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
39
-
40
-
41


목차
1. INTRO
2. 기본모델
3. 치료
4. CONCLUSION
2. 기본모델
3. 치료
4. CONCLUSION
본문내용
보웬의 가족 치료
【1. INTRO】
Bowen
Murrary Bowen
• 기법보다 이론을 강조
➜ 자신의 치료를 행동지향적 치료사들과 구별
• 정신분석학 이론에서 발달
• 인간의 행동과 문제에 대해 포괄적인 관점을 제시
• 핵심목표
- 자기의 분화
- 가족생활의 강렬한 압력 속에서도 자신을 유지 시키는 능력
【1. INTRO】
모델의 발전
• 1940년대 후반
- 가족에 대해 관심을 갖기 시작
- Menninger Clinic에서 정신과 의사
- 정신분열증 환자가 어머니와 정서적으로
유별나게 민감한 것을 발견
• 1954년
- National Institute of Mental Health(NIMH)
- 정신분열증의 환자의 문제가 전체 가족과도 연결되어 있다는 사실을 발견
- 문제의 핵심은 “불안 애착”
【1. INTRO】
모델의 발전
• 1959년
- 좀 더 심각한 장애를 가진 가족을 연구
- 정상적인 가족과 병리적인 가족이 따로 구별되는 것이
아니라, 모든 가족이 정서적 융합에서 분화 라는 연속선상에 놓여 있다는 것을 발견
- 31년 동안 포괄적인 가족치료이론을 발전시킴
• 1990년 10월
- 사망
【2. 기본모델】
Bowen의 기본모델
• 기존 가족치료와의 차이
- 사고방법으로서의 체계이론에 더 몰두
• 우리는 평소에 생각보다 자주성이 적고,
대부분 타인에게 의존적이고 반응적
• 상호 연동적인 여섯 가지 개념으로 구성
【2. 기본모델】
6가지 개념
1) 자아분화
2) 삼각관계
3) 핵가족 정서 과정
4) 누대의 전수 과정
5) 정서적 단절
6) 사회적 정서 과정
【2. 기본모델】
1. 자아 분화
• 정신 내적인 개념인 동시에 대인 관계적 개념
• 자아강도(ego strength)에 비유
- 내적 또는 외적인 정서적 압력에 자동적으로 반응하지 않고 생각할 수 있는 능력
- 불안에 직면하더라도 유연하게 행동하는 능력
• 융합(fusion)
- 분화(differentiation)의 반대의 개념
- 분화가 덜 되었다 ➜ 융합의 정도가 높음
- 분화의 정도가 높다 ➜ 융합의 정도가 낮음
【1. INTRO】
Bowen
Murrary Bowen
• 기법보다 이론을 강조
➜ 자신의 치료를 행동지향적 치료사들과 구별
• 정신분석학 이론에서 발달
• 인간의 행동과 문제에 대해 포괄적인 관점을 제시
• 핵심목표
- 자기의 분화
- 가족생활의 강렬한 압력 속에서도 자신을 유지 시키는 능력
【1. INTRO】
모델의 발전
• 1940년대 후반
- 가족에 대해 관심을 갖기 시작
- Menninger Clinic에서 정신과 의사
- 정신분열증 환자가 어머니와 정서적으로
유별나게 민감한 것을 발견
• 1954년
- National Institute of Mental Health(NIMH)
- 정신분열증의 환자의 문제가 전체 가족과도 연결되어 있다는 사실을 발견
- 문제의 핵심은 “불안 애착”
【1. INTRO】
모델의 발전
• 1959년
- 좀 더 심각한 장애를 가진 가족을 연구
- 정상적인 가족과 병리적인 가족이 따로 구별되는 것이
아니라, 모든 가족이 정서적 융합에서 분화 라는 연속선상에 놓여 있다는 것을 발견
- 31년 동안 포괄적인 가족치료이론을 발전시킴
• 1990년 10월
- 사망
【2. 기본모델】
Bowen의 기본모델
• 기존 가족치료와의 차이
- 사고방법으로서의 체계이론에 더 몰두
• 우리는 평소에 생각보다 자주성이 적고,
대부분 타인에게 의존적이고 반응적
• 상호 연동적인 여섯 가지 개념으로 구성
【2. 기본모델】
6가지 개념
1) 자아분화
2) 삼각관계
3) 핵가족 정서 과정
4) 누대의 전수 과정
5) 정서적 단절
6) 사회적 정서 과정
【2. 기본모델】
1. 자아 분화
• 정신 내적인 개념인 동시에 대인 관계적 개념
• 자아강도(ego strength)에 비유
- 내적 또는 외적인 정서적 압력에 자동적으로 반응하지 않고 생각할 수 있는 능력
- 불안에 직면하더라도 유연하게 행동하는 능력
• 융합(fusion)
- 분화(differentiation)의 반대의 개념
- 분화가 덜 되었다 ➜ 융합의 정도가 높음
- 분화의 정도가 높다 ➜ 융합의 정도가 낮음
키워드
추천자료
[보웬의 가족치료]
가족치료의 정의와 특성 및 가족치료이론(보웬, 경험적, 인지행동주의적, 구조적, 이야기치료)
사회복지상담 가족치료이론-정신분석적, 보웬의 다세대, 미누친의 구조적, 사티어의 의사소통...
3.보웬의 가족치료 접근 상담사례
보웬의 가족치료 이론 요약 - 6장. 삼각관계
보웬의 가족치료 이론 요약 - 7장. 핵가족 정서체계
[가족치료] 가족치료의 종류(형태) -구조적, 전략적, 해결중심, 인지행동, 정신분석, 보웬, ...
보웬의 가족치료 이론에 대해 서술하시오
보웬의 가족치료 이론을 바탕으로 병리적인 가족에 대한 치료 개입의 목표와 방법들을 서술하...
영화 속에 나타난 보웬의 다세대가족치료이론을 찾아보고 영화 속에서 어떻게 적응했는지 찾...
머레이 보웬(Murray Bowen)의 가족치료이론 치료의 적용.ppt
가족대상실천기법(보웬,세대간가족치, 미누친,구조적가족치료, 사티어, 경험적가족치료) PPT ...
보웬의 가족치료이론-다세대가족치료,(통찰〈행위, 이론〈기법),자기분화,삼각관계,핵가족의 ...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