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목차
Ⅰ. 서론
Ⅱ. 통제 상황의 분석과 바람직한 행동 요구하기
1. 통제 상황의 분석
2. 바람직한 행동 요구
3. 자녀의 바람직한 행동을 이끄는 부모역할
Ⅲ. 벌주기
1. 벌주기의 필요성
2. 효과적인 벌주기 방법
1) 꾸중
2) 애정과 철화
3) 특권 박탈
4) 타임아웃
3. 자녀에게 효과적으로 벌을 주는 양육 지침
Ⅳ. 결론
참고문헌
Ⅰ. 서론
Ⅱ. 통제 상황의 분석과 바람직한 행동 요구하기
1. 통제 상황의 분석
2. 바람직한 행동 요구
3. 자녀의 바람직한 행동을 이끄는 부모역할
Ⅲ. 벌주기
1. 벌주기의 필요성
2. 효과적인 벌주기 방법
1) 꾸중
2) 애정과 철화
3) 특권 박탈
4) 타임아웃
3. 자녀에게 효과적으로 벌을 주는 양육 지침
Ⅳ.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고 간다. 자녀가 화장실을 가거나 물을 먹으러 가는 것도 허용하지 않는다.
⑦ 자녀에게 "자, 지금부터 O분 동안 여기 서 있어.”와 같이 말하며 타임아웃을 실시한다. 자녀가 자리를 이동하면 다시 지정 장소로 데려가 세워놓고, 자녀 근처 에 있으면서 타임아웃을 계속 유지하게 한다.
⑧ 시간이 되면 "자, 이제 너는 ~을 할 수 있어:’와 같이 말한다. 타임아웃 이후에는 긍정적 행동으로 개시하는 것이 좋다.
⑨ 자녀가 다시 수용할 수 없는 행동을 하면 위의 타임아웃 과정을 반복한다.
⑩ 벌 이후에 보이는 자녀의 수정된 행동에 대해 긍정적인 반응을 보이며 칭찬한다.
3. 자녀에게 효과적으로 벌을 주는 양육 지침
부모가 자녀의 바람직하지 않은 행동을 수정하기 위해 사용할 수 있는 효과적인 벌주기 지침을 몇 가지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박영애 외, 2005; 정현숙 외, 2007).
① 벌은 자녀의 잘못된 행동이 통제 불가능할 때까지 기다리지 말고 초기에 주는 것이 효과적이다.
② 벌은 그릇된 행동이 발생한 직후에 주는 것이 바람직하다. 영유아기 자녀는 사건의 인과관계를 정확하게 파악하는 것이 어려우므로 적절치 못한 행동직후에 벌을 가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③ 가능한 한 객관적이고 중립적인 태도를 취한다. 벌을 주는 부모가 감정적인 태도를 취하면 교육 효과가 감소된다.
④ 자녀가 지키지 않은 규칙을 간단하고 분명하게 설명해 줌으로써 자녀 스스로가 잘못을 인식하고 벌을 수용하도록 한다.
⑤ 그릇된 행동을 보이기 시작한 자녀에게는 초기이므로 엄한 수준보다는 경미한 수준으로 벌을 주는 것이 효과적이다.
⑥ 유사하게 그릇된 행동을 보일 때에는 벌을 일관적으로 사용하여 바람직한 사회적 행동을 강화해 준다.
⑦ 어떤 자녀는 부모의 꾸중이나 벌주기 등 잘못에 대한 부정적인 반응도 부모의 관심을 끌 수 있다고 생각하며 고의적으로 문제행동을 하기도 한다. 그러므로 부모는 문제행동의 원인을 면밀하게 분석해야 한다.
Ⅳ. 결론
이와 같이 자녀의 바람직하지 않은 행동에 대해 벌은 곧바로 실시하는 것이 좋으며, 신체적 처벌은 가능한 한 사용하지 않는다. 벌을 받는 자녀는 부모에 대한부정적인 감정을 가지거나 행동수정에 반항을 하는 등의 부작용을 보일 수 있으므로 다른 긍정적인 방법과 병행하여 벌을 사용해야 효과적이다. 예를 들어, 피카르트(2004)는 '벌 한 번당 긍정적 반응 두 번의 규직(2-for-l rule)'을 제안했는데, 이것은 자녀에게 한 번 벌을 준 후에는 30분 이내에 두 가지 긍정적인 반응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부모의 긍정적인 행동과 함께 벌주기를 적용할 때 벌의 부정적인 효과는 감소하고 행동의 수정 효과는 증가한다.
참고문헌
이선애, 김상림 외 저, 부모교육, 정민사 2015
박성연, 김상희 외 저, 부모교육(자녀와의 진정한 만남을 위한), 교육과학사 2014
김정미, 이원영 저, 예비부모교육(대학생을 위한), 학지사 2011
연미희, 김진숙 저, 부모교육 이론과 실제, 동문사 2009
유은정, 김혜연 외 저, 부모교육, 양성원 2012
⑦ 자녀에게 "자, 지금부터 O분 동안 여기 서 있어.”와 같이 말하며 타임아웃을 실시한다. 자녀가 자리를 이동하면 다시 지정 장소로 데려가 세워놓고, 자녀 근처 에 있으면서 타임아웃을 계속 유지하게 한다.
⑧ 시간이 되면 "자, 이제 너는 ~을 할 수 있어:’와 같이 말한다. 타임아웃 이후에는 긍정적 행동으로 개시하는 것이 좋다.
⑨ 자녀가 다시 수용할 수 없는 행동을 하면 위의 타임아웃 과정을 반복한다.
⑩ 벌 이후에 보이는 자녀의 수정된 행동에 대해 긍정적인 반응을 보이며 칭찬한다.
3. 자녀에게 효과적으로 벌을 주는 양육 지침
부모가 자녀의 바람직하지 않은 행동을 수정하기 위해 사용할 수 있는 효과적인 벌주기 지침을 몇 가지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박영애 외, 2005; 정현숙 외, 2007).
① 벌은 자녀의 잘못된 행동이 통제 불가능할 때까지 기다리지 말고 초기에 주는 것이 효과적이다.
② 벌은 그릇된 행동이 발생한 직후에 주는 것이 바람직하다. 영유아기 자녀는 사건의 인과관계를 정확하게 파악하는 것이 어려우므로 적절치 못한 행동직후에 벌을 가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③ 가능한 한 객관적이고 중립적인 태도를 취한다. 벌을 주는 부모가 감정적인 태도를 취하면 교육 효과가 감소된다.
④ 자녀가 지키지 않은 규칙을 간단하고 분명하게 설명해 줌으로써 자녀 스스로가 잘못을 인식하고 벌을 수용하도록 한다.
⑤ 그릇된 행동을 보이기 시작한 자녀에게는 초기이므로 엄한 수준보다는 경미한 수준으로 벌을 주는 것이 효과적이다.
⑥ 유사하게 그릇된 행동을 보일 때에는 벌을 일관적으로 사용하여 바람직한 사회적 행동을 강화해 준다.
⑦ 어떤 자녀는 부모의 꾸중이나 벌주기 등 잘못에 대한 부정적인 반응도 부모의 관심을 끌 수 있다고 생각하며 고의적으로 문제행동을 하기도 한다. 그러므로 부모는 문제행동의 원인을 면밀하게 분석해야 한다.
Ⅳ. 결론
이와 같이 자녀의 바람직하지 않은 행동에 대해 벌은 곧바로 실시하는 것이 좋으며, 신체적 처벌은 가능한 한 사용하지 않는다. 벌을 받는 자녀는 부모에 대한부정적인 감정을 가지거나 행동수정에 반항을 하는 등의 부작용을 보일 수 있으므로 다른 긍정적인 방법과 병행하여 벌을 사용해야 효과적이다. 예를 들어, 피카르트(2004)는 '벌 한 번당 긍정적 반응 두 번의 규직(2-for-l rule)'을 제안했는데, 이것은 자녀에게 한 번 벌을 준 후에는 30분 이내에 두 가지 긍정적인 반응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부모의 긍정적인 행동과 함께 벌주기를 적용할 때 벌의 부정적인 효과는 감소하고 행동의 수정 효과는 증가한다.
참고문헌
이선애, 김상림 외 저, 부모교육, 정민사 2015
박성연, 김상희 외 저, 부모교육(자녀와의 진정한 만남을 위한), 교육과학사 2014
김정미, 이원영 저, 예비부모교육(대학생을 위한), 학지사 2011
연미희, 김진숙 저, 부모교육 이론과 실제, 동문사 2009
유은정, 김혜연 외 저, 부모교육, 양성원 2012
추천자료
문제행동과 부모교육
부모교육이론 (민주적 부모교육이론 &행동수정)
부모교육 프로그램- 부모-자녀간 효과적인 의사소통법에 대하여
부모교육프로그램(드라이커스,기노트,고든,번,행동주의이론과 체계적 훈련)
내 아이를 위한 사랑의 기술 - 감정코치 - 책소개, 자녀양육서나 부모교육서를 읽고, 저자 소...
[부모교육] 행동수정 이론
[부모교육] 부모참여 프로그램 (집단상담) - 문제행동의 이해와 대처법
부 모 교 육 (아동의 잘못된 행동목표 4가지와 삶에대한 기본적인 인생태도 4가지입장)
자신의 자녀가 청소년기에 있다고 가정해보고 부모로서 어떤 자녀교육을 할 것인지 작성
부모교육의 주요 이론 및 프로그램 - Bern의 상호교류분석이론 & 행동수정 이론.ppt
현대 우리 사회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아동의 문제 행동의 사례를 들어 부모교육과 어떻게 연...
[부모교육] 자녀와 교사의 원만한 관계 형성을 위한 부모역할 (교사와의 의사소통을 위한 부...
[부모교육] ADHD자녀의 특성과 ADHD의 원인 및 ADHD자녀의 특성 및 자녀를 위한 부모역할
현재 자녀 양육에 있어서 아버지의 참여가 매우 중요하게 부각되고 있는데, 만약 자신이 아버...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