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중국 차의 유래 - 차 (茶)없이는 못사는 나라 중국
2.차를 마시기 前 -중국 술과 차의 관계, 술 문화
3.중국 차(茶) 문화-간단한 상식
4.차의 종류와 효능- 알고마시면 약(藥)이 되는 차
5.중국 차 만드는 방법- 어떻게 만드느냐에 따라 달라지는 차의 맛
6.차로 만들 수 있는 맛있는 요리-중국 차 100배 즐기기
7. 후기- 우리가 즐긴 중국의 차(茶)문화와 조사를 마치며...
2.차를 마시기 前 -중국 술과 차의 관계, 술 문화
3.중국 차(茶) 문화-간단한 상식
4.차의 종류와 효능- 알고마시면 약(藥)이 되는 차
5.중국 차 만드는 방법- 어떻게 만드느냐에 따라 달라지는 차의 맛
6.차로 만들 수 있는 맛있는 요리-중국 차 100배 즐기기
7. 후기- 우리가 즐긴 중국의 차(茶)문화와 조사를 마치며...
본문내용
볶는 것을 덖음과정이라고 하고 반이상을 볶는 것을 볶음과정이라고 하여 덖음차와 볶음차로 구분한다. 찻잎을 전혀 볶지 않고 햇볕에 말려서 만드는 일쇄차(日殺茶)로부터 약간만 덖는 덖음차 (설록차, 반야차, 쌍계차)와 반쯤 볶는 볶음차(작설차, 유비차, 초의차)와 강하게 볶는 볶음차 (수미차, 보향차, 화개차)가 있다.
②수증기로 쪄서 만드는 증제법(蒸製法: 설록차, 봉로차)-찻잎을 수증기로 찌는 정도에 따라서 차의 빛깔과 맛과 향이 달라진다. 찌는 방법은 시루에 찌는 법, 끓는 물에 데치는 법, 수증기로 찌는 법, 볶은 찻잎에 냉수를 한 잔 첨가해서 찌는 법, 찻잎을 뭉쳐 손으로 눌러서 찌는 법 등 다양하다. 또는 약간만 찌는 법(설록차: 덖음, 작설차), 반쯤만 찌는 법(쌍계차), 완전히 찌는 법(설록차:옥로, 돈차)등 찌는 정도에 따라 차의 구분이 생긴다.
③띄워서 만드는 발효법(醱酵法: 오룡차, 청녹차, 청차)-찻잎의 발효 정도에 따라서 빛깔과 맛과 향기가 달라진다. 발효 방법은 일광발효, 실내발효, 열발효, 밀봉발효 등이 있고 발효시기는 차를 만들기 전에 하는 선발효, 중간에 발효하는 중간발효, 차를 다 만든 후에 발효하는 후발효 등의 방법이 있다. 발효 정도에 따라서 약발효차(청차)와 중발효차(오룡차)와 강발효차(무이암차)와 완전발효차(홍차)가 있다.
④떡처럼 만드는 병다법(餠茶法: 떡차, 돈차)-찻잎을 가루내거나 짓이기거나 압축시켜서 벽돌이나 떡모양을 만들어 덩어리 차를 만든다. 떡차의 모양은 다양한데 동전 모양의 돈차(錢茶)와 떡 모양의 떡차와 누룩 모양, 벽돌 모양 등 가지각색의 차가 있다. 떡차의 크기는 다양하다. 큰 것, 작은 것, 둥근 것, 모난 것, 거친 것, 정교한 것들이 있다.
6.차로 만들 수 있는 맛있는 요리-중국 차 100배 즐기기
* 녹차 드레싱 셀러드
*홍차 달걀
*홍자 캐슈너트 닭볶음
*철관음 밤 갈비탕
*금훤우롱 야채튀김
*우롱차 젤리
*용정차 바삭바삭 새우볶음
7. 후기- 우리가 즐긴 중국의 차(茶)문화와 조사를 마치며...
중국은 요리 대국이라 불릴 정도로 정말 다양한 요리의 천국이다. 지상에는 비행기 지하에는 탁자 만 빼고 뭐든지 다 요리할 수 있다는 말이 나올 정도로 중국의 요리는 너무나 다양하다. 또한 전통이 깊고 세계적으로도 매우 유명하다. 중국의 음식 문화하면 우리는 흔희 중국의 요리를 떠올린다. 하지만 중국음식 중 중국의 전통성과 민족성을 가장 잘 보여주는 음식은 차(茶)라 생각한다. 기름을 많이 사용하는 중국의 요리와 함께 차의 역사 또한 깊다. 우리는 흔희 중국의 기름진 음식 때문에 차가 발달 했을 것이라 생각했지만, 의외로 중국인들은 차의 약효에 대해 먼저알고 차를 마시기 시작했다. 현대사회처럼 과학이 발달해 뚜렷한 차의 효능을 알고 골라 마신 것은 아니었지만 차를 약(藥)으로 알고 마신 중국인들의 지혜는 정말 놀랍고 대단하다. 음식문화 발표를 위해 차 박물관을 찾아서 4가지 중국 대표적인 차를 맛 보았다. 비록 현대의 콜라나 커피처럼 달콤한 맛은 없었지만 고유의 향과 씁슬한 맛은 그 첫 느낌만으로도 심신의 안정을 안겨줬다. 각기 다른 차의 향을 맡으면 머리가 맑아지는 듯 했고, 씁쓸하고도 우려내면 낼수록 달라지는 차의 맛이 매우 매력 있었다. 중국 차 문화를 조사하면서 중국 차의 종류, 맛, 중국인들의 생활 까지 여러 가지 다양한 방면을 알 수 있어서 정말 유익했다. 중국의 음식문화를 조사하면서 중국에 대해 몰랐던 점들을 알 수 있어서 좋았고, 뿐만 아니라 이런 발표 조별 과제를 통해서 조원이 하나되며 조사를 하면서 성취의 기쁨 또한 맛 볼 수 있었다. 보람있는 시간들이며 소중한 추억이 될 것이다.
②수증기로 쪄서 만드는 증제법(蒸製法: 설록차, 봉로차)-찻잎을 수증기로 찌는 정도에 따라서 차의 빛깔과 맛과 향이 달라진다. 찌는 방법은 시루에 찌는 법, 끓는 물에 데치는 법, 수증기로 찌는 법, 볶은 찻잎에 냉수를 한 잔 첨가해서 찌는 법, 찻잎을 뭉쳐 손으로 눌러서 찌는 법 등 다양하다. 또는 약간만 찌는 법(설록차: 덖음, 작설차), 반쯤만 찌는 법(쌍계차), 완전히 찌는 법(설록차:옥로, 돈차)등 찌는 정도에 따라 차의 구분이 생긴다.
③띄워서 만드는 발효법(醱酵法: 오룡차, 청녹차, 청차)-찻잎의 발효 정도에 따라서 빛깔과 맛과 향기가 달라진다. 발효 방법은 일광발효, 실내발효, 열발효, 밀봉발효 등이 있고 발효시기는 차를 만들기 전에 하는 선발효, 중간에 발효하는 중간발효, 차를 다 만든 후에 발효하는 후발효 등의 방법이 있다. 발효 정도에 따라서 약발효차(청차)와 중발효차(오룡차)와 강발효차(무이암차)와 완전발효차(홍차)가 있다.
④떡처럼 만드는 병다법(餠茶法: 떡차, 돈차)-찻잎을 가루내거나 짓이기거나 압축시켜서 벽돌이나 떡모양을 만들어 덩어리 차를 만든다. 떡차의 모양은 다양한데 동전 모양의 돈차(錢茶)와 떡 모양의 떡차와 누룩 모양, 벽돌 모양 등 가지각색의 차가 있다. 떡차의 크기는 다양하다. 큰 것, 작은 것, 둥근 것, 모난 것, 거친 것, 정교한 것들이 있다.
6.차로 만들 수 있는 맛있는 요리-중국 차 100배 즐기기
* 녹차 드레싱 셀러드
*홍차 달걀
*홍자 캐슈너트 닭볶음
*철관음 밤 갈비탕
*금훤우롱 야채튀김
*우롱차 젤리
*용정차 바삭바삭 새우볶음
7. 후기- 우리가 즐긴 중국의 차(茶)문화와 조사를 마치며...
중국은 요리 대국이라 불릴 정도로 정말 다양한 요리의 천국이다. 지상에는 비행기 지하에는 탁자 만 빼고 뭐든지 다 요리할 수 있다는 말이 나올 정도로 중국의 요리는 너무나 다양하다. 또한 전통이 깊고 세계적으로도 매우 유명하다. 중국의 음식 문화하면 우리는 흔희 중국의 요리를 떠올린다. 하지만 중국음식 중 중국의 전통성과 민족성을 가장 잘 보여주는 음식은 차(茶)라 생각한다. 기름을 많이 사용하는 중국의 요리와 함께 차의 역사 또한 깊다. 우리는 흔희 중국의 기름진 음식 때문에 차가 발달 했을 것이라 생각했지만, 의외로 중국인들은 차의 약효에 대해 먼저알고 차를 마시기 시작했다. 현대사회처럼 과학이 발달해 뚜렷한 차의 효능을 알고 골라 마신 것은 아니었지만 차를 약(藥)으로 알고 마신 중국인들의 지혜는 정말 놀랍고 대단하다. 음식문화 발표를 위해 차 박물관을 찾아서 4가지 중국 대표적인 차를 맛 보았다. 비록 현대의 콜라나 커피처럼 달콤한 맛은 없었지만 고유의 향과 씁슬한 맛은 그 첫 느낌만으로도 심신의 안정을 안겨줬다. 각기 다른 차의 향을 맡으면 머리가 맑아지는 듯 했고, 씁쓸하고도 우려내면 낼수록 달라지는 차의 맛이 매우 매력 있었다. 중국 차 문화를 조사하면서 중국 차의 종류, 맛, 중국인들의 생활 까지 여러 가지 다양한 방면을 알 수 있어서 정말 유익했다. 중국의 음식문화를 조사하면서 중국에 대해 몰랐던 점들을 알 수 있어서 좋았고, 뿐만 아니라 이런 발표 조별 과제를 통해서 조원이 하나되며 조사를 하면서 성취의 기쁨 또한 맛 볼 수 있었다. 보람있는 시간들이며 소중한 추억이 될 것이다.
추천자료
중국의 경제 성장에 대하여
중국술과 중국의 주도에 대하여
차(차의 유래, 부초차, 녹차의 효능)
녹차에 관한 정리
차의 효능에 대하여
2차 전지(리튬전지,납축전지,니켈카드뮴전지,니켈수소전지)에 대하여
중국의 전통음악 악기에 대하여 파워포인트 발표 자료
영국의 차 종류
[1차 자료조사 방법 및 2차 자료조사방법의 종류와 장단점]
[음료][기호음료][전통음료][청량음료][탄산음료][미과즙음료][수정과][차][커피]기호음료, ...
차문화와 다도예절
차(茶, 차의도구와 효능, 차나무, 차의분류, 덖음차, 증제차, 녹차의재취, 차의성분과효능, ...
중국문학의 특성 - 중국문학의 이해, 중국문학의 특성 정리, 문학이란 무엇인가, 문학의 종류
소개글