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서론
1. 주제 선정 이유
2. 생물학적 성과 사회적 성의 정의
본론
1. 생물학적 성과 사회적 성의 특징 비교
2. 천성과 양육 논쟁
3. 쌍둥이 입양아 연구
결론
1. 쌍둥이 입양아 연구 결과에 따른 결론
2. 앞으로의 성격 연구 방향
참고 문헌
1. 주제 선정 이유
2. 생물학적 성과 사회적 성의 정의
본론
1. 생물학적 성과 사회적 성의 특징 비교
2. 천성과 양육 논쟁
3. 쌍둥이 입양아 연구
결론
1. 쌍둥이 입양아 연구 결과에 따른 결론
2. 앞으로의 성격 연구 방향
참고 문헌
본문내용
요한 연구이다. 그러나 그 결과는 천성 측과 양육 측이 모두 만족할만한 것은 아니다. 다시 말하면, 인간의 성격과 성향 형성에서 유전적 요인과 환경적 요인이 모두 작용한다는 것이다. 어느 한 쪽의 영향만 존재하는 것도 아니고, 어느 한 쪽이 더 우세하다고 말할 수도 없다. 그러기엔 아직 밝혀지지 않은 것이 많기 때문이다. 그렇지만, 한 가지 확실한 결론은 적어도 성격과 성향이 단순하게 하나의 원인으로 형성되는 것은 아니라는 점이다.
앞으로의 성격 연구 방향
사람들이 살아가면서 한 번쯤 갖게 되는 성격에 대한 물음은 아마 인간이 이 세상에 존재하는 한 계속될 것이다. 그런 만큼 성격에 관한 연구 역시 더 발전할 것인데, 지금처럼 서로 으르렁대고 상대편을 무시하기보다는 좀 더 통합적인 시각으로 성격에 접근해야 한다. 지금까지 행해진 연구의 결론만 보더라도 인간의 성격과 성향은 어느 한 쪽만의 영향이 아니라는 것을 알 수 있기 때문에, 자신들만이 옳다고 주장하는 어리석은 짓은 이제 그만둬야 한다.
또, 지금보다 더 많은 자료를 모아 비교해보며, 옳고 그름을 따지기보다는 인간에 대한 궁금증을 풀어나가는 방향으로 연구에 매진해야 한다.
- 참고 문헌 -
- 김교헌 외 4명, 『젊은이를 위한 정신건강』, 학지사, 2010
- 이효윤, 이인혜, 성주헌, "경험논문 : 성인 쌍둥이 및 쌍둥이 가족을 대상으로 한 불안민감성의 유전적 영향력에 관한 연구: 우울, 음주, 흡연과의 관계", 한국심리학회, <한국심리학회지 : 건강> 17권 1호 (2012), pp.143-163
- 하지현, "종설(綜說) : 현대사회와 성격", 한국정신병리진단분류학회, <정신병리학> 11권 1,2호 (2002), pp.12-20
- 허윤미, "아동의 자아개념에 미치는 유전과 환경의 영향: 쌍둥이 연구", 한국심리학회, <한국심리학회지 : 사회 및 성격> 19권 2호 (2005), pp.91-102
- Gregory J. Feist, Erika L. Rosenberg, 『커넥션의 심리학』, 손정락, 강혜자, 김교헌 역, 교보문고, 2011
- Otto Weininger, 『성과 성격』, 임우영 역, 지식을만드는지식, 2012
- Walter Mischel, 『성격심리학』, 손정락 역, 시그마프레스, 2006
네이버 지식백과(사전)
http://www.seoul.co.kr/news/newsView.php?id=20130604500012 (뉴스 기사)
앞으로의 성격 연구 방향
사람들이 살아가면서 한 번쯤 갖게 되는 성격에 대한 물음은 아마 인간이 이 세상에 존재하는 한 계속될 것이다. 그런 만큼 성격에 관한 연구 역시 더 발전할 것인데, 지금처럼 서로 으르렁대고 상대편을 무시하기보다는 좀 더 통합적인 시각으로 성격에 접근해야 한다. 지금까지 행해진 연구의 결론만 보더라도 인간의 성격과 성향은 어느 한 쪽만의 영향이 아니라는 것을 알 수 있기 때문에, 자신들만이 옳다고 주장하는 어리석은 짓은 이제 그만둬야 한다.
또, 지금보다 더 많은 자료를 모아 비교해보며, 옳고 그름을 따지기보다는 인간에 대한 궁금증을 풀어나가는 방향으로 연구에 매진해야 한다.
- 참고 문헌 -
- 김교헌 외 4명, 『젊은이를 위한 정신건강』, 학지사, 2010
- 이효윤, 이인혜, 성주헌, "경험논문 : 성인 쌍둥이 및 쌍둥이 가족을 대상으로 한 불안민감성의 유전적 영향력에 관한 연구: 우울, 음주, 흡연과의 관계", 한국심리학회, <한국심리학회지 : 건강> 17권 1호 (2012), pp.143-163
- 하지현, "종설(綜說) : 현대사회와 성격", 한국정신병리진단분류학회, <정신병리학> 11권 1,2호 (2002), pp.12-20
- 허윤미, "아동의 자아개념에 미치는 유전과 환경의 영향: 쌍둥이 연구", 한국심리학회, <한국심리학회지 : 사회 및 성격> 19권 2호 (2005), pp.91-102
- Gregory J. Feist, Erika L. Rosenberg, 『커넥션의 심리학』, 손정락, 강혜자, 김교헌 역, 교보문고, 2011
- Otto Weininger, 『성과 성격』, 임우영 역, 지식을만드는지식, 2012
- Walter Mischel, 『성격심리학』, 손정락 역, 시그마프레스, 2006
네이버 지식백과(사전)
http://www.seoul.co.kr/news/newsView.php?id=20130604500012 (뉴스 기사)
추천자료
[인간과과학 (A+완성)]현대의 과학기술이 지닌 여러 가지 특징을 쓰고, 이 특징이 가져온 우...
현대사회학의 인간관적 특징 및 비판과 유가사상 인간관의 사회학적 함의
[언어의 이해]인간언어의 특징을 동물의 언어와 비교하여 제시함 - 언어의 주요 특성이 인간...
현대 조직환경의 특징과 인간관계 능력의 중요성, 현대 인간관계의 과제
[인간행동과사회환경 A형 : 행동발달에 대한 로저스이론] 행동발달에 대한 로저스(C. Logers)...
[사회복지실천론] 인간발달단계별 특징과 사회복지실천의 연관성을 서술하시오 [인간발달]
인간행동과사회환경_인간발달단계별 특징과 사회복지실천의 연관성을 서술하시오.
인간행동과사회환경B형-행동발달에 대한 스키너(B. Skinner)이론의 특징과 의의를 설명.-방송...
인간과교육3공통) 후기현대철학적 인간이해의 관점에서 강조되고 있는 인간관의 특징을 설명...
2017년 2학기 인간과교육 중간시험과제물 공통(인간관의 특징, 콜버그의 도덕성 발달이론)
1. 후기 현대철학적 인간이해의 관점에서 강조되고 있는 인간관의 특징을 설명하고, 이러한 ...
오랫동안 지속되는 인간관계와 지속되지 못하는 인간관계의 특징은 무엇일까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