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협동학습이란
2. STAD학습모형
3. TGT학습모형
4. 직소모형
5. 집단조사(GI)모형
6. Co-op Co-op 모형
7. 협동학습의 문제점
2. STAD학습모형
3. TGT학습모형
4. 직소모형
5. 집단조사(GI)모형
6. Co-op Co-op 모형
7. 협동학습의 문제점
본문내용
시험을 통한 평가도 이루어지지 않는다.
7. 협동학습의 문제점
협동학습을 하다보면 협동학습의 문제점을 찾기란 매우 쉽다. 협동학습이 이루어질 경우 소집단 경쟁체제에서는 자신들의 학습 구성원들만 편애하는 현상이 생길 수 있다. 만약, 이러한 편애와 익애가 심해질 경우, 교사는 주기적으로 소집단을 재편성하는 것도 하나의 방법이다. 또한, 협동학습에서 학습수준이 낮은 학생의 경우, 노력하지 않고도 성과를 공유하는 현상이 나타나게 된다. 이를 무임승차효과라고 하며, 반면, 노력한 학생들이 노력하지 않는 학생들과 성과를 공유하는 것을 보고 학습의욕이 저하되어 나타나는 봉 효과가 있다. 교사는 집단보상과 함께 개별보상을 병행해 줌으로써 이러한 문제를 예방할 수 있다. 또한, 학습능력이 높은 학생이 모든 일을 다 하는 경우가 있는 반면 학습능력이 떨어지는 학생은 상호작용의 기회를 상실하여 참여율이 저조한 경향을 보이는데 교사는 이를 방지하기 위해 역할분담조성을 하고 개별보상을 강조할 필요가 있다. 그리고 학습능력이 저조한 학생들에 대해 교사의 계속적인 관찰이 필요하며 인지능력이 높은 학생들에게 또래 교수의 기회를 제공함으로써 이러한 문제를 해결할 필요가 있다.
7. 협동학습의 문제점
협동학습을 하다보면 협동학습의 문제점을 찾기란 매우 쉽다. 협동학습이 이루어질 경우 소집단 경쟁체제에서는 자신들의 학습 구성원들만 편애하는 현상이 생길 수 있다. 만약, 이러한 편애와 익애가 심해질 경우, 교사는 주기적으로 소집단을 재편성하는 것도 하나의 방법이다. 또한, 협동학습에서 학습수준이 낮은 학생의 경우, 노력하지 않고도 성과를 공유하는 현상이 나타나게 된다. 이를 무임승차효과라고 하며, 반면, 노력한 학생들이 노력하지 않는 학생들과 성과를 공유하는 것을 보고 학습의욕이 저하되어 나타나는 봉 효과가 있다. 교사는 집단보상과 함께 개별보상을 병행해 줌으로써 이러한 문제를 예방할 수 있다. 또한, 학습능력이 높은 학생이 모든 일을 다 하는 경우가 있는 반면 학습능력이 떨어지는 학생은 상호작용의 기회를 상실하여 참여율이 저조한 경향을 보이는데 교사는 이를 방지하기 위해 역할분담조성을 하고 개별보상을 강조할 필요가 있다. 그리고 학습능력이 저조한 학생들에 대해 교사의 계속적인 관찰이 필요하며 인지능력이 높은 학생들에게 또래 교수의 기회를 제공함으로써 이러한 문제를 해결할 필요가 있다.
추천자료
자동차의 현가장치에 대해
SK콤플렉스
진동의 정의와 예
Keller의 ARCS 모델의 장점과 단점, 구성요소에 따른 전략, 수업설계
지식경영의 필요성과 성공사례
[상담심리학] 학교폭력 가해자와 피해자측면의 교육심리학적 분석
지식경영의 필요성과 성공 사례
자동차재료 ,자동차 섀시,부품 종류
[의학] 상지의 정형 검사[상지의 스페셜 테스트]
발달장애 [자폐, 아스퍼거, PDD]
청주대학교 상법총론 과제 (민법상법특칙비교)
상법총론 - 상법(상행위편) 규정 중 민법 총칙 편에 대한 특칙, 물권 편에 대한 특칙, 채권 ...
2013 흥미로운 자동차 기말고사 족보 (50문제)
[경영학과 B형] 관여도를 결정하는 요인들은 다양하다. 각 요인들이 어떻게 소비자의 관여도...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