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축가의 사회적 역할과 공공성에 대하여 - 건축가 윤리, 건축가의 능력, 건축가의 책임과 의무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건축가의 사회적 역할과 공공성에 대하여 - 건축가 윤리, 건축가의 능력, 건축가의 책임과 의무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건축가윤리-

1. 전문성의 원칙
2. 건축사의 직업적 윤리


<건축가의 능력에 관해서>


<건축가의 책임과 의무에 관해서>

본문내용

철저히 존중하고 준수하지 않으면 안될 것이다.
넷째, 전문직 종사자들과 전문직 조직들은 가능한 한 공익을 위한 봉사를 실천하지 않으면 안 된다. 그럼으로써 사회적 신뢰와 존경을 확보할 수 있어야 할 것이다.
마지막으로 전문직 종사자들은 자신들의 직업적 활동과 관련되지 않는 개인윤리나 생활 윤리적 차원에서도 보다 엄격한 윤리의식을 가짐으로써 지도층으로서의 역할을 다하여야 할 것이다. 이는 전문직 종사자들에게 거는 사회적 기대가 다른 직업에 비해 그만큼 높다는 것을 의미한다.
전문직 직업과 사회와의 상호작용 속에서 전문적 업무수행이 윤리적으로 행해질 때 모든 사회기능의 효율성이 유지되고 경쟁력이 살아나며, 또한 이들 전문가 집단 역시 국민으로부터 신뢰를 확보하고 사회로부터 전문인으로서 인정을 받고 존경을 받을 수 있을 것이다.
<건축가의 책임과 의무에 관해서>
건축가는 개인적으로는 건축주의 입장에서 환경과 개인의 취향을 고려하여, 설계하여 더 나아가서는 건축주를 생활에 도움이 되게끔 변화시키겠다는 의지를 담는 건축가의 책임의식을 내면화 할 의무를 갖는다. 그러나 건축주 개인뿐 아니라 사회적으로는, 건축물이 사회와 도시에 영향을 끼칠 수 있다는 점을 각인하여, 공공에 이로운 방향으로 설계를 할 책임 또한 가진다.
-공공건축의 대가 , 정기용
얼마 전에 다큐영화 ‘말하는 건축가’ 를 보았다. 공공건축의 대가 였던 건축가 정기용의 건축관을 담은 영화이다. 현대건축에서 겉모습의 아름다움과 화려함이 중요한 부분인건 사실이다. 정기용의 건축물은 겉모습에서 볼 때, 다른 건축물과 크게 다른 점을 느끼기 힘 들 수도 있다. 그러나 건축가 정기용은 그 건축물의 사용자의 입장에서 생각해보고, 정말 필요한 것이 무엇인지 고민하였다. 예를 들면 노인 분들에게 인터뷰를 하여 필요하다고 생각한 대중목욕탕을 ‘안성면사무소’ 안에 설계하였다. 내가 생각하던 건축가의 책임감이다. 사용자들을 생각해야된다. 그래서 정기용에게 ‘사랑의 건축가’라는 타이틀이 붙은 것 같다. 또 정기용의 작품인 ‘무주 등나무 공설운동장’도 인상적이었다. 보통 햇볕에 강하여 사람들이 기피하던 관중석에 등나무를 심어 사람들의 불편함을 해소하고자 하였다. 정기용은 환경과 건물사이의 관계에 대해서도 깊이 생각하였다. 그리고 그 건축으로 인하여 생길 수 있는 여러 가지 차이점도 고려하셨다. 내가 생각하는 올바른 건축가의 사회적 책임과 공공의식을 가지고 있는 건축가이다.
  • 가격6,3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15.06.29
  • 저작시기2014.9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97506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