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분도 있었다.
그러한 모습을 보는 나로서는 여기계신 분들이 아무리 정신질환자분들이고 정상적인 분들이 아니라고해도 환자로서의 알권리가 있는 것인데, 너무 막무가내로 상황을 대처하는 모습을 보면서 딜레마에 빠지기도 했다.
갑자기 뭔가 일이 터진 상황에 바삐 움직이는 선생님들 입장도 이해가 갔고, 궁금해할 수 밖에없는 대상자의 심정도 이해 갔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대상자 분들에게 이렇게 밖에 할 수 없었을까?라는 아쉬움이 크게 남았었다.
과연 내가 이곳에서 일하는 병동 간호사였으면 어떻게 했을까라는 생각을 깊이 해본 순간이 아니었나 싶다.
정신간호학 실습 일지 5
4학년( D )반 학번( 201211191 ) 이름( 노을 ) 실습기관( 용인정신병원 502병동 )
일시 : 2015년 ( 9 )월 ( 18 )일
병동(센터)에서 경혐한 실습 내용
대상자분들과 병동 복도를 함께 걸으면서 대화를 하고, 어느 대상자분께서 종이접기를 알려준다고하여 함께 종이접기를 만드는 시간도 보냈다.
환자(회원)에게 관찰한 증상과 방어기전
면담을 통해 알게되 한분은 본인이 직접 환청이 들리다고 표현을 해주었다.
자꾸 누가 자기한테 말을 하고 있다고.. 환청이 들리는 증상이 관찰되었다.
프로그램, 활동요법의 목적과 간호사의 역할
프로그램 및 활동요법을 진행하지 못하였다.
환자(회원)에게 실시한 간호중재
-환청이 들리는 대상자분 어떤 표정과 어떤 기분인지 사정을 하였다.
-어떤 소리가 들리는 정확하게 묻고 제 귀에는 들리지 않는다고 말하면서 인지를 시켜 주었다.
-그래도 계속해서 들린다고 호소하는 대상자분에게 대화내용을 전환하여 다른 주제로 대화를 이어나갔다.
환자(회원)에게 실시한 교육(약물, 퇴원교육 등)
앞으로 환청이 들리거나 환시가 보일 경우 그 상황에 집중하지 말고 병동을 돌면서 걷는다던가 좋았던 순간을 기억하며 떠올려 보라고 교육하고 생각을 전환 시키는 방법 등에 대해서 교육하였다.
실습소감
병동내에 환자는 많지만 이분들이 환청, 환시, 망상 등 여러 가지 증상들이 나타날 경우 이야기를 하고 호소할 곳이 없다는 생각이 들었다.
정신질환자들에게 가장 필요한 것은 어쩌면 본인 얘기에 귀귀울여주고 함께 있어줄 누군가가 필요할 것이고 그렇기 때문에 환자분들과 많은 시간을 보내야 하는것은 간호사인데 입원환자가 많기 때문에 그럴 수 없다는 현실에 속이 상했다.
이번 실습은 속상함으로 시작해서 속상함으로 끝나는 그런 실습이 아니었나 싶다.
그러한 모습을 보는 나로서는 여기계신 분들이 아무리 정신질환자분들이고 정상적인 분들이 아니라고해도 환자로서의 알권리가 있는 것인데, 너무 막무가내로 상황을 대처하는 모습을 보면서 딜레마에 빠지기도 했다.
갑자기 뭔가 일이 터진 상황에 바삐 움직이는 선생님들 입장도 이해가 갔고, 궁금해할 수 밖에없는 대상자의 심정도 이해 갔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대상자 분들에게 이렇게 밖에 할 수 없었을까?라는 아쉬움이 크게 남았었다.
과연 내가 이곳에서 일하는 병동 간호사였으면 어떻게 했을까라는 생각을 깊이 해본 순간이 아니었나 싶다.
정신간호학 실습 일지 5
4학년( D )반 학번( 201211191 ) 이름( 노을 ) 실습기관( 용인정신병원 502병동 )
일시 : 2015년 ( 9 )월 ( 18 )일
병동(센터)에서 경혐한 실습 내용
대상자분들과 병동 복도를 함께 걸으면서 대화를 하고, 어느 대상자분께서 종이접기를 알려준다고하여 함께 종이접기를 만드는 시간도 보냈다.
환자(회원)에게 관찰한 증상과 방어기전
면담을 통해 알게되 한분은 본인이 직접 환청이 들리다고 표현을 해주었다.
자꾸 누가 자기한테 말을 하고 있다고.. 환청이 들리는 증상이 관찰되었다.
프로그램, 활동요법의 목적과 간호사의 역할
프로그램 및 활동요법을 진행하지 못하였다.
환자(회원)에게 실시한 간호중재
-환청이 들리는 대상자분 어떤 표정과 어떤 기분인지 사정을 하였다.
-어떤 소리가 들리는 정확하게 묻고 제 귀에는 들리지 않는다고 말하면서 인지를 시켜 주었다.
-그래도 계속해서 들린다고 호소하는 대상자분에게 대화내용을 전환하여 다른 주제로 대화를 이어나갔다.
환자(회원)에게 실시한 교육(약물, 퇴원교육 등)
앞으로 환청이 들리거나 환시가 보일 경우 그 상황에 집중하지 말고 병동을 돌면서 걷는다던가 좋았던 순간을 기억하며 떠올려 보라고 교육하고 생각을 전환 시키는 방법 등에 대해서 교육하였다.
실습소감
병동내에 환자는 많지만 이분들이 환청, 환시, 망상 등 여러 가지 증상들이 나타날 경우 이야기를 하고 호소할 곳이 없다는 생각이 들었다.
정신질환자들에게 가장 필요한 것은 어쩌면 본인 얘기에 귀귀울여주고 함께 있어줄 누군가가 필요할 것이고 그렇기 때문에 환자분들과 많은 시간을 보내야 하는것은 간호사인데 입원환자가 많기 때문에 그럴 수 없다는 현실에 속이 상했다.
이번 실습은 속상함으로 시작해서 속상함으로 끝나는 그런 실습이 아니었나 싶다.
키워드
추천자료
정신장애유형-정신간호학
정신간호학-컨퍼런스(정신분열증)
[정신간호학] 정신분열병 케이스 스터디
[정신간호학][정신]간호과정 및 간호진단=Schizophrenia=
[정신간호학] 정신분열병 (schizophrenia) 케이스스터디 (case study)
[정신간호학] 정신간호사의 역할, 인간의 특성
[정신간호학][Schizophrenia][정신분열증] 케이스 스터디(Case Study), 문헌고찰
[정신간호학][Schizophrenia][정신분열병] 케이스 스터디(Case Study), 문헌고찰.
[정신간호학][정신분열증][schizophrenia] 케이스 스터디(Case Study), 문헌고찰
[정신간호학] 정신분열병 케이스 스터디 Unspecified nonorganic Psychosis case study 간호...
[정신간호학 케이스 스터디 Case study] 정신분열증, 조현병, Schizophrenia
[정신간호학][Mental retardation][정신지체] 케이스 스터디(Case Study)
[정신간호학][정신분열증][Schizoprenia] 케이스 스터디(Case Study), 문헌고찰
정신분열증 schizophrenia 정신간호학 케이스스터디 A+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