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교육평가에 대해서
2. 시험
3. 절대평가와 상대평가
4. 진단평가ㆍ형성평가ㆍ총괄평가
5. 메타평가
6. 수행평가
7. 타당도와 신뢰도
8. 주관식 검사와 객관식 검사
9. 문장의 양호도
10. 천장효과와 바닥효과
2. 시험
3. 절대평가와 상대평가
4. 진단평가ㆍ형성평가ㆍ총괄평가
5. 메타평가
6. 수행평가
7. 타당도와 신뢰도
8. 주관식 검사와 객관식 검사
9. 문장의 양호도
10. 천장효과와 바닥효과
본문내용
면 주관식 검사는 고등정신능력 측정에 유리하다는 장점을 갖는다. 보통 주관식 검사는 피검사자의 수가 적고 평가의 고등정신기능의 측정을 원할 때 이루어진다.
9. 문장의 양호도
시험문제를 만들 때, 교사들은 아무렇게나 문제를 내는 것이 아니다. 학생들을 변별하고 학업성취수준을 평가하기 위해 일부 문제를 어렵게 출제하는 경우가 있다. 여기서 문제가 어렵게 출제된 경우 난이도가 높은 문제라고 흔히 말한다. 즉, 난이도 혹은 곤란도는 문제의 쉽고 어려운 정도를 나타내는 말로 문항의 난이도가 높으면 어려운 문항이 된다. 또한, 교사는 난이도가 어려운 문제를 내는데 이는 피험자의 능력수준을 변별해 내기 위한 것이다. 여기서 변별도의 개념이 적용된다. 변별도란 ‘문항이 피험자의 능력수준을 얼마나 변별해 낼 수 있느냐’에 관한 것이다. 즉, 변별도가 높으면 변별력이 높다. 즉, 이는 피험자의 능력수준을 잘 변별해 낸다는 것을 의미한다.
10. 천장효과와 바닥효과
시험문제를 출제하는 교사가 문제에 대한 난이도 조절에 실패할 경우 천장효과와 바닥효과가 나타날 수 있다. 먼저, 천장효과(ceiling effect)란 교사가 문제를 너무 쉽게 내서 거의 모든 학생들이 만점에 가깝게 맞는 현상이다. 천장효과가 나타나는 두 가지 원인은 학생들이 원래 능력이 모두 뛰어나거나 문제가 지나치게 쉬운 경우이다. 반면, 바닥효과(floor effect)란 교사가 문제를 너무 어렵게 내서 거의 모든 학생들이 0점에 가깝게 맞는 경우이다. 바닥효과가 나타나는 두 가지 원인은 학생들이 모두 학업능력이 매우 낮거나 문제가 너무 어려운 경우이다.
9. 문장의 양호도
시험문제를 만들 때, 교사들은 아무렇게나 문제를 내는 것이 아니다. 학생들을 변별하고 학업성취수준을 평가하기 위해 일부 문제를 어렵게 출제하는 경우가 있다. 여기서 문제가 어렵게 출제된 경우 난이도가 높은 문제라고 흔히 말한다. 즉, 난이도 혹은 곤란도는 문제의 쉽고 어려운 정도를 나타내는 말로 문항의 난이도가 높으면 어려운 문항이 된다. 또한, 교사는 난이도가 어려운 문제를 내는데 이는 피험자의 능력수준을 변별해 내기 위한 것이다. 여기서 변별도의 개념이 적용된다. 변별도란 ‘문항이 피험자의 능력수준을 얼마나 변별해 낼 수 있느냐’에 관한 것이다. 즉, 변별도가 높으면 변별력이 높다. 즉, 이는 피험자의 능력수준을 잘 변별해 낸다는 것을 의미한다.
10. 천장효과와 바닥효과
시험문제를 출제하는 교사가 문제에 대한 난이도 조절에 실패할 경우 천장효과와 바닥효과가 나타날 수 있다. 먼저, 천장효과(ceiling effect)란 교사가 문제를 너무 쉽게 내서 거의 모든 학생들이 만점에 가깝게 맞는 현상이다. 천장효과가 나타나는 두 가지 원인은 학생들이 원래 능력이 모두 뛰어나거나 문제가 지나치게 쉬운 경우이다. 반면, 바닥효과(floor effect)란 교사가 문제를 너무 어렵게 내서 거의 모든 학생들이 0점에 가깝게 맞는 경우이다. 바닥효과가 나타나는 두 가지 원인은 학생들이 모두 학업능력이 매우 낮거나 문제가 너무 어려운 경우이다.
키워드
추천자료
교육과정및 교육평가 - 목표지향과 규준지향평가 비교
[유아교육평가C]수행평가가 무엇인지 설명하고 이를 유아교육에서 적용한다면 어떻게 할 수 ...
[유아교육평가A]평가의 목적과 의의를 유아교육의 입장에서 논의
(유아교육평가A형)평가의 목적과 의의를 유아교육의 입장에서 논의
[유아교육평가 A형] 평가의 목적과 의의를 유아교육의 입장에서 논의
[유아교육평가 C형] 수행평가가 무엇인지 설명하고 이를 유아교육에서 적용한다면 어떻게 할 ...
[유아교육평가 A형] 평가의 목적과 의의를 유아교육의 입장에서 논의
[유아교육평가 C형] 수행평가가 무엇인지 설명하고 이를 유아교육에서 적용한다면 어떻게 할 ...
[교육평가] 교육평가에 대하여
교육과정 및 교육평가 9장 수행평가 요약
교육과정 및 교육평가 10장 정의적 평가
교육과정 및 교육평가 제 11장 인지적 평가 요약
교육과정 및 교육평가 제 12장 정의적 평가 요약
[유아교육평가] (1)교육평가의 일반적인 절차 (2)내용타당도와 공인타당도, 구인타당도에 대...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