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ee에 대해 찍는데 1일차와 같게 caffeine 피크가 너무 높게 나와서 의심스러워서 이동상만 넣고 찍어보았는데, 이때 이동상만 넣은 Data에서 caffeine이 발견되어 시료주입부를 의심해보았다. (3일차에 실험순서 : Decaffeine Coffee(실패) -> black tea -> coffee -> caffeine순물질 -> decaffeine coffee(실패) -> 이동상 -> decaffeine coffee)
역시나 바늘이 들어가는 inlet 부분이나 그 주변에 액체들이 가득했다. 그래서 우선 Load상태로 트리거를 돌려놓고 syringe를 이용하여 이동상을 몇 번 씻듯이 흘려주고 decaffeine coffee를 찍어서 Data 결과에 보이는 사진과 같은 값을 얻을 수 있었다. 실제로 조사를 해보다가 그림을 발견했다. 아래의 그림인데 Load상태와 Inject상태에서 시료와 이동상의 움직임인데 Inject상태에서 Loop에 시료가 남아있을수도 있다. 그래서 Load일 때 Loop를 씻어 줄 수 있게 이동상을 흘려주면 사진에서 조그마한 병에 Loop를 돈 이동상이 나오게 된다. 그러면 조금 더 시료를 깨끗한 상태로 컬럼을 통과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오염을 조금이나마 막으려면 측정 순서를 조정해주면 된다.
순서 : 디카페인 - 커피 - 홍차 - 카페인
카페인이 점점 증가하는 순서로 찍어주면 조금이나마 덜 오염된 결과를 얻을 수 있다.
결국 3일 만에 원하는 Data를 조작 없이 얻을 수 있었다. 기계는 거짓말을 하지 않았다. 우리가 좀 더 섬세한 주의가 필요함을 알 수 있었다. 실험은 원하는 결과 값을 얻어내는 이런 재미로 한다. 다른 조보다 실험시간은 더 걸리지만 실험하면서 ‘왜’ 를 스스로 찾고 이해하면서 보람을 느낀다. 학교를 다니면서 가장 즐거운 시간은 실험시간이다. 비록 기계는 낡았지만 이론에서 배운, 혹은 배우게 될 것들을 실제로 해볼 수 있는 시간은 실험시간 뿐이기 때문이다. 학부생으로 물질을 만지고 기계를 직접 해볼 수 있는 시간이 항상 부족하다고 생각하는데 실험시간만큼이라도 충분히 해본다는 것은 나중에 취업 혹은 실험실생활에 가장 크게 영향력을 미칠 것으로 생각한다. 이것이 고등학교3년, 분석화학실험, 물리화학실험을 거쳐 기기분석실험까지 짝지 혹은 같은 조로 나와 환상의 협력을 이뤄내는 우리조원 옥휘석과 나의 생각이다. 이번 실험은 이러한 시간을 충분히 느낄 수 있도록 많은 시간을 할애해주신 조교님께 가장 감사드린다.
토의 및 감상
1. Auto Zero 에 관한 이야기
2. 농도의 진하기에 따른 피크 차이
3. 전개용매 필터링에 관한 이야기 (기포제거 주사기 사용, 셀룰로스 필터를 사용)
4. 시료주입부의 오염
○ Pump : 송액 장치 (solvent delivery system)
1) 역할 : 이동상을 이동상 저장용기에서 끌어들여 시료 주입기로 연속적으로 밀어준다.
2) 요건 : 일정한 유속과 압력을 유지해야하고 다양한 용매를 사용할 수 있어야 한다.
3) Isocratic & Gradient mode
① isocratic : 분석시간 동안 이동상 조성의 변화가 없다.
② gradient : 분석시간 동안 이동상 조성이 시간의 흐름에 따라 변한다.
※ isocratic mode는 간단하나, 늦게 용출하는 성분일수록 peak의 폭이 넓어지므로 빠른 용출성분과 매우 느리게 용출되는 성분이 공존하는 시료의 분석에는 적합하지 않다.
○ Injector : 샘플을 주입하는 장치이다. 이 장치는 높은 압력에서도 견딜 수 있는 재질과 구조로 이루어져 있고 레버를 조정함으로써 샘플 주입과 샘플의
컬럼으로의 load를 조절할 수 있게 구성되어 있다.
이번에는 아래의 4가지에 대해서 토의 해보겠다.
1. Auto Zero 에 관한 이야기
2. 농도의 진하기에 따른 피크 차이
3. 전개용매 필터링에 관한 이야기 (기포제거 주사기 사용, 셀룰로스 필터를 사용)
4. 시료주입부의 오염
☆ 기기 조작방법
1. Pump on, detector on, module on
2. Detector 조건 맞추기(왼쪽 그림 참고)
- 사용할 Detector : Waters 486 Tunable Absorbance Detector
- Key 조작(조정이 필요한 Key를 누르고 수정 할 수치를 입력한 후 Enter Key를 누른다.)
λλ(wavelength) : 254nm 선택
AUFs : 0.8 선택
Filter : 5초당 0.1로 처리
Auto Zero : 기기의 영점을 새로 잡아준다.
3. Pump 조건 맞추기
- Waters 600E Multisolvent Delivery System
- 용매지정(A part, MeOH: H2O=80:20)
- Home Key와 방향키를 이용하여 Flow rate를 0.2 ml/min씩 30초 간격으로 천천히 1.2 ml/min 까지 올린다. (0.2→>0.4→>0.6→>0.8→>1.0→>1.2)
- 한시간 정도 이동상을 흘려주어 기기를 안정화시킨다.
4. 컴퓨터 on, Autochro icon을 실행
5. Directory를. 만들어 주고 실험할 시료 갯수를 정해준다.(새파일)
6. data수집 채널을 선택한다.(채널 선택)
7. 채널을 선택한다.(채널 1)
8. 실험조건을 잡아준다
9. 수집설정화면 및 메뉴의 아래화면
10. 수집설정의 오른쪽 화면 :
수집비(10)와 수집시간(12분), 외부트리거 선택
→> 확인
11. 준비상태가 되면(Base line이 안정화) syringe를 이동상으로 5회 이상 washing해주고 sample로도 5회 이상 washing 한다.
12. 시료를 20㎕이상 취한다. ( bubble이 생기면 절대 안 됨) - Injection port에 찌르고 트리거를 밑으로 (inject) 내린다. (syringe를 고무에 밀어넣는다는 느낌이 끝날 때까지 완전히 밀어준다.)
14. data편집
(분석→>분석화면-적분결과보기)
15. 크기조절 및 인쇄
16. 종료시에는 pump의 flow rate를 시작시와 반대로 내려준다.
17. pump, detector, module, computer off
역시나 바늘이 들어가는 inlet 부분이나 그 주변에 액체들이 가득했다. 그래서 우선 Load상태로 트리거를 돌려놓고 syringe를 이용하여 이동상을 몇 번 씻듯이 흘려주고 decaffeine coffee를 찍어서 Data 결과에 보이는 사진과 같은 값을 얻을 수 있었다. 실제로 조사를 해보다가 그림을 발견했다. 아래의 그림인데 Load상태와 Inject상태에서 시료와 이동상의 움직임인데 Inject상태에서 Loop에 시료가 남아있을수도 있다. 그래서 Load일 때 Loop를 씻어 줄 수 있게 이동상을 흘려주면 사진에서 조그마한 병에 Loop를 돈 이동상이 나오게 된다. 그러면 조금 더 시료를 깨끗한 상태로 컬럼을 통과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오염을 조금이나마 막으려면 측정 순서를 조정해주면 된다.
순서 : 디카페인 - 커피 - 홍차 - 카페인
카페인이 점점 증가하는 순서로 찍어주면 조금이나마 덜 오염된 결과를 얻을 수 있다.
결국 3일 만에 원하는 Data를 조작 없이 얻을 수 있었다. 기계는 거짓말을 하지 않았다. 우리가 좀 더 섬세한 주의가 필요함을 알 수 있었다. 실험은 원하는 결과 값을 얻어내는 이런 재미로 한다. 다른 조보다 실험시간은 더 걸리지만 실험하면서 ‘왜’ 를 스스로 찾고 이해하면서 보람을 느낀다. 학교를 다니면서 가장 즐거운 시간은 실험시간이다. 비록 기계는 낡았지만 이론에서 배운, 혹은 배우게 될 것들을 실제로 해볼 수 있는 시간은 실험시간 뿐이기 때문이다. 학부생으로 물질을 만지고 기계를 직접 해볼 수 있는 시간이 항상 부족하다고 생각하는데 실험시간만큼이라도 충분히 해본다는 것은 나중에 취업 혹은 실험실생활에 가장 크게 영향력을 미칠 것으로 생각한다. 이것이 고등학교3년, 분석화학실험, 물리화학실험을 거쳐 기기분석실험까지 짝지 혹은 같은 조로 나와 환상의 협력을 이뤄내는 우리조원 옥휘석과 나의 생각이다. 이번 실험은 이러한 시간을 충분히 느낄 수 있도록 많은 시간을 할애해주신 조교님께 가장 감사드린다.
토의 및 감상
1. Auto Zero 에 관한 이야기
2. 농도의 진하기에 따른 피크 차이
3. 전개용매 필터링에 관한 이야기 (기포제거 주사기 사용, 셀룰로스 필터를 사용)
4. 시료주입부의 오염
○ Pump : 송액 장치 (solvent delivery system)
1) 역할 : 이동상을 이동상 저장용기에서 끌어들여 시료 주입기로 연속적으로 밀어준다.
2) 요건 : 일정한 유속과 압력을 유지해야하고 다양한 용매를 사용할 수 있어야 한다.
3) Isocratic & Gradient mode
① isocratic : 분석시간 동안 이동상 조성의 변화가 없다.
② gradient : 분석시간 동안 이동상 조성이 시간의 흐름에 따라 변한다.
※ isocratic mode는 간단하나, 늦게 용출하는 성분일수록 peak의 폭이 넓어지므로 빠른 용출성분과 매우 느리게 용출되는 성분이 공존하는 시료의 분석에는 적합하지 않다.
○ Injector : 샘플을 주입하는 장치이다. 이 장치는 높은 압력에서도 견딜 수 있는 재질과 구조로 이루어져 있고 레버를 조정함으로써 샘플 주입과 샘플의
컬럼으로의 load를 조절할 수 있게 구성되어 있다.
이번에는 아래의 4가지에 대해서 토의 해보겠다.
1. Auto Zero 에 관한 이야기
2. 농도의 진하기에 따른 피크 차이
3. 전개용매 필터링에 관한 이야기 (기포제거 주사기 사용, 셀룰로스 필터를 사용)
4. 시료주입부의 오염
☆ 기기 조작방법
1. Pump on, detector on, module on
2. Detector 조건 맞추기(왼쪽 그림 참고)
- 사용할 Detector : Waters 486 Tunable Absorbance Detector
- Key 조작(조정이 필요한 Key를 누르고 수정 할 수치를 입력한 후 Enter Key를 누른다.)
λλ(wavelength) : 254nm 선택
AUFs : 0.8 선택
Filter : 5초당 0.1로 처리
Auto Zero : 기기의 영점을 새로 잡아준다.
3. Pump 조건 맞추기
- Waters 600E Multisolvent Delivery System
- 용매지정(A part, MeOH: H2O=80:20)
- Home Key와 방향키를 이용하여 Flow rate를 0.2 ml/min씩 30초 간격으로 천천히 1.2 ml/min 까지 올린다. (0.2→>0.4→>0.6→>0.8→>1.0→>1.2)
- 한시간 정도 이동상을 흘려주어 기기를 안정화시킨다.
4. 컴퓨터 on, Autochro icon을 실행
5. Directory를. 만들어 주고 실험할 시료 갯수를 정해준다.(새파일)
6. data수집 채널을 선택한다.(채널 선택)
7. 채널을 선택한다.(채널 1)
8. 실험조건을 잡아준다
9. 수집설정화면 및 메뉴의 아래화면
10. 수집설정의 오른쪽 화면 :
수집비(10)와 수집시간(12분), 외부트리거 선택
→> 확인
11. 준비상태가 되면(Base line이 안정화) syringe를 이동상으로 5회 이상 washing해주고 sample로도 5회 이상 washing 한다.
12. 시료를 20㎕이상 취한다. ( bubble이 생기면 절대 안 됨) - Injection port에 찌르고 트리거를 밑으로 (inject) 내린다. (syringe를 고무에 밀어넣는다는 느낌이 끝날 때까지 완전히 밀어준다.)
14. data편집
(분석→>분석화면-적분결과보기)
15. 크기조절 및 인쇄
16. 종료시에는 pump의 flow rate를 시작시와 반대로 내려준다.
17. pump, detector, module, computer off
추천자료
판례 명예훼손 및 업무방해죄
GC에 대해
HPLC를 이용한 Urine 및 음료속의 카페인 분석
여러 실험을 통한 성분 분석
기기분석실험 (HPLC)
HPLC이용_비타민C정량_정성분석_동욱
(예비) 카페인 추출
[일반화학] Alkaline Phosphatase[AP]의 정제
분리공정
화학공학 - Reduction of chlorobenzaldehyde with NaBH4 [유기합성]
유기합성결과
[일반화학 실험] 03- 혼합물의 %(퍼센트)조성 결정 : 정량분석의 하나인 중량분석법으로 %를 ...
[일반화학실험] 재결정과 거르기
재결정과 거르기 일반화학실험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