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활동개요
2.활동과정
3.활동자료
▣ 활동자료1.
1) 선(禪) 체조
2) 발우공양
3) 참선(참선) : 오직 하나로의 향함
4) 민속놀이
▣ 활동자료2 : 평가 설문지
4. 프로그램 일정표
5. 수련청규
2.활동과정
3.활동자료
▣ 활동자료1.
1) 선(禪) 체조
2) 발우공양
3) 참선(참선) : 오직 하나로의 향함
4) 민속놀이
▣ 활동자료2 : 평가 설문지
4. 프로그램 일정표
5. 수련청규
본문내용
해주기도 한다.
(4) 퇴수물 거두기
각 반의 맨 끝번 수련생이 담당한다.
(5) 그 외에 발우수건은 수련법회 기간의 중간 날 쯤에 교환시키고 찬상등을 들고 놓을 때 는 우슬착지하도록 미리 시범을 보여준다.
3) 참선(참선) : 오직 하나로의 향함
◎ 목적
참선을 통해서 생사의 근원이 무엇이고 나의 본질이 무엇인지를 앎으로서 긍극적으로 자신에 대하여 새롭게 눈을 떠서 창조적 삶을 살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육체를 통해서 마음의 안정을 구한다.
◎ 개요
∴그릇이론에 의한 다섯단계의 체계적 수행
그릇 비우기 : 참회를 통한 자기정화
그릇 채우기 : 발원에 의한 자기전환
그릇 키우기 : 기도에 의한 자기확장
그릇 부수기 : 참선에 의한 자기확인
그릇 만들기 : 행불에 의한 자기창조를 반복. 실행하면서 진지하고 여유로운 가운데 스스로를 돌아볼 수 있는 기회를 갖도록 한다.
◎ 목표
짜임새있는 단계적 수행
자연과의 하나되기 연습
전통적 수행방법과 현대적 기법의 조화
◎ 참선의 실제
1. 조신법(調身法) : 자세
참선은 원칙적으로 결가부좌한다.
몸의 중심이 단전에 오도록 자세를 조절한다.
엉덩이는 충분히 뒤로 빼고 배꼽은 충분히 앞으로 내밀어 코와 배꼽을 일치시킨다.
손은 정인(定印)하고 그 사이로 숨쉬는 의식집중, 눈은 반안(半眼)하며 집중력을 배양한다.
2. 조식법(調息法) : 호흡
신체의 파동과 우주의 주파수와 공명하도록 리듬 있는 호흡을 가늘고 길게 조용히 수평 호흡을 한다.
내뿜는 숨은 길게, 들이쉬는 숨은 짧게, 즉 出長息호흡을 한다.
내뿜는 숨은 천천히 하라! 코끝에 새털을 갖다 대도 그것이 움직이지 않을 정도로 조용히 조금씩 내뿜도록 한다.
3. 조심법(調心法) : 마음
결가부좌를 정확하게 한다. 즉 올바른 피라미드 자세를 취하고 다리 근육에 스트레칭을 가한다.
출장식 호흡을 철저히 실시한다. 특히 리듬 호흡법에 주의를 기울인다.
의식을 단전에 집중한다.
내쉬는 숨을 하나. 둘. 셋 등으로 세어 호흡의 길이를 일정하게 조절한다.
4) 민속놀이
◎ 개요
민속놀이(제기차기, 윷놀이, 줄다리기, 널뛰기, 투호)를 통한 정통문화계승과 청소년 민속놀이로 확산 보급하여 건전한 놀이문화 정착에 중점을 둔다.
◎ 목표
전통문화 계승발전과 청소년 민속놀이 활성화로 건전한 놀이 문화정착 유도
◎ 준비물
제기차기 : 습자지, 엽전, 계수기
윷 놀 이 : 윷, 윷판, 장대, 갈판, 대진표
줄다리기 : 줄, 신호총, 초시계, 응원깃발, 스탬프, 도장
널 뛰 기 : 널, 한복, 줄자, 허리끈
투 호 : 양궁화살, 항아리
▣ 활동자료2 : 평가 설문지
≪평가 설문지≫
본 설문지는 프로그램에 참가한 여러분들의 의견을 토대로 하여 더 좋은 프로그램을 개발하기 위해 준비한 것입니다. 여러분들의 진솔한 응답을 솔직하게 말씀해 주시기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년 월
1. 프로그램의 주제는 만족한가?
① 만족 ② 보통 ③ 불만족
2. 프로그램의 장소는 적절한가?
① 적절 ② 보통 ③ 부적절
3. 프로그램의 기간은 적절한가?
① 적절 ② 보통 ③ 부적절
4. 프로그램의 진행은 잘 되었는가?
① 그렇다 ② 보통 ③ 아니다
5. 수련원 시설은 만족스러운가?
① 만족 ② 보통 ③ 아니다
6. 프로그램의 규율은 적절한가?
① 그렇다 ② 보통 ③ 부적절
7. 프로그램이나 수련원에서 고쳐져야할 점은?
8. 프로그램 중에 가장 인상깊었던 것은 ?
9. 수련 진행과정에서 함께 반성해야 할 사항이 있다면?
10. 기타 참가자의 의견이 있으면 말씀해 주십시오.
4. 프로그램 일정표
1) 2박 3일
시간
첫째날
둘째날
셋째날
03:00 - 04:00
기상
예불
04:00 - 04:30
108배 절하기
새벽숲길
04:30 - 05:30
참선
05:30 - 06:30
아침공양(발우)
06:30 - 07:30
운력(마당쓸기, 법당청소하기), 세면
07:30 - 08:30
선체조
다도
08:30 - 09:30
푸른숲 맑은물과의 이야기(자유시간)
09:30 - 10:30
스님과의 대화
10:30 - 11:30
참선
11:30 - 12:30
점심공양(발우)
12:30-13:30
산타기
산사와의 대화
13:30 - 14:30
수련원에도착, 접수 및 숙소 배정
설문지 작성
회향식(집으로..)
14:30 - 15:30
입재식
세면시간
15:30 -16:30
산사생활의 습의
산사와의 대화
차마시기
16:30 - 17:00
자기소개
17:00 - 18:00
저녁공양
18:00 - 19:00
저녁예불
19:00 - 20:00
참선 및 수행 실수
20:00 - 21:00
산사와의 대화
경전읽기
21:00 - 22:00
취침준비 및 취침
5. 수련청규
1) 묵언
입재식을 마친 이후부터 회향식 전까지는 묵언(言)을 기본으로 한다. 다만 예불과 독경, 공양할 때의 게송 암송시에는 예외이며, 스님과의 대화시간은 예외로 한다.
2) 인사
법당 앞을 지날 때나 스님들을 만나면 항상 합장 반배로 인사를 한다.
수련생끼리도 외딴 곳에서 만나면 서로 합장 반배로써 인사를 한다. 또한 법당을 지날 때나 출입 시에도 불단을 향해 합장 반배를 한다.
3) 차수
도량 내를 다닐 때에는 항상 차수(叉手)를 하는 것이 원칙이다.
차수하는 방법은 왼손바닥을 윗배쯤 명치 위치에 대고 그 위에 오른 손을 포갠다.
4) 예불
수련기간 동안 조석예불에 빠지지 않는다. 예불 때에는 각자 자기 좌복을 들고 예불 시작 10분 전까지 법당에 들어간다.
5) 공양
공양을 하고 싶지 않더라도 제 자리에 발우를 펴고 앉는다. 수련 중에는 따로 간식을 먹지않는다.
6) 물건을 들기 위해 앉는 방법(右膝着地)
물건을 들고 놓을 때는 오른 무릎을 꿇고 왼 무릎을 세운 자세로 정중하게 앉는다. 일어설 때는 가슴 앞으로 물건을 당긴 다음 허리를 곧추 세우고 똑바로 일어선다.
7) 운력(運力)
운력시간에는 전원이 동참한다. 선농쌍수(禪農雙修)는 참선과 농사일을 하루 일과로 삼아 같이 닦아간다는 뜻.
8) 위생
화장실과 목욕탕은 깨끗이 사용한다. 취침시간 이후에는 목욕탕 사용을 금한다.
9) 취침
취침시간에 늦게 들어와 다른 사람의 잠을 방해하지 않는다. 누워서 옆 사람과 이야기를 나누지 않는다.
(4) 퇴수물 거두기
각 반의 맨 끝번 수련생이 담당한다.
(5) 그 외에 발우수건은 수련법회 기간의 중간 날 쯤에 교환시키고 찬상등을 들고 놓을 때 는 우슬착지하도록 미리 시범을 보여준다.
3) 참선(참선) : 오직 하나로의 향함
◎ 목적
참선을 통해서 생사의 근원이 무엇이고 나의 본질이 무엇인지를 앎으로서 긍극적으로 자신에 대하여 새롭게 눈을 떠서 창조적 삶을 살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육체를 통해서 마음의 안정을 구한다.
◎ 개요
∴그릇이론에 의한 다섯단계의 체계적 수행
그릇 비우기 : 참회를 통한 자기정화
그릇 채우기 : 발원에 의한 자기전환
그릇 키우기 : 기도에 의한 자기확장
그릇 부수기 : 참선에 의한 자기확인
그릇 만들기 : 행불에 의한 자기창조를 반복. 실행하면서 진지하고 여유로운 가운데 스스로를 돌아볼 수 있는 기회를 갖도록 한다.
◎ 목표
짜임새있는 단계적 수행
자연과의 하나되기 연습
전통적 수행방법과 현대적 기법의 조화
◎ 참선의 실제
1. 조신법(調身法) : 자세
참선은 원칙적으로 결가부좌한다.
몸의 중심이 단전에 오도록 자세를 조절한다.
엉덩이는 충분히 뒤로 빼고 배꼽은 충분히 앞으로 내밀어 코와 배꼽을 일치시킨다.
손은 정인(定印)하고 그 사이로 숨쉬는 의식집중, 눈은 반안(半眼)하며 집중력을 배양한다.
2. 조식법(調息法) : 호흡
신체의 파동과 우주의 주파수와 공명하도록 리듬 있는 호흡을 가늘고 길게 조용히 수평 호흡을 한다.
내뿜는 숨은 길게, 들이쉬는 숨은 짧게, 즉 出長息호흡을 한다.
내뿜는 숨은 천천히 하라! 코끝에 새털을 갖다 대도 그것이 움직이지 않을 정도로 조용히 조금씩 내뿜도록 한다.
3. 조심법(調心法) : 마음
결가부좌를 정확하게 한다. 즉 올바른 피라미드 자세를 취하고 다리 근육에 스트레칭을 가한다.
출장식 호흡을 철저히 실시한다. 특히 리듬 호흡법에 주의를 기울인다.
의식을 단전에 집중한다.
내쉬는 숨을 하나. 둘. 셋 등으로 세어 호흡의 길이를 일정하게 조절한다.
4) 민속놀이
◎ 개요
민속놀이(제기차기, 윷놀이, 줄다리기, 널뛰기, 투호)를 통한 정통문화계승과 청소년 민속놀이로 확산 보급하여 건전한 놀이문화 정착에 중점을 둔다.
◎ 목표
전통문화 계승발전과 청소년 민속놀이 활성화로 건전한 놀이 문화정착 유도
◎ 준비물
제기차기 : 습자지, 엽전, 계수기
윷 놀 이 : 윷, 윷판, 장대, 갈판, 대진표
줄다리기 : 줄, 신호총, 초시계, 응원깃발, 스탬프, 도장
널 뛰 기 : 널, 한복, 줄자, 허리끈
투 호 : 양궁화살, 항아리
▣ 활동자료2 : 평가 설문지
≪평가 설문지≫
본 설문지는 프로그램에 참가한 여러분들의 의견을 토대로 하여 더 좋은 프로그램을 개발하기 위해 준비한 것입니다. 여러분들의 진솔한 응답을 솔직하게 말씀해 주시기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년 월
1. 프로그램의 주제는 만족한가?
① 만족 ② 보통 ③ 불만족
2. 프로그램의 장소는 적절한가?
① 적절 ② 보통 ③ 부적절
3. 프로그램의 기간은 적절한가?
① 적절 ② 보통 ③ 부적절
4. 프로그램의 진행은 잘 되었는가?
① 그렇다 ② 보통 ③ 아니다
5. 수련원 시설은 만족스러운가?
① 만족 ② 보통 ③ 아니다
6. 프로그램의 규율은 적절한가?
① 그렇다 ② 보통 ③ 부적절
7. 프로그램이나 수련원에서 고쳐져야할 점은?
8. 프로그램 중에 가장 인상깊었던 것은 ?
9. 수련 진행과정에서 함께 반성해야 할 사항이 있다면?
10. 기타 참가자의 의견이 있으면 말씀해 주십시오.
4. 프로그램 일정표
1) 2박 3일
시간
첫째날
둘째날
셋째날
03:00 - 04:00
기상
예불
04:00 - 04:30
108배 절하기
새벽숲길
04:30 - 05:30
참선
05:30 - 06:30
아침공양(발우)
06:30 - 07:30
운력(마당쓸기, 법당청소하기), 세면
07:30 - 08:30
선체조
다도
08:30 - 09:30
푸른숲 맑은물과의 이야기(자유시간)
09:30 - 10:30
스님과의 대화
10:30 - 11:30
참선
11:30 - 12:30
점심공양(발우)
12:30-13:30
산타기
산사와의 대화
13:30 - 14:30
수련원에도착, 접수 및 숙소 배정
설문지 작성
회향식(집으로..)
14:30 - 15:30
입재식
세면시간
15:30 -16:30
산사생활의 습의
산사와의 대화
차마시기
16:30 - 17:00
자기소개
17:00 - 18:00
저녁공양
18:00 - 19:00
저녁예불
19:00 - 20:00
참선 및 수행 실수
20:00 - 21:00
산사와의 대화
경전읽기
21:00 - 22:00
취침준비 및 취침
5. 수련청규
1) 묵언
입재식을 마친 이후부터 회향식 전까지는 묵언(言)을 기본으로 한다. 다만 예불과 독경, 공양할 때의 게송 암송시에는 예외이며, 스님과의 대화시간은 예외로 한다.
2) 인사
법당 앞을 지날 때나 스님들을 만나면 항상 합장 반배로 인사를 한다.
수련생끼리도 외딴 곳에서 만나면 서로 합장 반배로써 인사를 한다. 또한 법당을 지날 때나 출입 시에도 불단을 향해 합장 반배를 한다.
3) 차수
도량 내를 다닐 때에는 항상 차수(叉手)를 하는 것이 원칙이다.
차수하는 방법은 왼손바닥을 윗배쯤 명치 위치에 대고 그 위에 오른 손을 포갠다.
4) 예불
수련기간 동안 조석예불에 빠지지 않는다. 예불 때에는 각자 자기 좌복을 들고 예불 시작 10분 전까지 법당에 들어간다.
5) 공양
공양을 하고 싶지 않더라도 제 자리에 발우를 펴고 앉는다. 수련 중에는 따로 간식을 먹지않는다.
6) 물건을 들기 위해 앉는 방법(右膝着地)
물건을 들고 놓을 때는 오른 무릎을 꿇고 왼 무릎을 세운 자세로 정중하게 앉는다. 일어설 때는 가슴 앞으로 물건을 당긴 다음 허리를 곧추 세우고 똑바로 일어선다.
7) 운력(運力)
운력시간에는 전원이 동참한다. 선농쌍수(禪農雙修)는 참선과 농사일을 하루 일과로 삼아 같이 닦아간다는 뜻.
8) 위생
화장실과 목욕탕은 깨끗이 사용한다. 취침시간 이후에는 목욕탕 사용을 금한다.
9) 취침
취침시간에 늦게 들어와 다른 사람의 잠을 방해하지 않는다. 누워서 옆 사람과 이야기를 나누지 않는다.
키워드
추천자료
청소년의 여가활동 실태에 관한 조사연구
청소년 여가문화의 정책 및 개선방향
지체장애 청소년들의 여가활동
청소년의 여가활용
결손가정 청소년의 여가인식에 관한 근거이론적 분석
청소년 여가문제에 대한 고찰
청소년 여가 활성화
주5일제 수업에 따른 청소년의 토요일 여가시간 활용 및 활성화를 위한 방안
[★우수레포트★][청소년 심리] 청소년기 친구관계의 개념, 특징, 영향, 우리나라의 현황 및 청...
청소년의 여가에 대한 인식의 변화와 여가활동의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는 요즘 외국 청소년 ...
청소년 여가문화의 방향을 사례를 중심으로 제시하여 기술 [여가문화]
청소년 여가활동의 실태를 파악한 후, 여가활동 활성화방안을 세 가지 제시하시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