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셋증후군의 심각성과 해결방안] IT시대로의 진입과 리셋증후군 - 리셋증후군의 개념, 리셋증후군 사례, 리셋증후군 영향, 리셋증후군 해결방안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리셋증후군의 심각성과 해결방안] IT시대로의 진입과 리셋증후군 - 리셋증후군의 개념, 리셋증후군 사례, 리셋증후군 영향, 리셋증후군 해결방안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서론

(1)연구목적

2.본론

(1)리셋증후군이란?

(2)리셋증후군의 사례

(3)리셋증후군의 영향

3.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포기했다. 당시 15살이었던 이 선수가 셧다운제를 깜빡 잊고 대회에 참가했던 것이다. 생중계를 지켜보던 국내외 1만여 명의 게임 팬은 허탈했다. 영문을 몰랐던 외국 팬들은 "도대체 어떻게 된 일이냐"라며 게시판에 질문을 쏟아냈고, 국내 팬들은 "국제적 망신"이라며 분통을 터트렸다. 글로벌 경기침체 속에서 게임 산업은 가파른 성장세를 이어가는 대표적 산업으로 자리매김했다. 세계 최대 규모의 리서치 회사인 프라이스워터하우스쿠퍼스(PWC)는 세계 게임시장 규모가 2017년 870억 달러(약 93조원)에 달할 것으로 전망했다. 미국과 유럽은 물론 중국 등 세계 각국은 게임 산업을 위한 각종 지원책을 쏟아내는 중이다. 하지만 눈을 한국으로 돌리면 상황은 반전된다. 차세대 콘텐츠산업의 대표주자인 게임 산업이 졸속 규제에 발목이 잡혀 신음하는 중이다. 이동익, 「[발목잡힌 게임산업]<상>졸속 규제에 골병」, 서울경제, 2013.11.10
리셋증후군과 같은 정보화시대에서의 사회문제가 점차 대두되면서 그에 대한 대책이 정부차원에서 계속해서 이뤄지고 있다. 하지만 국가적 차원의 해결을 위한 노력이 오히려 부정적인 영향만 주고 있는 상황이 일어나고 있다. 오히려 인터넷 상에서 잘못된 행동과 문화를 만들어내고 있는 커뮤니티 사이트들에 대한 규제는 정치적 이해관계와 맞물려 강력하게 시행되지 못하고 있다.
3.본론
정보화시대에 접어들면서 또 다른 위험사회가 다가오고 있다. 그러한 위험사회의 대표적인 사회적, 병리적 현상으로 리셋증후군을 알아보았다. 앞의 리셋증후군의 사례와 영향을 보면 단순히 가상과 현실의 구분을 못하는 정의만으로 리셋증후군을 설명하기에는 부족하다. 영향은 개인적 단위를 넘어서 사회적인 부분에 영향을 주고 있다. 그렇기 때문에 앞으로의 접근은 정보화시대와 연관해 사회학적으로 접근해야 할 것이다.
이것이 단순히 병리적인 현상이라고 단정 짓는 것은 정보화시대와 큰 연관이 있다는 점에서 옳지 못하다. 또한 병리적으로 시작한 현상이라고 하더라도 그 영향은 사회적인 영역에서 일어나고 있다. 앞서 게임산업 규제와 같은 경우 국가의 정책이 개입하고 있기 때문이다. 리셋증후군의 영향에서 보듯 게임 산업의 규제는 잘못된 방향으로 흘러가고 있다. 최근 군부대 사고 중에 임병장 총기난사 사건이 큰 이슈였다. 어떤 정치인은 이 총기난사 사건을 임병장이 평소에 슈팅게임을 좋아해서 일어난 리셋증후군의 일종으로 생각했다. 이러한 접근은 리셋증후군을 잘못 이해해 결국 엉뚱한 방향으로 해결책을 유도할 수 있다. 단순 병리적인 현상으로 이해해서는 결국 올바른 해결법을 찾지 못한다.
리셋증후군은 정보화시대의 문제점을 다양하게 찾아볼 수 있는 사례이다. 물론 리셋증후군에 한해 바라보는 것은 일정의 한계가 있을 수 있다. 그렇기 때문에 리셋증후군 뿐만 아니라 정보화시대가 낳은 또 다른 문제들과 함께 생각해 볼 필요성이 있다. 도입부에서 언급했듯이 현대사회는 저거노트(juggernaut)의 사회이다. 위험은 또 다른 위험을 낳고 있기 때문에 계속된 성찰만이 우리에게 해답을 줄 수 있을 것이다.
4.참고문헌
[1] 네이버, 두산백과
[2] 장영훈, 「“게임 방해” 두돌 아들 살해… 20대父에 징역 15년 선고」, 동아일보, 2014.11.08
[3] 디지털뉴스팀, 「‘로린이’ 사용 ‘일베’ 초등교사 “생각없이 올린 글…” 사과」, 경향신문, 2013.05.29
[4] 이동익, 「사이버 폭력에 노출된 우리아이들 - 카카오, NHN의 방관 속 놀이화된 소리없는 폭력, ‘사이버 불링’」, 더피알, 2013.07.23
[5] 이동익, 「[발목잡힌 게임산업]<상>졸속 규제에 골병」, 서울경제, 2013.11.10
  • 가격1,100
  • 페이지수8페이지
  • 등록일2015.07.11
  • 저작시기2015.7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97635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