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초조형(造形)의 원리와 요소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기초조형(造形)의 원리와 요소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 조형이란 무엇인가

■ 조형의 요소와 원리
가. 조형의 요소와 원리의 이해
나. 조형요소
다. 조형원리

본문내용

로 이동해서 생기는 형태
· 확대대칭 : 도형이 일정한 비율로 확대되는 형태를 확대대칭이라고 한다.
▣ 대칭의 밸런스
상황에 따라 그 대응에도 폭이 있고 연구방법에 다라서 좋은 밸런스를 얻게 되었다고 한다면 동적이고 가능성 있는 공간표출을 할 수가 있다.
6) 대비(contrast)
- 대비는 단위 형, 즉 형태나 색채 같은 요소에다 대비를 줌으로써 변화를 일으키게 하는 원리이다. 또한 의도하는 모티브의 주류와 보조를 대조시켜줌으로써 전체적으로 그 종속관계의 통일을 작게 하는 소극적인 면도 가지고 있다. 대비는 성질 혹은 분량을 달리하는 두 가지 이상의 것이 공간적으로 또는 시간적으로 접근할 때 일어나는 현상으로 그것은 상호가 상대편의 방사성질에 의하여 자기가 가진 특성이 명확하게 강조되기 때문에 쌍방의 차이가 한층 현저해지고 변화 있는 강한 자극을 전체적 효과로서 나타내게 된다. 무채색의 백은 대비의 본보기 중의 하나이다.
▣ 대비의 요소
① 직선과 곡선
② 명(明)과 암(暗)
③ 난(暖)과 한(寒)
④ 수평과 수직
⑤ 대와 소
⑥ 장과 단
⑦ 고와 저
⑧ 강과 약
⑨ 중(重)과 경(輕)
⑩ 청(淸)과 탁(濁)
⑪ 예(銳)와 둔(鈍)
⑫ 개(開)와 폐(閉)
⑬ 동적(動的)과 정적(靜的)
7) 율동(rhythm)
- 율동은 통일성을 전제로 한 동적 변화라는 원리이다. 각 요소들의 강약이나 단위의 장단이 주기성이나 규칙성을 가지면서 연속되어지는 운동을 말한다. 리듬은 반복되는 액센트(accent), 순환하는 강약, 시각적 자극과 자극간의 간격이라고 할 수 있으며 리듬에는 일종의 질서와 분위기가 조성되어 나가야한다. 정적인 것과 동적인 율동은 이러한 규칙과 요구에 따라 이루어지며 리듬의 시각적인 자극은 하나하나의 크기, 형태, 색채, 구성 에 대하여 통일되기는 어려우나 공통으로 느낄 수 있는 시각 특징을 가질 때에도 발생된다. 구성에서 율동이 없을 때는 부드러운 질서와 운동감을 느끼지 못하게 되며 화면이 딱딱하고, 어색한 느낌을 준다.
8) 점층(gradation)
그라데이션이나 점이라고도 하며 조화적인 단계에 의하여 일정한 질서를 가진 자연적인 순서와 계열로서 기본적으로 유사한 일련의 흐름을 나타내는 것이다. 그라데이션의 조형적 효과는 무엇보다 원근의 효과를 내는 시각적 요소라고 할 수 있다. 이런 점은 자연의 현상에서 찾아 볼 수 있는데 물의 파문이라든가 규칙적인 변화와 밤과 낮의 되풀이 등도 일종의 시각적 혹은 정신적인 그라데이션으로 지각할 수 있다.있으며, 경쾌한 리듬감을 준다.
9) 강조(emphasis, accent)
- 강조란 어떤 주변조건에 따라 특정한 부분을 강조하게 하여 변화를 주는 요소이다. 이것은 전체적 통일감을 얻기 위한 부분적이고 소극적인 방법이지만 때에 따라서 가장 강한 통일감을 나타낼 수도 있다. 즉 모티브의 주제를 어디에 두는가에 따라 강조를 재확인시켜 주거나 강조하고자 할 때 쓰이는 원리이다. 강조의 방법으로는 그 부분만 검게 하든지, 희게 하든지, 주목성과 명시도가 높은 색을 사용하는 등 여러 가지가 있다.
10) 긴장(strain, tension)
- 점, 선, 면 또는 색채 등이 두 개 이상 배치되면 그들은 서로 긴장성을 가지고 관련을 갖게 된다. 정사각형이나 도형의 중심에 한 개의 점을 두면 점은 면 과 일체가 되어 더욱 강력한 통일감을 표시하며, 긴장감은 상하좌우 균등하게 세력을 차지하므로 정지적인 표정이 된다. 그러나 점이 면의 중심 이외에 위치하면 중심에서 점을 연결 하는 직선방향, 즉 구심 쪽으로 긴장감이 이동하므로 전체로서는 활동적인 감각을 준다. 이러한 경우 점의 크기, 면, 형, 색 등도 긴장감의 영향력에 비례하는 것은 물론이다. 직선에는 두 개의 긴장이 있다. 선의 긴장은 그 선의 방향에 의해 움직인다. 수직선의 하부가 수평선 에 의하여 정 당하였을 때에는 그 이상 진출하지 못하고 만다. 각의 긴장은 그 각도의 대 소 및 각을 형성하는 두 직선의 장단의 차이로도 강약과 방향을 다르게 할 수 있다.
11) 착시(optical illusions)
- 착시란 눈의 생리적 작용에 의하여 일어나는 시각적인 착각 을 말한다. 이것은 하나의 형에서 그 형을 만드는 선이 다른 선의 간섭을 받을 경우에 일어나 는 현상이고 이러한 착각은 여러 가지 현상에서 나타나는데 길이의 착각, 넓이의 착각, 위치 의 착각, 속도의 착각 등으로 표현할 수 있다.
12) 변형(deformation)
- 여러 가지 형의 느낌을 더욱 강하게 나타내기 위해서 주제의 특성을 간결하게 변형하여 표현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우리는 자연의 형(과장), 창조에 의한 형(추상)으로 구분해서 볼 수 있다. 사실과 과장된 형을 구상형이라 할 수 있으며 추상 형을 비구상형이라고 할 수 있다.
13) 동세(movement)
- 동세는 운동, 변화, 활기, 동작, 동감, 이동 등을 말한다. 즉 인물이 나 동물의 움직임의 표현에서부터 작가의 감동, 감정의 움직임을 색채, 형, 필체를 통하여 외적으로 나타내는 것이다. 동세를 나타내기 위해서는 방향, 각도, 잔상 그리고 거리나 특징적인 요소를 강조하거나 과장하여 표현하여야 한다.
14) 반복(repetition)
- 일정한 간격을 두고 되풀이되는 것을 반복이라 한다. 단순한 반복은 단조롭게 용이하지만 시각적 반복의 변화를 가진 연속적인 리듬을 되풀이할 경우에는 매력적인 리듬이 되며 이러한 복잡한 연속리듬에 의한 반복을 교차라고 한다. 같은 형이나 색 등이 화면에서 균형 적으로 반복되었을 때 통일감과 안정감을 느낄 수 있지만 반복이지나칠 경우에는 흥미가 없어지고 지루하거나 싫증이 나게 된다. 어떤 디자인에서 우리가 동일형태를 1회 이상 사용할 때, 우리는 그것을 반복한 셈이 된다. 반복이야말로 디자인하는 데 가장 단순한 방법이다. 건축물의 기둥과 창문, 가구의 다리, 직물의 무늬, 복도의 바닥에 깔린 타일 등은 반복의 좋은 예이다. 단위형태가 큰 것이 적은 숫자로 사용될 때 단조롭고 대담하게 보이며, 단위형태가 작은 것이 많은 숫자로 쓰일 때, 그 디자인은 미세한 요소들로 구성된 획일적인 질감의 일부분처럼 보인다.
  • 가격6,300
  • 페이지수10페이지
  • 등록일2015.08.18
  • 저작시기2015.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97918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