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행동발달에 대한 반두라(A. Bandura)이론의 특징
1) 반두라의 관찰학습이론 개요
2) 반두라의 관찰학습의 과정
3) 관찰학습에 있어서의 강화
2. 반두라이론의 장단점
1) 반두라이론의 장점
2) 반두라이론의 단점
Ⅲ. 결론
【 참고자료 】
Ⅱ. 본론
1. 행동발달에 대한 반두라(A. Bandura)이론의 특징
1) 반두라의 관찰학습이론 개요
2) 반두라의 관찰학습의 과정
3) 관찰학습에 있어서의 강화
2. 반두라이론의 장단점
1) 반두라이론의 장점
2) 반두라이론의 단점
Ⅲ. 결론
【 참고자료 】
본문내용
습이 매우 효과적이지만 유의할 점이 있다. 어떤 학생이 휴지를 주웠을 때 교사가 칭찬하는 것을 목격한 다른 학생이 다음번에 휴지를 주웠는데 교사가 칭찬하지 않으면 더 이상 휴지를 주우려 하지 않을 뿐 아니라 부정적인 정서반응을 일으킬 수 있다. 임상록,권향임,김나영(2011)「인간행동과 사회환경」창지사
③ 반두라는 지(知).행(行) 중 행(行)을 더 강조하고 있어서 잘못 생각하면 지(知)를 교육하지 않아도 된다고 생각하거나 지(知)를 경시할 가능성을 내포하고 있다. 송석재(2003)「반두라의 행위 중심의 도덕교육론에 관한 연구」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④ 행(行)을 강조하는 반두라의 교육론은 교실 수업에서 적용하기 어렵다는 제한점을 갖고 있다. 왜냐하면 아직도 우리의 교육은 입시위주의 지식교육을 벗어날 수 없는 것이 현실이기 때문이다. 송석재(2003)「반두라의 행위 중심의 도덕교육론에 관한 연구」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Ⅲ. 결론
관찰학습은 한 사람이 어떤 행동을 수행하고 다른 사람이 그것을 관찰함으로써 그 행위를 반복할 능력을 획득할 경우 발생한다. 단지 타인을 관찰함으로써 어떠한 형태의 지식을 기억하고 그것을 행동으로 재생할 수 있다면 관찰학습이 이루어진 것이다.
또한 모델링은 관찰을 통한 학습으로 다른 사람이 행동하는 것을 보고 들으면서 그 행동을 따라하는 것이라고 정의할 수 있다
반두라는 사회적 상황에서 타인들의 행동을 단순히 관찰만 하여도 그들의 행동을 학습할 수 있다고 보았다. 또한 새로운 지식 행동을 습득함에 있어 모방이 단순히 겉으로 드러나는 행동을 따라하는 것이 아니라 표면적으로 드러나는 것 이상의 정보를 추출하여 습득하기 때문에 정보를 획득하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고 할 수 있다.
반두라의 관찰학습의 과정에는 첫째, 주의집중, 둘째, 피지, 셋째, 운동재생, 넷째, 동기화가 있다. 관찰학습에 있어서의 강화는 첫째, 대리강화(vicarious reinforcement), 둘째, 자기강화(Self-reinforcement)가 있다.
반두라의 관찰학습 이론의 장점은 모델링을 중요시 하면서 우리의 자각을 증진시켰고, 자기강화와 자기효능감 등의 인지적 요소를 중요시 했다는데 의의가 있고, 단점은 교육적인 면에서 계획하고 통제하기 힘들기 때문에 무의미할 수 있다.
【 참고자료 】
김진원(2009)「인간행동과 사회환경」대왕사
변창진,김경린 역(2003)「사회적 학습이론」한국학술정보
송석재(2003)「반두라의 행위 중심의 도덕교육론에 관한 연구」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박사학위논문
염나리(2004)「수업 초기 단계에서 교사의 동기 유발 행위의 뇌과학적 기제와 방향」서울교육대학교 석사학위논문
유진(1998)「운동학습의 모델링 과정」한국교육문제연구, Vol.13 No.-
임상록,권향임,김나영(2011)「인간행동과 사회환경」창지사
최진화(2015)「미술교육에서 모방의 의미와 모방학습의 적용모형에 관한 연구」인하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추남희(1983)「사회사업 지도감독실천과 학습이론」硏究論叢, Vol.11 No.-
③ 반두라는 지(知).행(行) 중 행(行)을 더 강조하고 있어서 잘못 생각하면 지(知)를 교육하지 않아도 된다고 생각하거나 지(知)를 경시할 가능성을 내포하고 있다. 송석재(2003)「반두라의 행위 중심의 도덕교육론에 관한 연구」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④ 행(行)을 강조하는 반두라의 교육론은 교실 수업에서 적용하기 어렵다는 제한점을 갖고 있다. 왜냐하면 아직도 우리의 교육은 입시위주의 지식교육을 벗어날 수 없는 것이 현실이기 때문이다. 송석재(2003)「반두라의 행위 중심의 도덕교육론에 관한 연구」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Ⅲ. 결론
관찰학습은 한 사람이 어떤 행동을 수행하고 다른 사람이 그것을 관찰함으로써 그 행위를 반복할 능력을 획득할 경우 발생한다. 단지 타인을 관찰함으로써 어떠한 형태의 지식을 기억하고 그것을 행동으로 재생할 수 있다면 관찰학습이 이루어진 것이다.
또한 모델링은 관찰을 통한 학습으로 다른 사람이 행동하는 것을 보고 들으면서 그 행동을 따라하는 것이라고 정의할 수 있다
반두라는 사회적 상황에서 타인들의 행동을 단순히 관찰만 하여도 그들의 행동을 학습할 수 있다고 보았다. 또한 새로운 지식 행동을 습득함에 있어 모방이 단순히 겉으로 드러나는 행동을 따라하는 것이 아니라 표면적으로 드러나는 것 이상의 정보를 추출하여 습득하기 때문에 정보를 획득하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고 할 수 있다.
반두라의 관찰학습의 과정에는 첫째, 주의집중, 둘째, 피지, 셋째, 운동재생, 넷째, 동기화가 있다. 관찰학습에 있어서의 강화는 첫째, 대리강화(vicarious reinforcement), 둘째, 자기강화(Self-reinforcement)가 있다.
반두라의 관찰학습 이론의 장점은 모델링을 중요시 하면서 우리의 자각을 증진시켰고, 자기강화와 자기효능감 등의 인지적 요소를 중요시 했다는데 의의가 있고, 단점은 교육적인 면에서 계획하고 통제하기 힘들기 때문에 무의미할 수 있다.
【 참고자료 】
김진원(2009)「인간행동과 사회환경」대왕사
변창진,김경린 역(2003)「사회적 학습이론」한국학술정보
송석재(2003)「반두라의 행위 중심의 도덕교육론에 관한 연구」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박사학위논문
염나리(2004)「수업 초기 단계에서 교사의 동기 유발 행위의 뇌과학적 기제와 방향」서울교육대학교 석사학위논문
유진(1998)「운동학습의 모델링 과정」한국교육문제연구, Vol.13 No.-
임상록,권향임,김나영(2011)「인간행동과 사회환경」창지사
최진화(2015)「미술교육에서 모방의 의미와 모방학습의 적용모형에 관한 연구」인하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추남희(1983)「사회사업 지도감독실천과 학습이론」硏究論叢, Vol.11 No.-
키워드
추천자료
도덕성 발달에 대한 심리학적 이론(정신분석 이론, 행동주의 이론, 인지주의 이론)
스키너와 반두라의 행동주의 이론과 언어발달
[인간행동과 사회환경] 인간발달이론에 대한 이해와 자신에게의 적용
사회복지사가 인간행동과 발달의 이론에 대한 지식을 갖추어야 하는 이유에 대해 논하시오.
혼전 성행동에 대한 본인의 입장을 서술하고 향후 자신의 자녀에게 성교육을 어떻게 진행할지...
[인간행동과사회환경]인지발달이론과 도덕성발달이론 - 피아제의 인지발달이론과 콜버그의 도...
인간행동의 발달이론 중 프로이드(Freud)와 융(Jung)의 인간관, 의식과 무의식, 성격발달에 ...
[인간행동과 사회환경] 인간행동의 발달이론 중 프로이드(프로이트/Freud)와 융(Jung)의 인간...
[인간행동과 사회환경 人間行動 社會環境] 인성과 발달이론의 이해와 바람직한 인성에 대한 논의
[유아遺兒발달] 아이의 공격적 행동 이해하기(원인과 예방을 중심으로) - 공격적 행동에 대한...
인간행동의 발달이론 중 프로이드와 융의 인간관, 의식과 무의식, 성격발달에 대한 관점을 비...
인간행동과 사회환경 - 분석심리 이론 ( 발생배경, 성격구조, 성격유형, 꿈과 무의식, 성격발...
영유아의 언어발달 이론 중 행동주의적 관점에 대한 본인의 의견을 논하시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