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미국연방의회] 미국의회
I. 의회구성: 상원, 하원
II. 의원
1. 의원수와 선거구 재획정
2. 의원구성
3. 의원활동
I. 의회구성: 상원, 하원
II. 의원
1. 의원수와 선거구 재획정
2. 의원구성
3. 의원활동
본문내용
직을 상실하였다.
의원들의 직업적 배경을 보면, 변호사 출신이 가장 많고 기업이나 은행출신 그리고 공무원, 정치인 출신이 다음으로 많다. 이들 특징을 모두 종합하여 가장 전형적인 의원상을 얘기한다면 다음의 모습이 될 것이다. 즉, 중년의 남성 변호사로서 아버지가 전문적업인 또는 경영자 계층으로 미국 태생의 백인이며, 만약 이민자라면 동부나 남부유럽, 남미, 아프리카, 아시아 출신이기보다는 북서 또는 중부 유럽이나 캐나다 출신일 것이다.
의원들의 연임횟수를 살펴보면 제105차 의회에서 상원의 경우 6년 미만이 40명으로 가장 많고 7-12년이 피명, 13-18년이 13명, 년 이상이 23명으로서 평균 채 임연수는 11.2년이다. 하원의 경우 3선 미만이 243명으로 전체의 56%를 차지하였고, 4~6선이 71명 (16%), 7-9선이 명 (15%), 10선 이상이 56명(13%)으로 평균재임연수는 4.8년이다. 의원들의 종교는 상원의 경우 기독교 43명, 가톨릭이 24명, 유대교 10명, 기타 23명이며, 하원의 경우 기독교 178명, 가톨릭 127명, 유대교 25명, 기타 105명이다.
(3) 의원활동
의원들은 서로 다른 두 세계를 오가며 살고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워싱턴에 있을 때에는 대통령을 비롯한 연방정부 각료, 정당지도자, 동료의원, 로비스트 등에 둘러싸여 지내다가 지역구에 내려가면 지역구민들에 둘러싸여 지낸다. 한 연구에 의하면 선거가 없는 해에 하원의원의 경우 연 35회 지역구에 내려가며 그곳에서 평균 138일을 보낸다고 한다.
의원들은 유권자들과 긴밀한 관계를 유지하기 위하여 정기적으로 의정활동을 보고하는 등 많은 노력을 기울인다. 매년 의회우체국에서 발송하는 우편물이 4억 통에 이르고 수신하는 우편물이 1억 통에 이른다는 것만 보아도 알 수 있다. 의원들은 지역구민들의 민원해결을 위해 많은 시간을 할애한다. 의원의 경우 자기들 시간의 4분의 1 그리고 보좌관들은 3분의 2를 민원해결에 쏟는다고 한다.
민원해결은 단순히 우편물을 주고받는 수준에서 끝나는 것이 아니라 의원이 지역구민들을 직접 만나 고충을 듣고 해당관청에 문제해결을 촉구하며, 필요하면 법률안을 상정하는 등의 다각적인 노력을 통해 이루어진다. 민원이 해결될 경우 그것을 요청한 사람은 평생 그의 지지자로 확보할 수 있고 해결이 안 되더라도 그간 그가 기울여준 성의 때문에라도 그에게 호감을 갖게 될 것이기 때문이다.
또 의원들은 지역구에 각종 사업을 유치하고자 노력한다. 예산편성이나 법률제정시 대규모 댐건설. 도로건설, 군부대 유치 등 연고지 우선사업(pork barrel)을 많이 확보하는 것은 재선을 그만큼 확실하게 하는 것이기 때문이다.
1996년부터 1988년까지 대통령에게 예산과정에서 항목별 거부권(line-item veto)이 주어졌는데 공화당의원들은 클린턴 대통령이 주로 그들의 연고지 우선사업에 항목별 거부권을 행사하였다고 주장하였다. 현재는 항목별 거부권이 위헌판결을 받아 대통령론 일부분이 아닌 예산 전체에 대해서만 거부권을 행사할 수 있다.
의원들의 직업적 배경을 보면, 변호사 출신이 가장 많고 기업이나 은행출신 그리고 공무원, 정치인 출신이 다음으로 많다. 이들 특징을 모두 종합하여 가장 전형적인 의원상을 얘기한다면 다음의 모습이 될 것이다. 즉, 중년의 남성 변호사로서 아버지가 전문적업인 또는 경영자 계층으로 미국 태생의 백인이며, 만약 이민자라면 동부나 남부유럽, 남미, 아프리카, 아시아 출신이기보다는 북서 또는 중부 유럽이나 캐나다 출신일 것이다.
의원들의 연임횟수를 살펴보면 제105차 의회에서 상원의 경우 6년 미만이 40명으로 가장 많고 7-12년이 피명, 13-18년이 13명, 년 이상이 23명으로서 평균 채 임연수는 11.2년이다. 하원의 경우 3선 미만이 243명으로 전체의 56%를 차지하였고, 4~6선이 71명 (16%), 7-9선이 명 (15%), 10선 이상이 56명(13%)으로 평균재임연수는 4.8년이다. 의원들의 종교는 상원의 경우 기독교 43명, 가톨릭이 24명, 유대교 10명, 기타 23명이며, 하원의 경우 기독교 178명, 가톨릭 127명, 유대교 25명, 기타 105명이다.
(3) 의원활동
의원들은 서로 다른 두 세계를 오가며 살고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워싱턴에 있을 때에는 대통령을 비롯한 연방정부 각료, 정당지도자, 동료의원, 로비스트 등에 둘러싸여 지내다가 지역구에 내려가면 지역구민들에 둘러싸여 지낸다. 한 연구에 의하면 선거가 없는 해에 하원의원의 경우 연 35회 지역구에 내려가며 그곳에서 평균 138일을 보낸다고 한다.
의원들은 유권자들과 긴밀한 관계를 유지하기 위하여 정기적으로 의정활동을 보고하는 등 많은 노력을 기울인다. 매년 의회우체국에서 발송하는 우편물이 4억 통에 이르고 수신하는 우편물이 1억 통에 이른다는 것만 보아도 알 수 있다. 의원들은 지역구민들의 민원해결을 위해 많은 시간을 할애한다. 의원의 경우 자기들 시간의 4분의 1 그리고 보좌관들은 3분의 2를 민원해결에 쏟는다고 한다.
민원해결은 단순히 우편물을 주고받는 수준에서 끝나는 것이 아니라 의원이 지역구민들을 직접 만나 고충을 듣고 해당관청에 문제해결을 촉구하며, 필요하면 법률안을 상정하는 등의 다각적인 노력을 통해 이루어진다. 민원이 해결될 경우 그것을 요청한 사람은 평생 그의 지지자로 확보할 수 있고 해결이 안 되더라도 그간 그가 기울여준 성의 때문에라도 그에게 호감을 갖게 될 것이기 때문이다.
또 의원들은 지역구에 각종 사업을 유치하고자 노력한다. 예산편성이나 법률제정시 대규모 댐건설. 도로건설, 군부대 유치 등 연고지 우선사업(pork barrel)을 많이 확보하는 것은 재선을 그만큼 확실하게 하는 것이기 때문이다.
1996년부터 1988년까지 대통령에게 예산과정에서 항목별 거부권(line-item veto)이 주어졌는데 공화당의원들은 클린턴 대통령이 주로 그들의 연고지 우선사업에 항목별 거부권을 행사하였다고 주장하였다. 현재는 항목별 거부권이 위헌판결을 받아 대통령론 일부분이 아닌 예산 전체에 대해서만 거부권을 행사할 수 있다.
추천자료
9·11 사태 이후 미국의 안보전략의 변화-헤게모니의 정의, 미국 패권과 신보수주의, 9·11 사...
9 11테러와 미국 신안보 전략, 9 11테러와 미국 테러정책, 9 11테러와 한반도 정세, 9 11테러...
[미국][미국경제][미국 경영환경][미국 인적자원경영][미국 무역변화][미국 지속적인 경제성...
헐리우드영화(미국할리우드영화)의 연혁과 특성, 헐리우드영화(미국할리우드영화)의 관련산업...
[미국교육][미국의 교육][노인교육][민주시민교육][조기교육][직업교육]미국의 노인교육, 미...
[미국][전환교육][미디어교육][정보교육][특수교육][노인교육][시민교육][직업교육]미국의 전...
[미국교육][미국의 교육][교육과정]미국교육의 특성, 미국교육의 교육개혁, 미국교육의 교육...
[미국의 입법] 미국의 입법기관, 미국의 입법절차, 미국의 입법과 한국의 입법 비교
[미국법, 미국법 형성, 미국법 특색, 영미법, 미국주법, 미국, 미국헌법, 미국식 교수법]미국...
[미국, 산업기술]미국의 산업기술, 미국의 정보기술(IT), 과학기술, 미국의 신공정기술, 웹기...
[미국안전보건, 산업재해보상제도, 법제정, 산업안전보건법, 직업안전보건법]미국안전보건과 ...
[미국, 미국 정보기술(IT), 미국 첨단기술, 미국 과학기술, 미국 인터넷방송기술, 미국 웹기...
경제대공황(미국대공황, 세계대공황) 시작, 경제대공황(미국대공황, 세계대공황) 과정, 과잉...
★추천레포트★[미국 사적 보험 분석] 미국 사적 보험, 미국 사보험, 미국의 의료기관 및 관리...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