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의 중화학공업화 정책>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한국의 중화학공업화 정책>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및 주변기기, 집적회로(IC), 자기테이프로 바뀌었고, 따라서 산업용 전자기기 생산이 전체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70년의 11 %에서 1988년은 19 %로 제고되면서 전자산업의 구조고도화가 점진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다.이와 같은 고도성장의 결과 전자산업수출이 총수출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70년의 6.6 %에서 1988년의 25 %로 제고되면서 국내 제1의 수출산업이 되었다. 생산면에서도 제조업 전체 생산액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1970년의 3.2 %에서 1988년의 17.7 %로 증가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고도성장에도 불구하고 최근 국제수지의 흑자에 따른 급속한 원화평가절상과 수입자유화의 대폭적인 확대, 선진국의 기술보호주의, 노사분규와 임금상승, 외국인 직접투자의 자유화 등 국내외 경제환경의 변화로 인하여 기존 성장품목에 바탕을 둔 성장전략이 한계에 부딪히면서 전자산업은 구조조정을 위한 전환기에 놓이게 되었다.
하지만 이러한 성과의 이면에는 급속한 중화학 공업 추진에 따른 문제점들도 누적되었다.
①자원배분의 왜곡
→ 중화학 공업의 성장을 위한 각종 특혜를 노린 대기업들 간의 과잉경쟁으로 인해 막대한 중복 및 과잉 투자가 이루어졌다는 점
②국내 산업 연관 효과가 극히 적었다는 점
→ 중화학 공업의 본래 목적은 전, 후방 산업 연관 효과가 큰 산업을 중점 육성함으로써 국민경제의 자립적 순환구조를 만든다는 것이었지만 정부가 투자한 업종위주로만 성장하게 되었다.
결국 한국의 중화학 공업화가 국내 분업 체계가 아니라 국제 분업 체계와의 연관에서 추진되었기 때문에 일부 수출 산업 중심으로 편중되고 말았음을 의미한다.
  • 가격6,300
  • 페이지수5페이지
  • 등록일2015.08.27
  • 저작시기2014.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97977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