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사회문제와 사회복지학
2. 욕구와 사회복지학
1) 욕구의 의미
2) 욕구의 분류
(1) 인간욕구
(2) 기본욕구
(3) 사회욕구
3) 욕구인식의 기준에 따른 분류
참고문헌
2. 욕구와 사회복지학
1) 욕구의 의미
2) 욕구의 분류
(1) 인간욕구
(2) 기본욕구
(3) 사회욕구
3) 욕구인식의 기준에 따른 분류
참고문헌
본문내용
활을 해서는 안 된다는 일종의 규범적 선언이 포함되어 있다고 할 수 있다.
(3) 사회욕구
여러 사회위험 때문에 개인의 기본욕구를 충족시키지 못하는 사회구성원의 수가 상당히 많게 될 때 이들이 처해 있는 사회위험에서 탈피하려는 집단적 욕구가 바로 사회욕구이다. 특정의 구체적 욕구가 사회욕구로 규정될 수 있는가, 없는가에 관한 결정은 궁극적으로는 특정 사회의 정치, 경제, 사회, 문화적 특성과 시대적 변천, 개인의 가치판단에 따라 차이가 날 수 있다. 하지만 사회욕구는 두 가지 중요한 의미를 가진다. 첫째, 그것의 해결방법은 사회적이고 공통적이라는 의미이다. 둘째, 욕구해결의 주동기가 이윤의 추구가 되어서는 안 된다는 것이다(김상균, 1987).
따라서 다양한 인간욕구 중에서 기본욕구로 일차 제한을 가한 뒤, 사회복지의 개념으로 이차 제한을 가한 결과가 최종 개념으로서의 사회욕구가 된다고 하겠다. 예를 들면, 하비(D. Harvey)는 음식, 주택, 의료, 교육, 사회 및 환경, 소비재, 레크리에이션, 이웃분위기, 그리고 대중교통 등과 같은 아홉 가지 영역에 관한 욕구를 사회욕구로 제시한 바 있다(남세진, 조흥식, 1995).
3) 욕구인식의 기준에 따른 분류
브래드쇼(Bradshaw, 1972)는 욕구 인식의 기준에 따라 욕구를 규범적 욕구(normative need), 감지적 욕구(felt need), 표현적 욕구(expressed need), 비교적 욕구(comparative need) 등 네 가지로 정의하고 있다.
첫째, 규범적 욕구는 전문가, 행정가, 사회과학자들이 욕구의 상태를 규정하는 것으로, 미리 바람직한 욕구충족의 수준을 정해 놓고 이 수준과 실제 상태와의 차이에 따라 욕구의 정도를 규정하든가 혹은 최고의 욕구 수준을 정해 놓고 실제 상태와의 차이에 의하여 욕구의 정도를 규정하는 것이다.
둘째, 감지적 욕구는 욕구상태에 있는 당사자의 느낌에 의해 인식되는 것인데, 이것은 어떤 욕구상태에 있는지 흑은 어떤 서비스가 필요한지를 물어서 파악하는 욕구이다. 따라서 이것은실제적 욕구측정이 되지 못하고 개인의 인식 정도에 의해 달라질 수 있다.
셋째, 표현적 욕구는 감지적 욕구가 실제의 욕구충족 추구행위로 나타난 것이며, 수요(demand)라고도 할 수 있다. 이것은 의료 및 보건의 욕구파악에 많이 이용되며 서비스를 실제로 받기 원하는 사람의 수로 파악된다.
넷째, 비교적 욕구는 어떤 서비스를 받고 있는 사람들과 비슷한 특성을 갖고 있으면서도 서비스를 받지 않고 있는 사람들을 욕구상태에 있는 것으로 규정하는 것을 말한다.
이와 같은 네 가지의 욕구는 각각 다른 인식기준에 따라 정의한 것이므로 서로 일치하지 않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이에 대한각각의 정확한 욕구측정이 필히 요구된다.
참고문헌
권중동 저, 인간행동과 사회복지실천(이론과 적용), 학지사 2014
유수현, 김창곤 외 저, 인간행동과 사회환경, 양서원 2015
손병덕, 성문주 외 저, 인간행동과 사회환경, 학지사 2014
이근홍 저, 인간행동과 사회환경, 공동체 2015
(3) 사회욕구
여러 사회위험 때문에 개인의 기본욕구를 충족시키지 못하는 사회구성원의 수가 상당히 많게 될 때 이들이 처해 있는 사회위험에서 탈피하려는 집단적 욕구가 바로 사회욕구이다. 특정의 구체적 욕구가 사회욕구로 규정될 수 있는가, 없는가에 관한 결정은 궁극적으로는 특정 사회의 정치, 경제, 사회, 문화적 특성과 시대적 변천, 개인의 가치판단에 따라 차이가 날 수 있다. 하지만 사회욕구는 두 가지 중요한 의미를 가진다. 첫째, 그것의 해결방법은 사회적이고 공통적이라는 의미이다. 둘째, 욕구해결의 주동기가 이윤의 추구가 되어서는 안 된다는 것이다(김상균, 1987).
따라서 다양한 인간욕구 중에서 기본욕구로 일차 제한을 가한 뒤, 사회복지의 개념으로 이차 제한을 가한 결과가 최종 개념으로서의 사회욕구가 된다고 하겠다. 예를 들면, 하비(D. Harvey)는 음식, 주택, 의료, 교육, 사회 및 환경, 소비재, 레크리에이션, 이웃분위기, 그리고 대중교통 등과 같은 아홉 가지 영역에 관한 욕구를 사회욕구로 제시한 바 있다(남세진, 조흥식, 1995).
3) 욕구인식의 기준에 따른 분류
브래드쇼(Bradshaw, 1972)는 욕구 인식의 기준에 따라 욕구를 규범적 욕구(normative need), 감지적 욕구(felt need), 표현적 욕구(expressed need), 비교적 욕구(comparative need) 등 네 가지로 정의하고 있다.
첫째, 규범적 욕구는 전문가, 행정가, 사회과학자들이 욕구의 상태를 규정하는 것으로, 미리 바람직한 욕구충족의 수준을 정해 놓고 이 수준과 실제 상태와의 차이에 따라 욕구의 정도를 규정하든가 혹은 최고의 욕구 수준을 정해 놓고 실제 상태와의 차이에 의하여 욕구의 정도를 규정하는 것이다.
둘째, 감지적 욕구는 욕구상태에 있는 당사자의 느낌에 의해 인식되는 것인데, 이것은 어떤 욕구상태에 있는지 흑은 어떤 서비스가 필요한지를 물어서 파악하는 욕구이다. 따라서 이것은실제적 욕구측정이 되지 못하고 개인의 인식 정도에 의해 달라질 수 있다.
셋째, 표현적 욕구는 감지적 욕구가 실제의 욕구충족 추구행위로 나타난 것이며, 수요(demand)라고도 할 수 있다. 이것은 의료 및 보건의 욕구파악에 많이 이용되며 서비스를 실제로 받기 원하는 사람의 수로 파악된다.
넷째, 비교적 욕구는 어떤 서비스를 받고 있는 사람들과 비슷한 특성을 갖고 있으면서도 서비스를 받지 않고 있는 사람들을 욕구상태에 있는 것으로 규정하는 것을 말한다.
이와 같은 네 가지의 욕구는 각각 다른 인식기준에 따라 정의한 것이므로 서로 일치하지 않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이에 대한각각의 정확한 욕구측정이 필히 요구된다.
참고문헌
권중동 저, 인간행동과 사회복지실천(이론과 적용), 학지사 2014
유수현, 김창곤 외 저, 인간행동과 사회환경, 양서원 2015
손병덕, 성문주 외 저, 인간행동과 사회환경, 학지사 2014
이근홍 저, 인간행동과 사회환경, 공동체 2015
키워드
추천자료
인간행동과사회환경-행동주의 이론
2013년 2학기 인간행동과사회환경 중간시험과제물 B형 (행동주의이론, 사회적학습이론)
[인간행동과사회환경 1C형] 행동발달에 대한 사회적 학습이론의 입장과 반두라(A. Bandura)이...
사회복지개론,사회복지조사론,인간행동과사회환경,가족복지론,아동복지론,사회복지실천론,사...
[인간행동과사회환경 C형] 사회적 학습이론의 행동주의적 요소와 차별화 요소에 대하여 설명 ...
2016년 2학기 인간행동과사회환경 중간시험과제물 C형(사회적 학습이론과 행동주의 비교)
인간행동과사회환경)에릭슨의 심리사회적 발달단계에 대해 간단히 정의하고, 발달단계에 대한...
인간행동과사회환경-생애에 걸친 인간의 성장과 발달을 생애주기적 관점에서 이해하고 각 발...
인간행동과사회환경 ) 인간의 발달과 성장을 생애발달과정(태아기 영유아기 아동기 청소년기 ...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