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평가에 대해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교육평가에 대해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교육평가에 대해서
2. 시험
3. 절대평가와 상대평가
4. 진단평가ㆍ형성평가ㆍ총괄평가
5. 메타평가
6. 수행평가
7. 타당도와 신뢰도
8. 주관식 검사와 객관식 검사
9. 문장의 양호도
10. 천장효과와 바닥효과

본문내용

면 주관식 검사는 고등정신능력 측정에 유리하다는 장점을 갖는다. 보통 주관식 검사는 피검사자의 수가 적고 평가의 고등정신기능의 측정을 원할 때 이루어진다.
9. 문장의 양호도
시험문제를 만들 때, 교사들은 아무렇게나 문제를 내는 것이 아니다. 학생들을 변별하고 학업성취수준을 평가하기 위해 일부 문제를 어렵게 출제하는 경우가 있다. 여기서 문제가 어렵게 출제된 경우 난이도가 높은 문제라고 흔히 말한다. 즉, 난이도 혹은 곤란도는 문제의 쉽고 어려운 정도를 나타내는 말로 문항의 난이도가 높으면 어려운 문항이 된다. 또한, 교사는 난이도가 어려운 문제를 내는데 이는 피험자의 능력수준을 변별해 내기 위한 것이다. 여기서 변별도의 개념이 적용된다. 변별도란 ‘문항이 피험자의 능력수준을 얼마나 변별해 낼 수 있느냐’에 관한 것이다. 즉, 변별도가 높으면 변별력이 높다. 즉, 이는 피험자의 능력수준을 잘 변별해 낸다는 것을 의미한다.
10. 천장효과와 바닥효과
시험문제를 출제하는 교사가 문제에 대한 난이도 조절에 실패할 경우 천장효과와 바닥효과가 나타날 수 있다. 먼저, 천장효과(ceiling effect)란 교사가 문제를 너무 쉽게 내서 거의 모든 학생들이 만점에 가깝게 맞는 현상이다. 천장효과가 나타나는 두 가지 원인은 학생들이 원래 능력이 모두 뛰어나거나 문제가 지나치게 쉬운 경우이다. 반면, 바닥효과(floor effect)란 교사가 문제를 너무 어렵게 내서 거의 모든 학생들이 0점에 가깝게 맞는 경우이다. 바닥효과가 나타나는 두 가지 원인은 학생들이 모두 학업능력이 매우 낮거나 문제가 너무 어려운 경우이다.
  • 가격2,000
  • 페이지수5페이지
  • 등록일2015.10.26
  • 저작시기2015.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98509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