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1.체육과 교육과정 정리 [전공체육 임용준비 교과교육학 체육과 교육과정]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01.체육과 교육과정 정리 [전공체육 임용준비 교과교육학 체육과 교육과정]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우리나라 체육과 교육과정의 변천
2. 제7차 체육과 교육과정
3. 개정 체육과 교육과정

본문내용

계획
내용 영역별 지도
개인차를 교려한 수준별 수업
통합적 교수학습 활동
창의적인 교수학습 방법의 선정과 활용
교육과정 운영 계획
교수학습 운영 계획
교수학습 활동 계획
건강 활동
도전 활동
경쟁 활동
표현 활동
여가 활동
평가
자율성과 책무성 강화 : 평가 종목 수와 비율 삭제
평가
평가의 방향
평가의 계획
내용 영역별 평가
교육과정과의 연계성
평가내용의 균형성
평가방법 및 평가도구의 다양성
실기 평가의 타당성
교육과정 평가 계획
교수학습 평가 계획
내용 영역별 평가 내용
내용 영역별 평가 방법
1. 평가의 방향
교육과정과의 연계성
평가 내용의 균형성
평가 방법과 도구의 다양성
실기 평가와 수행 평가의 차별성
2. 평가의 계획 - 평가계획을 구체적으로 수립
⇒ 평가내용, 기준, 방법, 도구 등을 마련
3. 내용 영역별 평가
건강, 도전, 경쟁, 표현, 여가
체육과 교육과정 용어
감상(appreciation): 신체 활동 수행 동작의 심미성, 과학성, 예술성 등을 이해하고 분석하며 비평하는 행위
개인 스포츠(individual sport): 팀이 아닌 개인 혼자 수행하는 스포츠를 의미하는 것으로, 육상, 체조, 수영, 씨름, 태권도, 배드민턴, 탁구, 테니스, 골프 등이 포함됨
개인차(individual difference): 신체 활동을 이해하고 수행하는데 영향을 미치는 학습자의 운동 기능, 성(性), 체력, 체격, 흥미 등의 차이
건강 체력(health-related physical fitness): 건강을 증진하고 신체 활동을 효율적으로 수행하는데 필요한 체력의 종류로, 심폐 지구력, 근력, 근지구력, 유연성, 신체 조성 등의 체력 요소가 포함됨
건강 활동(healthy activity): 개인 및 지역 사회의 건강 증진을 위해 체력, 보건, 안전 등에 관한 지식을 종합적으로 탐구하고 실생활에서 적용하며 실천하는 활동
게임(또는 경기) 전략(game strategy): 개인이나 팀의 상대편을 이기기 위해 게임(또는 경기)의 전반적 진행에 대해 내리는 결정 사항으로, 다양한 전술을 포함한 전반적인 공격 및 수비 계획을 수립하는 것
게임(또는 경기) 전술(game tactics): 게임(또는 경기) 중 즉각적인 목표를 수행하거나 특정 상황을 타개하기 위한 선수나 팀의 개별적 행동. 전술은 게임(또는 경기) 진행의 일부분으로써 게임(또는 경기) 중에 나타나며, 특정 상황에 언제, 왜, 어떻게 대응해야 하는지에 대해 개인이 내리는 결정을 포함함
경기 문화(game culture): 승패를 가리기 위한 경쟁적 게임 활동이 지니고 있는 독자적인 형식이나 규범 체계, 가치관뿐만 아니라, 경기와 관련된 의식, 용ㆍ기구, 복장 등의 총체적 생활양식을 일컬음
경기 수행 능력: 실제 게임 또는 경기 상황에서 계획한 대로 특정 기술과 전술을 수행할 수 있는 능력
경기(match, contest, game, competition): 운동이나 무예 등의 기술ㆍ능력을 겨루어 승부를 가리는 일
경쟁 활동: 게임 또는 스포츠 경기 상황에서 이기기 위하여 서로의 전략과 전술 등을 겨루는 신체 활동으로, 팀원간의 협동심과 리더십, 스포츠맨십 등의 사회적 덕목을 중시함
기록 도전: 자신이나 타인이 수립한 기록에 도전하는 것으로 개인적인 노력을 통해 최상의 운동 수행 능력을 추구하는 신체 활동으로, 도전하는 기록의 유형에 따라 거리(distance) 도전과 속도(speed) 도전으로 구분됨
기본 기능(fundamental skill): 기초적이고 구체적인 움직임 기술을 신체 활동 수행이나 경기 중의 특정 상황에 맞도록 효율적으로 발휘할 수 있는 능력으로, 집중력과 같은 정신적 요인도 포함됨(예 : 던지기 → 기초 기술, 야구 경기 중 오버 헤드 스로 → 야구의 기본 기능)
기능 평가(skill test): 운동 또는 스포츠, 무용 등의 특정 기술 또는 테크닉 등에 대한 평가
네트형 경쟁: 네트(net)를 사이에 두고 상호 경쟁하는 신체 활동으로, 상대팀과의 신체적 접촉이 없으며 팀 구성원간의 협동심, 팀워크, 게임 운영의 전략과 전술이 승패에 영향을 주는 활동임
뉴스포츠(new sports): 국제적으로 규격이 통일된 기존의 스포츠와는 달리 규칙의 유연성과 게임의 간이성 등을 가진 참여 지향의 새로운 형태의 스포츠 활동
능력(competency): 특정 과제의 요구 사항을 수행하는데 발현되는 지식, 기능, 소양 등을 총체적으로 일컬음
단체 스포츠(team sport): 개인 혼자가 아닌 팀 단위로 수행되는 스포츠를 의미하는 것으로, 축구, 농구, 배구, 핸드볼, 야구, 럭비 등이 포함됨
도전 활동(challenge activity): 최고 기록, 동작의 정확성, 동작의 아름다움 등과 같은 절대 기준이나 목표에 도전하거나 상대방의 기량에 도전하는 활동. 이 활동은 개인의 목표를 설정하고 체계적으로 그것을 성취하기 위해 노력하는 끊임없는 자기 수련의 과정이 강조되는 활동으로, 극기와 적극성, 자기 조절, 용기 등의 덕목이 중시
동작 도전(form challenge): 기구를 이용하거나 맨손으로 표현할 수 있는 가장 정확하고 아름다운 동작에 도전하는 활동. 신체가 이루어낼 수 있는 최고의 형식을 추구함
리듬 표현: 신체 활동에 나타나는 다양한 신체 리듬의 요소 또는 유형 등을 움직임으로 표현하는 활동
수준별 수업: 학습자의 개인차를 고려하여 개인 또는 모둠의 학습 내용 또는 학습 활동을 다양한 유형과 단계로 제시하는 수업 형태
수행 평가(performance assessment): 학습 결과 또는 표준화된 검사 등을 강조하는 전통적 평가의 대안적인 평가 방법 중의 하나로, 학습의 과정과 실제성(authenticity), 종합 능력 등을 강조하는 평가임. 따라서 1회성 평가보다는 다수의 측정과 평가 활동이 수반되며 인위적인 상황보다는 실제 상황(natural setting)에서 평가가 주로 이루어짐. 이런 맥락에서 볼 때 체육과에서 주로 이루어지는 실기 평가는 전통적 평가일 수도 있고, 수행 평가일 수도 있음
  • 가격1,000
  • 페이지수11페이지
  • 등록일2015.08.14
  • 저작시기2013.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97883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