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학개론] 교사의 자질과 역할 (좋은 교사는 어떤 자질(資質)을 구비해야 며, 교사가 수행해야 할 역할은 무엇이며 어떤 사람이 그와 같은 역할을 훌륭하게 수행할 수 있는가에 대해서)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교육학개론] 교사의 자질과 역할 (좋은 교사는 어떤 자질(資質)을 구비해야 며, 교사가 수행해야 할 역할은 무엇이며 어떤 사람이 그와 같은 역할을 훌륭하게 수행할 수 있는가에 대해서)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Ⅱ. 교사의 자질
1. 소명의식
2. 깊은 이해심과 사랑과 봉사의 정신
3. 인간을 존중하는 태도
4. 넓고 신성한 교육관
5. 행동으로 옮기는 사람
6. 학생들에게 희망을 주는 사람

Ⅲ. 교사의 역할
1. 사회 대표자로서의 교사
2. 판단자로서의 교사
3. 지식자원으로서의 교사
4. 학습 조력자로서의 교사
5. 심판자로서의 교사
6. 훈육자로서의 교사
7. 동일시 대상으로서의 교사
8. 불안 제거자로서의 교사
9. 자아 옹호자로서의 교사
10. 집단 지도자로서의 교사
11. 부모 대행인으로서의 교사
12. 적대감정의 표적으로서의 교사
13. 친구로서의 교사
14. 애정 상대자로서의 교사

Ⅳ.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수행한다. 이러한 교사의 판단이 과연 적절한 것이냐 그렇지 못한 것이냐는 교사의 윤리(倫理)에 관한 문제이다. 교사의 판단은 학생의 자아개념 형성에 큰 영향을 주게 되고, 학생에 대한 강화체제의 중요한 부분이 되며 교수 학습과정에도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게 된다.
3. 지식자원으로서의 교사
학생들에게 필요한 지식을 가르친다는 것은 교사의 제일 중요한 임무이다. 따라서 교사에게는 살아 있는 교과서의 역할이 기대되고 있다. 교사의 지식 이해 정도가 학생들의 학업성취도와 밀접한 관련이 있는 점으로 보아 지식의 공급원(供給源)으로서 교사의 역할은 매우 중요하다.
4. 학습 조력자로서의 교사
교사의 역할은 단순한 지식의 전달에 그쳐서는 안 된다. 교수 학습과정에서 학생들이 스스로 중요한 지식을 이해하고 새로운 지식을 찾아내며, 배운 지식을 적용하여 새로운 문제를 해결할 수 있도록 교사는 유능한 조력자의 역할을 하여야 한다. 특정한 개념이나 원리를 학습자의 발달단계에 맞도록 설명하는 일, 학생의 학습방식에 맞는 학습과정을 마련해 주는 일, 학습에 있어서 개인이나 집단이 당면하게 되는 어려움을 극복하도록 도와주는 일 등은 전문적(專門的) 능력을 필요로 하는 일들이다.
5. 심판자로서의 교사
학급 내에서 학생들의 의견이 일치하지 않거나 갈등 대립하는 현상은 흔히 있게 마련이다. 이때 공정하게 시시비비를 가려낼 수 있는 유일한 권위자(權威者)는 교사이다. 이때 교사의 공정성과 타당성 여하에 따라서 학생들에게 비치는 교사의 권위는 크게 달라진다고 볼 수 있다.
6. 훈육자로서의 교사
학생집단의 질서를 유지하기 위해서는 적절한 훈육이 필요하다. 이는 행정지도자나 학부모, 심지어 학생 자신들의 요청이기도 하다. 교사의 훈육역할의 적부(適否)는 학교의 질서유지뿐만 아니라 학생들의 학업성취에도 적지 않은 영향을 준다.
7. 동일시 대상으로서의 교사
갈등이나 난관에 부딪쳤을 때 학생들이 쉽게 취하는 행동으로 동일시(identification) 현상을 들 수 있다. 학교에서 학생들의 중요한 동일시 대상은교사이다. 따라서 교사의 여러 가지 행동특성은 학생들에 의해서 잘 모방된다. 교사의 말투 걸음걸이 필체 태도 가치관까지도 동일시의 대상이 될 수 있다.
8. 불안 제거자로서의 교사
성장과정에서 학생들은 여러 가지 불안을 경험하게 된다. 현실에 대한 이해 부족과 자신의 능력 부족에서 오는 불안은 자연히 성인의 도움을 필요로 하게 된다. 현실상황에 대한 적절한 설명, 학생들에게 불필요한 불안을 주지 않도록 상황을 통제하는 일 등은 교사가 수행해야 할 역할이다.
9. 자아 옹호자로서의 교사
성장과정에 있는 학생들이 당면하게 되는 문제 중에는 자신감(自信感)을 잃는 일, 무력감을 느끼는 일, 열등감에 빠지는 일 등이 있다. 이때 교사는 학생들로 하여금 성취감을 맛보게 하고, 주위로부터 성공에 대한 인정을 받도록 해줌으로써 학생들의 자아를 옹호(擁護)해 주고 자신감을 갖도록 하는 역할을 담당해야 한다.
10. 집단 지도자로서의 교사
학교교육은 개별적 접촉과 지도를 통해서도 이루어지지만, 대부분의 경우 집단적 상황에서 이루어진다. 그러므로 교사는 그것이 학급집단이든 그 밖의 소집단이든 집단의 사기(士氣)를 높이고 응집력(凝集力)을 향상시키기 위한 지도자로서의 역할을 담당하게 된다.
11. 부모 대행인으로서의 교사
초등학교 저학년 아동은 특히 교사의 행동과 부모의 행동을 마찬가지로 여기는 경향이 있다. 어머니에게서 구해야 할 조언을 교사에게서 찾으려는 일도 있거니와 동서고금을 막론하고 교사들은 학생들을 대할 때 부모의 감정으로 대하는 경향이 짙다. 어린이 중에는 부모에게서 받을 수 없었던 만족을 교사에게서 구하는 경우가 많다. 이때 교사는 부모 대행인(in loco parentis)의 역할을 하게 된다.
12. 적대감정의 표적으로서의 교사
성장과정에 있는 학생들은 일상생활에서 적지 않은 좌절감을 경험하게 된다. 성인문화의 표준을 학생들에게 제시하고 이에 순응할 것을 요구하는 사람이 성인이고 보면, 좌절감에서 폭발하게 되는 적대감정(敵對感情)의 대상은 자연히 성인일 수밖에 없다. 따라서 학교상황에서는 그 화살이 성인인 교사에게 향하게 된다. 이때 그들의 표적이 되어주는 것은 그들의 정신건강을 위해서 대단히 유익한 일이다.
13. 친구로서의 교사
학생들 중에는 교사를 하나의 다정한 친구로 대하기를 원하는 학생들이 있다. 교사가 학생들의 개인적 기쁨과 슬픈 감정을 같이 나눈다는 것은 매우 바람직한 일이다. 교사는 학생과의 관계에 있어서 교권(敎權〉을 내세우는 형식적 관계만이 아니라 친구로서 언제나 마음속을 털어놓을 수 있는 비형식적 관계를 유지해야 한다.
14. 애정 상대자로서의 교사
교사에게 자기가 아끼는 물건을 선물하는 초등학교 1학년 어린이의 교사에 대한 애정으로부터 남교사에게 연정을 품고 고민하는 고등학교 여학생의 애정에 이르기까지 교사들은 학생의 애정 상대자가 되는 경우가 많다. 오늘날 사제관계를 정서적 친밀감이 결여된 단순한 역할관계(役割關係)로 지적하면서, 대량교육으로 인한 직업적 교사로서의 위치를 탓하는 사람들도 있다. 그러나 교육현장에는 '우리 선생님’으로 기억될 만큼 학생들로 하여금 존경과 친화감(親和感)을 느끼게 하는 교사들이 얼마든지 있으며, 선생님에게 애틋한 정을 갖고 있는 학생들도 많다. 이러한 사제간의 정서적 유대관계는 교사의 동정적인 태도에서 기인한다기보다 교사의 역할수행과정에서 비롯된 인간적인 감정인 것이다.
Ⅳ. 결론
이제까지 학교상황에서의 교사의 역할을 논의하였다. 교사는 이 외에도 학급경영자로서의 역할, 학교직원으로서의 행정적 역할, 전문적 성장을 위한 학문적 역할, 학부모의 자녀 교육문제 상담자로서의 역할, 그리고 기타 교무분장에 따른 복합적인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참고문헌
박선영 저, 교육학개론, 박영스토리 2015
성태제, 강대중 외 저, 최신 교육학개론, 학지사 2012
김희수, 최정선 외 저, 이해하기 쉽게 쓴 교육학개론, 동문사 2014
박철홍, 강현석 외 저, 현대 교육학개론, 학지사 2013
김도진, 송성순 외 저, 교육학개론, 창지사 2015
  • 가격2,500
  • 페이지수10페이지
  • 등록일2015.10.04
  • 저작시기2015.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98329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