 실증적인 유물 뒷받침
- 선구적인 한복 연구자
- 한 줄의 역사라도 정확하게 “~일 것이다.”가 아닌 “~이다!”라고 자신 있게 전달하기 위해 문헌을 뒷받침하는 유물 모으기 시작
❖ 조상유물의 안식처
- 5천년 역사를 가진 문화민족의 긍지와 자부심
- 우리나라 전통 의복과 장신구 3,365점, 도서 3,000여권 단국대학교에 기증 (1981)
- 단국대학교 석주선기념박물관
추천자료
전통문화가 여가문화에 끼치는 교육적 기능-전통문화체험기 포함
서양 문물의 수용과 변화
대중 예술의 정의와 대중 예술 정책의 필요성 및 의의
고3 청소년을 위한 여가생활 프로그램
<동동>의 성격 및 선어에 대한 고찰
조선시대 주막
[칠레][칠레의 문화][칠레 문화][이스터섬][새노래 운동][칠레 시인 네루다]칠레의 역사, 칠...
가족간 기본적 생활예절, 가정예절사례 부모님께 대한 예절(예의), 가정예절사례 형제간의 예...
유아 음악교육의 의미, 유아 음악교육의 강조사항, 유아 음악교육의 필요성, 유아 음악교육의...
러시아 정교
『용재총화』소재 소화(笑話)_연구,용재총화
[생태특성, 드렁허리, 오징어, 해삼, 바다거북, 식물, 생태, 생태환경]드렁허리의 생태특성, ...
[구비문학의 세계4학년공통] 설화 가운데 민담 2편을 선택하고 각 민담이 갖는 의미에 관하여...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