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Purpose
Introduction
Meterials
Method
Result
Discussion
Summary
Reference
Introduction
Meterials
Method
Result
Discussion
Summary
Reference
본문내용
5
그래프로 나타내면
②Methyl orange
시험관 번호
Methyl ornage(mL)
증류수(mL)
Methyl ornage 농도(ug/mL)
흡광도
1
1
4
2
0.811
2
2
3
4
1.523
3
3
2
6
1.994
4
4
1
8
2.096
5
5
0
10
2.154
그래프로 나타내면
Discussion
파장을 바꿀 때마다 큐벳에 증류수를 넣고 흡광도를 0으로 맞추는 것에 유의하고, 큐벳을 잡을 때 손의 얼룩이 묻지 않도록 모서지를 잡는다. 얼룩이 묻을 경우 투과도에 문제가 생기기 때문이다. 이점에 유의하여 실험을 하였다. 위 Introduction에서 언급했듯이 보이는 색 기준으로 blue-green색, orange색을 각각 잘 나타낼 수 있는 파장의 범위에서 흡광도를 측정했다.
첫 번째 실험에서 Bromophenol blue의 흡광도의 최댓값은 0.994이다. 이는 590nm일 때 가장 많이 흡수한다. 위 그래프를 보면 같은 농도의 시약이지만 파장이 증가할수록 흡광도도 증가한다. 이는 파장이 높을수록 흡수하는 양이 많아짐을 의미한다. Methyl orange도 510nm일 때 흡광도가 2.154로 흡수하는 양이 가장 많음을 알 수 있다. 그러나 위 그래프에서 점점 증가하는 추세를 보이다가 530nm에서 다시 낮아졌다가 높아졌다. 분광광도계는 진동에 예민한데, 흡광도를 측정할 때 모든 조원들이 옹기종기 모여 있어 주변의 영향을 받아서 진동에 영향을 줬을 수도 있다. 이렇게 흡광도를 측정하여 최대의 흡광도와 시료의 농도와 빛이 시료를 투과하는 길이를 이용하여 흡광계수를 구할 수 있었다.
이렇게 최대 흡수를 나타내는 파장에서 두 번째 실험을 실시했다. 두 시료 모두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흡광도도 증가하는 결과를 보여주었다. 농도가 증가할수록 흡수하는 양은 많기 때문에 흡광도는 높으며 투과광은 낮다. 위 그래프에서 농도가 증가할수록 흡광도의 차이가 적어지는데, 이는 시료용액의 농도가 너무 높을 때 색을 나타내는 발색시약이 충분하지 않으므로, 이런 경우에는 시료농도와 흡광도가 비례하지 않아 정량분석 시 오차의 원인이 될 수 있다. 또한 Bromophenol blue를 측정할 때 시험관 5의 흡광도와 첫 번째 실험의 파장 590nm에서 측정했을 때의 두 조건이 동일하므로 흡광도가 같아야하는데 값이 다르다. 같은 시료를 그대로 사용했는데도 불구하고 값이 달랐으므로 분광광도계에 이상이 있었던 것 같다. 각각 시료는 특정 파장에 따라 흡수하는 양이 다르다. 특정 파장 범위 내에서 잰 이유도 빛에 따라 흡광도가 가장 잘 나타날 수 있는 범위가 있기 때문이다.
Summary
시료의 농도가 같을 때 파장이 높아질수록 흡광도가 높아지며 최대 흡수의 파장에 도달하면 다시 낮아진다.
최대 흡수의 파장에서는 시료의 농도가 높아질수록 흡광도가 높아진다.
Homework
Reference
강의자료 참고
박병빈 외 7인, 『일반화학실험』, 자유아카데미, 2007, 205~206쪽
화학교재연구회, 『일반화학실험』, 사이플러스, 2010, 146쪽
그래프로 나타내면
②Methyl orange
시험관 번호
Methyl ornage(mL)
증류수(mL)
Methyl ornage 농도(ug/mL)
흡광도
1
1
4
2
0.811
2
2
3
4
1.523
3
3
2
6
1.994
4
4
1
8
2.096
5
5
0
10
2.154
그래프로 나타내면
Discussion
파장을 바꿀 때마다 큐벳에 증류수를 넣고 흡광도를 0으로 맞추는 것에 유의하고, 큐벳을 잡을 때 손의 얼룩이 묻지 않도록 모서지를 잡는다. 얼룩이 묻을 경우 투과도에 문제가 생기기 때문이다. 이점에 유의하여 실험을 하였다. 위 Introduction에서 언급했듯이 보이는 색 기준으로 blue-green색, orange색을 각각 잘 나타낼 수 있는 파장의 범위에서 흡광도를 측정했다.
첫 번째 실험에서 Bromophenol blue의 흡광도의 최댓값은 0.994이다. 이는 590nm일 때 가장 많이 흡수한다. 위 그래프를 보면 같은 농도의 시약이지만 파장이 증가할수록 흡광도도 증가한다. 이는 파장이 높을수록 흡수하는 양이 많아짐을 의미한다. Methyl orange도 510nm일 때 흡광도가 2.154로 흡수하는 양이 가장 많음을 알 수 있다. 그러나 위 그래프에서 점점 증가하는 추세를 보이다가 530nm에서 다시 낮아졌다가 높아졌다. 분광광도계는 진동에 예민한데, 흡광도를 측정할 때 모든 조원들이 옹기종기 모여 있어 주변의 영향을 받아서 진동에 영향을 줬을 수도 있다. 이렇게 흡광도를 측정하여 최대의 흡광도와 시료의 농도와 빛이 시료를 투과하는 길이를 이용하여 흡광계수를 구할 수 있었다.
이렇게 최대 흡수를 나타내는 파장에서 두 번째 실험을 실시했다. 두 시료 모두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흡광도도 증가하는 결과를 보여주었다. 농도가 증가할수록 흡수하는 양은 많기 때문에 흡광도는 높으며 투과광은 낮다. 위 그래프에서 농도가 증가할수록 흡광도의 차이가 적어지는데, 이는 시료용액의 농도가 너무 높을 때 색을 나타내는 발색시약이 충분하지 않으므로, 이런 경우에는 시료농도와 흡광도가 비례하지 않아 정량분석 시 오차의 원인이 될 수 있다. 또한 Bromophenol blue를 측정할 때 시험관 5의 흡광도와 첫 번째 실험의 파장 590nm에서 측정했을 때의 두 조건이 동일하므로 흡광도가 같아야하는데 값이 다르다. 같은 시료를 그대로 사용했는데도 불구하고 값이 달랐으므로 분광광도계에 이상이 있었던 것 같다. 각각 시료는 특정 파장에 따라 흡수하는 양이 다르다. 특정 파장 범위 내에서 잰 이유도 빛에 따라 흡광도가 가장 잘 나타날 수 있는 범위가 있기 때문이다.
Summary
시료의 농도가 같을 때 파장이 높아질수록 흡광도가 높아지며 최대 흡수의 파장에 도달하면 다시 낮아진다.
최대 흡수의 파장에서는 시료의 농도가 높아질수록 흡광도가 높아진다.
Homework
Reference
강의자료 참고
박병빈 외 7인, 『일반화학실험』, 자유아카데미, 2007, 205~206쪽
화학교재연구회, 『일반화학실험』, 사이플러스, 2010, 146쪽
추천자료
단백질 정량실험 spectrophotometer의 원리와 그를 이용한 시료농도 측정 실험
NMR(핵자기 공명 분광학)
핵자기공명 분광법
[공학]DNA의 농도 및 순도의 측정과 재생 및 변성 - 예비,결과보고서
흡광도측정(예비+결과보고서)
흡광도측정(예비+결과보고서)
[기초화학실험]분광 광도법에 의한 Co(NO3)2・6H2O의 농도 결정
원자흡수분광기(AAS) 실험(예비+결과)
자외선분광기(UV) 실험(결과)
분광광도 측정을 통한 분자량 측정
유기화학 - IR (적외선 분광법 ); Acetanilide, 카페인
화학공학실험 - 분광광도법에 의한 철의 정량(UV 측정 실험)
분광기 결과보고서
천문학 및 천체물리학 ; 별의 스펙트럼을 그래프로 그려서 발머계열을 나타내야 한다. 이 과...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