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형태주의(Gestalt)
1. 형태주의
2. 지각적 조직
1) 근접성
2) 유사성
3) 대칭성
4) 폐쇄성
5) 연속성
3. 전경과 배경
4. 맥락효과
Ⅱ. 통찰
1. 통찰설
1) 쾰러의 실험
2) 통찰
3) 통찰에 필요한 조건
2. 통찰학습의 특징
1. 형태주의
2. 지각적 조직
1) 근접성
2) 유사성
3) 대칭성
4) 폐쇄성
5) 연속성
3. 전경과 배경
4. 맥락효과
Ⅱ. 통찰
1. 통찰설
1) 쾰러의 실험
2) 통찰
3) 통찰에 필요한 조건
2. 통찰학습의 특징
본문내용
이 우수한 침팬지 술탄이 우리 속에 앉아 있다. 우리 밖에는 술탄이 좋아하는 과일 바구니가 있다. 술탄은 과일 바구니를 가져와 먹기를 원한다. 하지만 손이 닿질 앉아 먹지를 못하는 상황이다. 다음은 술탄이 과일을 가져오는 방법을 깨우치는 과정이다.
(짧은 막대 이용, 짧아서 실패) → (철사 이용, 실패) → (우두커니 바라봄) → (짧은 막대를 이용, 우리 밖의 긴 막대 획득) → (긴 막대 이용, 과일 바구니 획득)
(2) 천장에 달린 바나나 먹기
이번에는 우리 속에 나무 상자가 있고 천장에는 바나나가 달려 있다. 술탄은 바나나를 먹고 싶어한다. 다음은 술탄이 천장에 달린 바나나를 얻는 과정이다.
(단순한 점프 시도, 실패) → (바나나, 상자, 막대기 등 단서 응시) → (나무상자를 바나나가 위치한 밑에 옮기고 상자를 밟고 올라가 바나나 획득)
쾰러는 바나나를 더 높이 매달아 놓고 상자를 흩어놓아 실험을 반복했다. 술탄의 문제 해결 과정의 공통점을 다시 표현하면 아래와 같다.
(최초 주위 살핌) → (시도) → (실패) → (시도 중단) → (우리 안의 여러 단서 응시) → (통찰, 깨달음) → (문제 해결)
2) 통찰
통찰 : 자극 간의 관계를 발견하는 능력
통찰이론에서 학습이란 학습장면에 있는 자극적 요소의 전체적인 관계를 발견하는 것을 의미한다. 쏜다이크의 시행착오과정과는 다르게, 통찰은 점진적이지 않으며 한순간에 일어난다.
시행착오과정
통찰
점진적
찰나
행동적 시행착오
인지적 시행착오
자극과 반응의 반복적인 결합과정
상황에 있는 요소 간의 관계 발견
행동시연이 있어야 행동이 유지, 강화
장기간 유지, 쉽게 재연
3) 통찰에 필요한 조건
통찰은 자극의 전체적인 관계를 파악할 수 있는 인지능력이 있을 때 가능하다. 즉, 지적 능력이 충분해야 하고, 상황에 걸맞는 지식을 갖추고 있어야 한다.
예를들면, 술탄은 나무상자에 올라가면 키가 커진다는 것을 알고 있었고, 막대를 집어서 휘두르면 물체를 당겨오거나 쳐낼 수 있다는 사실도 알고 있었다.
6. 통찰학습의 특징
- 통찰을 통한 문제 해결은 문제 상황에 배열된 요소를 전체적으로 지각하고 그 요소 간의 관계를 파악함으로써 가능하다. 특히 해결의 핵심이 되는 요소를 지각하는 것이 중요하다.
- 통찰을 통해 해결한 방법은 반복적으로 연습하지 않아도 오래 유지되고 쉽게 재연된다.
- 통찰은 어떤 특수한 상황에만 적용되는 문제 해결능력을 의미하지 않는다.
(짧은 막대 이용, 짧아서 실패) → (철사 이용, 실패) → (우두커니 바라봄) → (짧은 막대를 이용, 우리 밖의 긴 막대 획득) → (긴 막대 이용, 과일 바구니 획득)
(2) 천장에 달린 바나나 먹기
이번에는 우리 속에 나무 상자가 있고 천장에는 바나나가 달려 있다. 술탄은 바나나를 먹고 싶어한다. 다음은 술탄이 천장에 달린 바나나를 얻는 과정이다.
(단순한 점프 시도, 실패) → (바나나, 상자, 막대기 등 단서 응시) → (나무상자를 바나나가 위치한 밑에 옮기고 상자를 밟고 올라가 바나나 획득)
쾰러는 바나나를 더 높이 매달아 놓고 상자를 흩어놓아 실험을 반복했다. 술탄의 문제 해결 과정의 공통점을 다시 표현하면 아래와 같다.
(최초 주위 살핌) → (시도) → (실패) → (시도 중단) → (우리 안의 여러 단서 응시) → (통찰, 깨달음) → (문제 해결)
2) 통찰
통찰 : 자극 간의 관계를 발견하는 능력
통찰이론에서 학습이란 학습장면에 있는 자극적 요소의 전체적인 관계를 발견하는 것을 의미한다. 쏜다이크의 시행착오과정과는 다르게, 통찰은 점진적이지 않으며 한순간에 일어난다.
시행착오과정
통찰
점진적
찰나
행동적 시행착오
인지적 시행착오
자극과 반응의 반복적인 결합과정
상황에 있는 요소 간의 관계 발견
행동시연이 있어야 행동이 유지, 강화
장기간 유지, 쉽게 재연
3) 통찰에 필요한 조건
통찰은 자극의 전체적인 관계를 파악할 수 있는 인지능력이 있을 때 가능하다. 즉, 지적 능력이 충분해야 하고, 상황에 걸맞는 지식을 갖추고 있어야 한다.
예를들면, 술탄은 나무상자에 올라가면 키가 커진다는 것을 알고 있었고, 막대를 집어서 휘두르면 물체를 당겨오거나 쳐낼 수 있다는 사실도 알고 있었다.
6. 통찰학습의 특징
- 통찰을 통한 문제 해결은 문제 상황에 배열된 요소를 전체적으로 지각하고 그 요소 간의 관계를 파악함으로써 가능하다. 특히 해결의 핵심이 되는 요소를 지각하는 것이 중요하다.
- 통찰을 통해 해결한 방법은 반복적으로 연습하지 않아도 오래 유지되고 쉽게 재연된다.
- 통찰은 어떤 특수한 상황에만 적용되는 문제 해결능력을 의미하지 않는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