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초거시경제론E형-승수효과의 개념을 설명하고, 투자승수, 정부지출승수, 조세승수, 균형재정승수의 도출과정을 설명해 보시오 기초거시경제론 E형 중간과제물 [기초거시경제론] 승수효과란?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기초거시경제론E형-승수효과의 개념을 설명하고, 투자승수, 정부지출승수, 조세승수, 균형재정승수의 도출과정을 설명해 보시오 기초거시경제론 E형 중간과제물 [기초거시경제론] 승수효과란?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기초거시경제론 승수효과 들어가기

2.승수효과란?
(1) 승수효과의 정의
(2) 단순한 소득-지출 모형에서의 승수효과
(3) 승수모형의한계

3.투자승수 도출과정

4.정부지출승수 도출과정

5.조세승수 도출과정

6.균형재정승수 도출과정

7.정리

*참고문헌

본문내용

어떤 경제 변량이 다른 경제 변량의 변화에 따라 바뀔 때 그 변화가 한 번에 끝나지 않고 연달아 변화를 불러일으켜서 마지막에는 최초 변량의 몇 배에 이르는 경우가 있는데, 이러한 변화의 파급 관계를 분석하고 최초 경제 변량의 변화에 따라 최종적으로 빚어낸 총효과의 크기가 어떻게 결정되는가를 규명하는 이론이다. 최종 산출된 총효과를 승수효과라고 하며, 어떤 독립 변수의 변화에 대해 다른 모든 변수가 어떤 비율로 변화하는가를 나타내는 것을 승수라고 한다.
2)단순한 소득-지출 모형에서의 승수효과
- 투자나 정부지출을 증가시킬 경우 ( I= 투자 or 정부지출)
정부의 조세가 없는 상태에서 정부지출 또는 투자를 증가시킬 경우 승수는 1/(1-c)가된다.
조세를 증가시킬 경우 (T = 조세)
조세가 증가되는 경우 승수는 c/(1-c)가 된다.
3)승수모형의한계
현실적으로 승수효과가 제대로 나타나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조건들이 필요하다.
*소비함수의 안정성이 갖추어져야 한다. 즉, 한계소비성향이 상수 c로 고정되었다는 가정이 필요하다.
*소득의 획득이 지출로 이어지는 연쇄적인 과정이 순조롭게 진행된다는 가정이 필요하다.
*총지출의 증가가 총공급에 의해 자동적으로 충족된다는 가정이 필요하다.
따라서 공급측면에 장애가 있다면 승수효과가 발생하지 않을 수 있다.
3.투자승수 도출과정
위의 단순한 승수모형에 대해서 알아보면서 한계소비성향인 c로 주어질 경우에 독립지출인 I가 변화할 경우 균형국민소득은 1/(1-c)만큼 변화함을 알수 있었다.
그렇다면 기본적인 경제 주체들인 가계(C)와 기업(I) 이외에 정부(G)가 참여, 그리고 해외부문 (X,M)까지 등장하는 경제 순환구조를 승수이론에 적용시켜보자.
Y= C + I + G +(X-M) 즉 가계, 기업, 정부 및 해외부문이 포함된 경우이다.
우리는 위의 가계소비를 나타내는 C를 다음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그렇다면 Y= C + I + G +(X-M) 은 다음과 같이 정리할 수 있다.
다시 위의 식은 가처분소득(Y-T)를 고려해 아래식과 같이 변형시킬 수 있다.
즉 위의 식은 균형국민소득(Y)의 소비, 투지, 정부지출, 순수출로 구성되는데 이 중 소비는 케인즈의 견해에 따라 위처럼 기초소비를 나타내는 C와 가처분 소득(Y-T)중 소비되는 부분(한계소비성향, c)로 구분된다. 그리고 I는 유발투자가 존재하지 않는다고 보기에 I는 그대로 적용되고 G 또한 정부지출의 값으로 그냥 주어진다. 순수출 또한 마찬가지이다.
그럼 투자인 I가 변화함에 따라 나타나는 승수인 투자승수를 도출해 보자.
위에서 cY를 좌변으로 넘기면
그럼 여기에서 [Y(균형국민소득)변화분/I(투자)변화분] 을 적용시켜보면 투자변화분, I의 변화분은 1/(1-c)로 나타난다.
즉 투자 I 가 100만큼 변화한다면 투자승수는 1/(1-c)*100으로 나타난다.
4.정부지출승수 도출과정
정부지출승수는 투자승수에서 위의 이미 구해진 식을 가지고 G와 Y의 관계를 나타내면 된다.
즉 정부지출승수는 = 1/(1-c) 이다.
따라서 [Y(균형국민소득)변화분/G(정부지출)변화분]적용시켜보면 정부변화분, G의 변화분은 1/(1-c)로 나타난다.
즉 정부지출 G가 50만큼 변화한다면 정부지출승수는 1/(1-c)*50으로 나타난다.
5.조세승수 도출과정
조세 T와 Y의 관계를 알아보면 된다. 단 이 경우 T(조세)는 그 앞에 -c가 붙어 있다. 그러므로 조세승수는 -c/(1-c)이다.
즉 조세는 부과하면 균형국민소득이 오히려 감소하기에 -가 붙는 것이다.
여기에서 정부지출의 승수는 1/(1-c)로 나타난다. 그에 반해 조세감면은 한계소비성향인 c의 영향을 받기
  • 가격4,000
  • 페이지수8페이지
  • 등록일2015.09.08
  • 저작시기2016.9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98080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