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부다처제 (一夫多妻制)] 일부다처제의 개념, 기원, 사례, 일부다처제 문제점, 우리나라가 일부다처제라면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일부다처제 (一夫多妻制)] 일부다처제의 개념, 기원, 사례, 일부다처제 문제점, 우리나라가 일부다처제라면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 3

1) 들어가며 ----------------------------------------------- 3


Ⅱ. 인구와 일부다처제-------------------------------- 4

1) 일부다처제의 개념 및 기원 -------------------------------- 4
2) 일부다처제의 사례 및 특징 -------------------------------- 5
3) 일부다처제의 장점 ---------------------------------------- 8
4) 일부다처제의 문제점 -------------------------------------- 8
5) 우리나라가 일부다처제라면? ------------------------------ 9


Ⅲ. 결론 -------------------------------------------- 9

본문내용

해 더 열심히 일을 하고 돈을 벌려고 할 것이다. 그렇다면, 여성들은 그들이 생각하는 결혼대상자로서 남성들의 수가 증가 할 것이고, 일부다처제를 유지하는 가정들이 늘어나고, 이런 현상이 지속된다면 출산율도 높아질 가능성도 있을 것이다.
그러나 일부다처제는 출산율은 높여주는데 기여는 하겠지만 사회적 불평등을 가져다 줄 것이다. 지난해 우리나라 성비는 105.3으로 아직까지 남성의 수가 여성보다 많다. 독일이 일부다처제를 시행할 수 있었던 것은 여성의 수가 남성의 수보다 훨씬 많았기 때문에 가능했던 것을 사례에서 볼 수 있었다. 이렇게 남성이 많은 우리나라에서 경제적으로 능력 있는 사람 10%만 일부다처제를 한다면 나머지 남성들은 성적 불균형으로 여성을 찾아 결혼하기가 쉽지 않다. 즉, 경제학적으로 일부다처제를 바라본다면 남성이 여성을 독점하는 것과 같다. 경제학에서는 독점의 폐해는 시장의 불균형을 초래하는 것인데 실제로 일부다처제가 여성에 대한 독점이 된다면 가난한 남성은 공급되는 여성의 수가 줄어들어 결혼을 하지 못하는 현상이 발생된다는 것이다. 또한 독점이 아니더라도 여성은 가난한 남자의 첫 번째 부인보다 부인 서열 문제로 살짝 눈치가 보여도 편하게 살 수 있는 부잣집 네 번째 부인으로 가는 것을 추구하여 이것 역시 경제적 능력이 없는 남성은 소외당하게 될 것이다. 한편으로 여성들은 가난한 남자와 결혼할 바엔 혼자 살겠다는 생각으로 독신 여성이 증가할 수도 있다. 그렇게 된다면 결혼에 대한 가치관도 흔들린다. 사랑을 전제로 하는 결혼이 경제적인 능력을 우선적으로 보는 결혼이 되어 부인의 수가 남자의 사회경제적 지위를 반영하는 사회가 될 것이다.
일부다처제로 경제적인 능력이 없어 결혼을 하지 못하는 남성들은 결혼을 하기 위해 해외로 눈을 돌릴 것이다. 지금도 농촌에서는 외국인 신부를 받아들이고 있는데 소외된 남성들까지도 외국여성에게 눈을 돌린다면 우리나라에 들어온 외국여성들까지도 부족하여 결혼하지 못하는 현상까지 발생할 것으로 예상된다. 그래서 정부는 결혼으로부터 소외된 남성들을 위해 적극적으로 외국인 여성결혼이주자를 적극적으로 유치하도록 노력해야 할 것이다. 현재 우리나라 결혼이주여성의 동기 중 69%는 경제적인 이유로 나타났다. 이는 선진국이며 잘 사는 국가에서 시민권을 얻고 자신이 본국에서 살던 가난한 가족에게 경제적 도움을 주기 위한 것으로 설명된다. 홍소연, 2008. 여성결혼이주자 지원정책에 관한 연구. 계명대학교 정책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이러한 이주여성을 우리나라로 유입시키기 위해 정부는 노동에 대한 소득을 한국인과 같이 똑같이 보장하고, 결혼을 하게 되면 양육비와 의료 복지 혜택을 한국 사람과 똑같이 누릴 수 있도록 해야 한다. 만약 이 정책이 잘 운영이 된다면 이민자 가족들도 아이를 많이 낳아 저출산 문제를 해결하는데 도움이 될 것이다.
Ⅳ. 결론
최근 미국 연방법원이 2014년 6월 일부다처제 허용하는 판결을 내렸다. 미국에서는 현재 여러 명과의 결혼관계를 유지하는 중혼이 불법인데, 이 재판에 선 브라운씨는 자신들이 중혼이 아니라 일부다처 관계라고 주장했다. 미국 법원은 이것은 개인의 사생활이라며 브라운씨의 손을 들어줬다. 이것을 빌미로 미국 내에 일부다처제를 지향하는 남성들이 늘어날 것으로 예측이 된다. 이슬람이나 중동 지방에서나 이루어지는 일부다처제가 미국에서 이루어지는 것을 보면서 또한 2015년부터 여성인구가 남성인구보다 많아지는 여초현상이 나타나는 것을 보면서 우리나라도 언젠가는 미국처럼 일부다처제를 허용하는 법이 통과 될 것으로 예측해본다.
지금까지 일부다처제의 기원, 사례, 특징 등을 통해 일부다처제의 장점과 단점들을 살펴보았다. 여기서 다시 한 번 생각해보자. 일부다처제가 저출산 문제를 해결하는데 도움을 줄 것인가? 일부다처제가 일시적으로 출산율을 높여주는 데 기여는 하겠지만 자본주의처럼 부익부 빈익빈 문제가 발생하여 여자를 하나의 자본으로 인식하는 사회가 될 우려가 있다. 일부다처제가 저출산의 해결방안이라는 생각은 저출산의 원인은 생각하지 않고 출산율을 높이려는 방법만 고려했을 때 나오는 해결방안이라고 생각한다. 저출산은 출산율은 낮은 것에만 있는 것이 아니라 경제적인 문제, 가치관의 문제도 함께 포함되어 있다. 그렇다면 저출산의 해결방안은 단순히 출산율을 높이는 방법만 강구하는 것이 아니라 그 원인을 재조명하여 하나 둘씩 그 원인들을 줄여나가야 사회적 부작용 없이 저출산 문제가 해결 되지 않을까?
< 참고 자료 출처 >
≪ Web site ≫
-http://kin.naver.com/qna/detail.nhn?d1id=6&dirId=613&docId=101588085&qb=7J2867aA64uk7LKY7KCcIOyepeygkA==&enc=utf8§ion=kin&rank=1&search_sort=0&spq=0&pid=ScLSTloRR0GssbWPnqVsssssstV-274639&sid=VHNVVAoUU1kAAF10OEY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4&oid=001&aid=0001087497
-http://www.yonhapnews.co.kr/photos/1991000000.html?cid=GYH20140616000600044&from=search
-http://happylog.naver.com/youth1/post/PostView.nhn?bbsSeq=31100&artclNo=123456915250
-http://blog.naver.com/susukkaekki?Redirect=Log&logNo=220089270925
-http://news.chosun.com/site/data/html_dir/2008/08/25/2008082501879.html
≪ 책 ≫
-브리태니커 백과사전
≪ 논문 ≫
-소윤정. 2002, 꾸란의 일부다처제에 관한 비판적 고찰. 아세아연합신학대학 학위논문
-김희강. 2008. 일부다처제는 가부장적인가. 경희대학교 인류사회재건연구원
-홍소연, 2008. 여성결혼이주자 지원정책에 관한 연구. 계명대학교 정책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 가격2,200
  • 페이지수11페이지
  • 등록일2015.07.15
  • 저작시기2015.7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97693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