감주(식혜) 만들기 실험
본 자료는 미만의 자료로 미리보기를 제공하지 않습니다.
닫기
  • 1
  • 2
  • 3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감주(식혜) 만들기 실험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실험주제 : 감주(식혜) 제조.

2. 실험목적 : 엿기름 안에 들어있는 효소 아밀라아제(Amylase)와 밥에 들어있는 전분이 반응하여 전분이 맥아당(maltose)으로 가수분해 되어 감주(식혜)가 되는 과정과 보리 엿기름. 혼합 엿기름의 종류와 맛의 변화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한다.

3. 실험의 원리
-참고문헌

본문내용

해 밥알의 전분이 맥아당과 포도당으로 바뀌면서 단맛이 강해지는 것이다. 밥알이 삭는다는 것을 보아 효소가 분해 작용을 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엿기름을 60℃에서 한 시간 추출하고 다시 60℃에서 30분 추출하여 합친다. 쌀은 1시간 담근 후 상압에서 30분 고두밥 을 쪄서 건조 쌀 기준으로 20%양이 되도록 용기에 가하고 나머지를 엿기름 추출액에(건조물 기준 4%)을 가하여 100%로 한다. PH 5.5, 온도 60℃에서 5시간 반응 시키며 30분에 한번씩 저어 준다. 당화가 완료되면 감주(식혜)가 된다. 건더기 밥알을 원심 분리나 포로 걸러내고 농축하면 물엿이 된다. 조금 더 농축하면 조청, 더 농축하면 엿이 된다.
「참고문헌」
1. 저자 : 안용근 외 3인.「식품가공 저장학」효일, 2004.
  • 가격1,000
  • 페이지수3페이지
  • 등록일2015.10.04
  • 저작시기2015.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98338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